종로 5가
신동엽
이슬비 오는 날,
종로 5가 서시오판 옆에서
낯선 소년이 나를 붙들고 동대문을 물었다.
밤 열한 시 반,
통금에 쫓기는 군상 속에서 죄 없이
크고 맑기만 한 그 소년의 눈동자와
내 도시락 보자기가 비에 젖고 있었다.
국민학교를 갓 나왔을까.
새로 사 신은 운동환 벗어 품고
그 소년의 등허리선 먼 길 떠나온 고구마가
흙 묻은 얼굴들을 맞부비며 저희끼리 비에 젖고 있었다.
충청북도 보은 속리산, 아니면
전라남도 해남땅 어촌 말씨였을까.
나는 가로수 하나를 걷다 되돌아섰다.
그러나 노동자의 홍수 속에 묻혀 그 소년은 보이지 않았다.
그렇지.
눈녹이 바람이 부는 질척질척한 겨울날,
종묘 담을 끼고 돌다가 나는 보았어.
그의 누나였을까.
부은 한쪽 눈의 창녀가 양지쪽 기대 앉아
속내의 바람으로, 때 묻은 긴 편지 읽고 있었지.
그리고 언젠가 보았어.
세종로 고층건물 공사장,
자갈지게 등짐하던 노동자 하나이
허리를 다쳐 쓰러져 있었지.
그 소년의 아버지였을까.
반도의 하늘 높이서 태양이 쏟아지고,
싸늘한 땀방울 뿜어낸 이마엔 세 줄기 강물.
대륙의 섬나라의
그리고 또 오늘 저 새로운 은행국(銀行國)의
물결이 뒹굴고 있었다.
남은 것은 없었다.
나날이 허물어져가는 그나마 토방 한 칸.
봄이면 쑥, 여름이면 나무뿌리, 가을이면 타작마당을 휩쏘는 빈 바람.
변한 것은 없었다.
이조 오백 년은 끝나지 않았다.
옛날 같으면 북간도라도 갔지.
기껏해야 버스길 삼백 리 서울로 왔지
고층건물 침대 속 누워 비료광고만 뿌리는 그머리 마을,
또 무슨 넉살 꾸미기 위해 짓는지도 모를 빌딩 공사장,
도시락 차고 왔지.
이슬비 오는 날,
낯선 소년이 나를 붙들고 동대문을 물었다.
그 소년의 죄 없이 크고 맑기만 한 눈동자엔 밤이 내리고
노동으로 지친 나의 가슴에선 도시락 보자기가 비에 젖고 있었다.
- <신동엽 전집>(1967)-
해설
[개관 정리]
◆ 성격 : 비판적, 사실적
◆ 표현
* 화자가 겪거나 관찰한 것을 회상하는 어조로 표현함.
* 시적 대상에 대한 연민의 정서 표출
* 현재에서 과거로, 과거에서 다시 현재로 돌아오는 구조를 취함.
◆ 중요시어 및 시구풀이
* 이슬비 오는 날 → 암울한 분위기 조성
* 서시오판 → 옛날 신호등은 색깔로 표시하지 않고, '서시오, 가시오'로 신호를 보냄.
소년의 운명의 갈림길을 상징함.
* 낯선 소년 → 농촌의 붕괴와 이농을 촉발한 산업화의 희생자
* 통금에 쫓기는 군상 → 억압적 시대상이 짐작됨.
* 죄 없이 ~ 비에 젖고 있었다. → 화자와 소년의 정서적 일체감을 표현함.
* 충청북도 보은 속리산, 아니면 / 전라남도 해남 땅 어촌 말씨였을까
→ 소년이 시골에서 올라왔음을 나타냄.
* 나는 가로수 하나를 걷다 되돌아섰다. → 소년에 대한 연민의 감정 때문에
* 노동자의 홍수 속에 묻혀 그 소년은 보이지 않았다. → 소년이 헤쳐가야 할
제시함.
* 그의 누나였을까 → 허구적인 상상에 해당함.
* 그 소년의 아버지였을까 → 연속적으로 허구적 상상을 함.
* 세 줄기 강물 → 중국, 일본, 미국을 비유함.
* 대륙, 섬나라, 새로운 은행국 → 중국, 일본, 미국을 가리킴.
* 물결 → 외세를 비유함.
* 대륙의 ~ 물결이 뒹굴고 있었다.
