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아파트, 호텔 신축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 사용 증가 -
□ 시장 개요
ㅇ 러시아 사람들은 이중문 및 철문 등 문을 통한 공간 구분을 중시
- 이에 대한 구체적인 이유는 찾기 어려우나 추위를 막음은 물론 소련 시대를 거치며 공동 및 개인공간을 나눌 수 있는 문 자체에 의미를 두게 됐고, 특히 개별 프라이버시 보호가 가능한 두꺼운 문을 선호하는 것으로 추측
- 블라디보스톡 현지 부동산 사이트를 보면 ① 전반적인 상태 및 특징, ② 가구, ③ 가전제품, ④ 인프라 및 통신(경비원, 주차장, 인터넷 및 케이블 텔레비전) 및 ⑤ 기타 특이사항 등으로 아파트를 소개함. 이 중 전반적인 상태 및 특징에 '현관문은 철문'이라는 내용이 꼭 포함됨.
- 아래 사진이 러시아에 많은 철문으로 두께 자체가 두껍고 문 자체에 열쇠 구멍이 촘촘한 것이 특징
자료원: versia.ru
ㅇ 주택 외 일반 상업건물 또한 두꺼운 철문이 설치된 경우가 대부분임. 문 두께가 두껍고 무거우며 인터폰을 설치, 경비 초소 등을 통해 출입할 수 있도록 하고 있음.
□ 경쟁동향
ㅇ 현지 자료에 따르면 2016년 러시아 철문 시장 규모는 787억7400만 루블(약 13억8000만 달러)로 파악
- 철문의 연간 거래량은 300만 개 수준
ㅇ 러시아 시장 내 철문은 크게 러시아산, 중국산 및 유럽산으로 구분돼 있음.
- PwC Russia에 따르면 러시아에서 사용되는 철문의 75% 이상은 자국산이나, 2010년 이후 러시아산 대비 더 저렴한 가격의 중국산 철문 제품 유입이 급증하고 있음. 이에 비해 이탈리아 등 유럽산은 러시아 및 중국산 철문 대비 2배 이상 높은 가격으로 고가 시장을공략 중
- 가격 차이를 좌우하는 것은 외부 장식을 비롯한 열쇠 구조 및 디자인으로, 이는 문의 보안, 안정성과 연결됨.
러시아 시장 내 가격대별 철문제품 구조
구분 | 1개당 가격(달러) | 두께 | 특징 |
저가 | 150~400 | 0.8~-1.5㎜ | - 러시아산 또는 중국산 수입품 위주로 형성 - 열쇠구멍 외 부속재료는 추가 비용 통한 설치 가능 - 문 색상, 코팅 등 자체 제작 불가 |
중가 | 400~800 | 1.5㎜ 내외 | - 러시아 지역별 우량기업 위주로 시장 형성 - 러시아 제품 외 수입제품으로는 이스라엘 및 터키산이 있음 |
고가 | 2,000 이상 | - | - 대개 맞춤 제작 형태이며 유럽산이 대다수 - 방탄 기능 등 포함 |
ㅇ 그 외 Discovery Research Group에 따르면 러시아 철문시장의 또 다른 특징 중 하나는 '러시아 전역을 커버하는 소위 대기업은 없다'는 것
- 철문의 경우 대부분 지역(州) 내 업체를 통해 구매함. 수입품이 아닌 이상, 타 지역 공장 및 업체 등을 통해 제품을 공급받는 경우는 드문 것
러시아 시장 내 주요 업체
구분 | 업체명
| 소재지 | 가격대(달러) | 특 징 |
러시아 업체 | Toreks | 사라토프 | 300~ | 1개 300달러 수준의 저가 제품부터 맞춤형 제품까지 모두 생산 |
Gardian | 이오시카르-올라 | 400~ | 1개 400달러 제품 등 다양한 품목 생산 |
Arsenal Service Stal | 모스크바 | 350~ | 자체 생산 제품 외 외국브랜드 조립생산도 진행 |
Kolumb | 모스크바 | 600~ | 일정 부분 화재로부터 방어 가능한 철문 제품 주력 생산 중 |
Proem | 상트페테르부르크 | 600~1,500 | 모든 생산 제품에 대해 '우수제품' 인증 획득 및 자체 개발한 자물쇠 부착 |
외국 업체 | Alavus | 핀란드 | 385~ | - |
Magen Bariah | 이스라엘 | 420~ | - |
Gerda | 영국 | 700~ | 영국 제품이나 폴란드 공장에서 조립 및 대러시아 수출 중 |
Dierre | 이탈리아 | 800~ | - |
Albertin | 이탈리아 | 1,000~ 3,000 | - |
Panto | 이탈리아 | 3,000~6,000 | 주문 제작 형태로만 판매 |
□ 시장 및 수입동향
ㅇ 철문시장에서 볼 수 있듯이, 러시아인들은 문을 통한 '보안' 및 '안전'에 큰 의미를 부여
- 그렇기에 상대적으로 번호 키패드를 사용하는 디지털 도어락은 러시아 내 사용 정도가 낮았음.