→ 농촌의 궁핍과 해체의 원인은 외세 자본의 침략과 외세 의존적 권력에 있음을 나타냄.
* 남은 것은 없었다. → 외세에 의한 착취와 억압 때문에
* 나날이 허물어져 ~ 빈 바람 → 농촌이 피폐해지고 몰락해 가는 모습을 형상화함.
* 빈 바람 → 가난의 상황을 상징함.
* 이조 오백 년은 끝나지 않았다.
→ 이조 오백 년 동안 계속 되어 온 민중의 가난과 고통은 아직 진행 중임.
* 북간도 → 일제 강점기 때의 피난처
* 기껏해야 버스길 삼백 리 서울로 왔지. → 착취의 중심지인 서울로 옴.
* 그머리 마을 → 자본에 의한 착취가 횡행하는 서울을 상징함.
* 그 소년의 죄 없이 크고 ~ 비에 젖고 있었다. → 화자와 소년의 정서적 일체감이 나타남.
* 밤 → 소년의 어두운 미래를 상징
* 노동으로 지친 나의 가슴 → 화자의 신분 내지는 처지(노동자)를 알 수 있음
* 비에 젖고 있었다. → 침울하고 고통스런 분위기
◆ 화자 : 나(노동자)
◆ 주제 : 농촌의 붕괴와 농촌을 떠나온 도시 빈민의 고통과 비애
[시상의 흐름(짜임)]
◆ 1, 2연 : 소년과의 만남
◆ 3연 : 이농민인 소년의 행색
◆ 4연 : 소년의 비극적인 운명 암시
◆ 5연 : 창녀에 대한 회상
◆ 6연 : 노동자에 대한 회상, 외세와 자본의 착취
◆ 7연 : 농촌의 피폐와 몰락
◆ 8연 : 이농민의 도시 생활에 대한 자조 섞인 독백
◆ 9연 : 소년과의 일체감
[이해와 감상의 길잡이]
많은 설명이 없어도 이 시는 쉽게 읽을 수 있다. 고통스런 현실을 감정에 휩싸이지 않고 아주 건조한 듯이 풀어쓰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시가 담고 있는 비극적인 정황은 사무치도록 우리의 가슴을 적시고 있다. 비가 소년의 도시락 보자기를 조금씩 적시듯이, 내가 신동엽의 시로 내 부끄러움을 조금이나마 눙쳐보고자 했던 생각은 이처럼 그의 환한 시들 앞에서 거덜이 나고 말았다. 오히려 더 큰 자책에 몸둘 바 몰라 며칠 밤잠을 설치곤 했다.
'종로 5가'는 한 노동자와 소년의 마주침을 통해 60년대 공업 위주 정책으로 인한 농촌 사회의 해체와 정치, 경제 정책의 구조적 모순을 잘 보여주는 시이다. 공간적으로 동대문 안과 밖, 즉 서울과 농촌이 대립하고 있다. 신동엽의 시에서 농촌은 본래 풍요와 부의 원수성적 공간이다. 그러나 여기서 농촌은 궁핍과 해체 위기에 직면한 공간으로 그려지고 있으며, 그 원인은 외세 자본의 침략과 외세의존적 권력의 지배에 의한 것으로 나타난다. 서울은 그러한 외세의 자본과 지배 권력의 중심부이며, 민족의 수도가 아니라 민족과 민중을 착취하는 대륙과 섬나라의 자본, 고층 빌딩이 넘치는 은행국의 수도로 설정되어 있다. 60년대 경제 개발 정책의 이면을 비판적으로 제시하고 있는 내용이다. 앞서 언급한 것처럼, 외자에 의한 경제개발정책의 추진은, 결과적으로 농촌 사회의 해체를 가져왔고, 대지에 뿌리박고 살던 농민들을 도시 노동자로 전락시키는 결과를 빚어왔다.
이 시에 등장하는 허리 다친 노동자나 속내의 바람으로 편지를 읽고 있는 창녀는 모두 60년대 근대화 정책의 희생양들이라고 할 수 있다. 공업 위주 저곡가 정책으로 농촌은 궁핍에 직면하지 않을 수 없었고, 그 결과 이농민과 폐촌이 급증하는 현상이 벌어졌으며 도시로 나간 뿌리 뽑힌 농민들은 저임금 노동자로 시장경제구조 속으로 편입되거나, 식모나 창녀로 전락하지 않을 수 없었다. 이 시에 나오는 소년 역시 같은 경우이다. 소년은 등허리에 매달린 흙 묻은 고구마가 상징하는 것처럼 대지에 뿌리박고 있는 전형적인 민족의 아들이다.
이 시의 내용은 한 소년의 도시 편입, 즉 동대문 밖으로부터 동대문 안으로 이동하는 이야기이다. 동대문은 서울과 농촌, 차수성 세계와 대지적 원수성 세계를 구분하는 경계이다이 동대문 안은 앞서 이야기한 것처럼 은행국의 수도이며, 외세 자본과 외세의존적 권력의 착취와 억압의 중심부이며, 그 속에서의 삶은 노동자나 창녀처럼 뿌리 뽑힌 삶으로 묘사되고 있다. 거기에 비해 동대문 밖의 해체 이전의 삶은, 대지에 뿌리박고 있는 전경인으로서의 민족의 원형적 삶이다. 따라서 농촌에서 동대문 안으로의 이동은 소년의 전경인으로부터 기능인, 즉 노동자, 창녀, 식모로의 변신을 의미하며, 그것은 곧 외세에 의한 민족의 착취와 억압을 상징한다고 할 수 있다. 경제 개발 정책으로 외국의 자본이 물밀듯이 밀려오고 이 땅이 그들의 상품 시장화하면서 서울은 미국, 일본 등 자본국의 물결로 흥청거리고 그 밑에서 농촌 사회는 해체되고 농민들은 도시 노동자로 전락할 수밖에 없었다. 이것은 주인으로부터 외국 상업 자본의 노예로의 전락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60년대 사회에 대한 이러한 인식은, 신동엽으로 하여금 이 시대를 또 다른 형태의 외국 자본의 식민지로 규정하게 한다. 서울을 은행국 수도로 설정한 것도 그러한 데 원인이 있다. 무력에 의한 지배 대신 자본에 의한 지배로 형태만 바뀌었을 뿐, 그 밑에서 민중의 삶은 나아진 것이 없고, 오히려 일제 때는 북간도라도 갔지만 오늘날에는 저임금과 착취의 중심부인 서울로 들어와 그들을 착취하기 위해 머리를 짜낼 고층빌딩 공사장에서 노동을 하게 된다는, 비극적인 사실을 반어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작가소개]
신동엽 : 시인
출생 : 1930. 8. 18. 충청남도 부여
사망 : 1969. 4. 7.
가족 : 아들 신좌섭
데뷔 : 1959년 조선일보 신춘문예 '이야기하는 쟁기꾼의 대지'
작품 : 도서, 기타
충청남도 부여(扶餘) 출생. 단국대학교 사학과를 거쳐 건국대학교 대학원을
수료하고 1959년 《조선일보》 신춘문예에 장시 《이야기하는 쟁기꾼의 대지(大地)》가
당선되어 데뷔하였다. 이후 1961년부터 명성여고 야간부 교사로 재직하면서
사회의 부조리를 폭로하고, 허구성을 비판하는 시를 짓기 시작한다.
그 후 아사녀(阿斯女)의 사랑을 그린 장시 《아사녀》, 동학농민운동을
주제로 한 서사시 《금강(錦江)》 등 강렬한 민중의 저항의식을 시화(詩化)하였으며,
시론(詩論)과 시극(詩劇) 운동에도 참여하였다. 시론으로는 《시인정신론(詩人精神論)》
등이 있고, 시극 《그 입술에 파인 그늘》은 시극동인회에 의해 상연되었다.
특히 4·19혁명의 정신을 되새기며, 인간 본연의 삶을 찾기를 희망한
시 <껍데기는 가라>를 《52인 시집》(1967)에 간행하며 그의 시적 저항정신은
더욱 확고해졌다. 1969년 4월 간암으로 사망하기 전까지 약 20여 편의 시를
발표했으며, 사후 유작을 모아 간행된 《신동엽전집》(1975)이 있다.
주요작품으로 《삼월(三月)》 《발》 《껍데기는 가라》 《주린 땅의 지도원리(指導原理)》
《4월은 갈아 엎는 달》 《우리가 본 하늘》 등이 있고, 유작(遺作)으로
통일의 염원을 기원하는 《술을 마시고 잔 어젯밤은》 등이 있다.
첫댓글 시가 있는 글을 감상하네요
감사합니다
무공 김낙범 선생님
댓글 주심에 고맙습니다.
오늘도 무더위 잘 극복하시고
건필하시길 소망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