- 아직까지도 러시아 사람들은 손바닥 길이의 열쇠 1~2개를 직접 가지고 다니는 경우가 많으며, 이를 '불편함' 또는 '번거로움'으로 인식하지 않는 편
- 비밀번호를 사용하는 도어락에 대해서는 인테리어 취급업자를 비롯, 일반 러시아인들은 개인이 가지고 다니는 열쇠보다 타인에게 비밀번호가 노출될 가능성이 높은 등 보안 취약성이 낮다고 답변
ㅇ 그러나 서부 러시아 위주로 최근 지어지는 상업 및 주거 건물의 경우 열쇠 이용 철문이 아닌 디지털 도어락이 부착된 문을 설치하는 경우가 조금씩 늘어나고 있음.
- 또한 러시아 전역에 크고 작은 호텔이 신축되면서 카드 기반 도어락 수요 또한 증가세
ㅇ HS Code 8438의 러시아 2016년 수입규모는 5억1200만 달러
- 최다 수입국은 독일, 이탈리아, 네덜란드이며 중국은 러시아 시장 수입국 5~6위에 포진
러시아 디지털 도어락 수입동향(HS Code 8438 기준)
(단위: 달러)
주: 1~9월 기준
자료원: Global Trade Atlas
ㅇ 2016년 한국산 디지털 도어락의 경우, 전년 대비 39.5% 성장한 559만4000달러 규모
러시아 한국산 디지털 도어락 제품 수입동향
(단위: 달러)

자료원: Global Trade Atlas
ㅇ 한편, 러시아 전문가들은 '지금 당장은 아니지만 5~10년 뒤 디지털 도어락은 분명 러시아 시장 내 보편화된 제품으로 자리잡을 것이다'는 의견을 내놓기도 함.
□ 시사점
ㅇ 철문 자체가 아닌 부착이 가능한 러시아 디지털 도어락 시장에 주목할 필요가 있음.
- 비밀번호 키패드 사용 및 비밀번호 유출에 따른 관리 방법, 비밀번호와 지문 인식 등의 결합을 통한 보안성 강화 등을 강조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음.
- 특히 러시아에서는 건물·물류창고 등을 별도로 관리해주는 업체가 많은 상태로 건물 통합 관리 등과 연결시켜 볼 수도 있을 것
- 그 외 러시아 관광객 증가에 따라 현지 '에어비앤비' 및 '호스텔' 등의 상대적으로 저렴한 공동 숙박업체가 늘어나고 있는 상황으로 이러한 숙박업체 또한 디지털 도어락 사용의 타깃이 될 수 있음.
ㅇ 현지 바이어에 따르면 디지털 도어락의 경우 구매 시 가격 뿐 아니라 설치 그리고 이후 A/S 여부에도 관심을 가지는 바, 이러한 점을 차별화하는 것도 고려해볼 수 있음.
자료원: 바이어 인터뷰, PwC, Discovery Research Group, 언론기사 및 KOTRA 블라디보스토크 무역관 자료 종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