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시보기 ↓
http://news.kbs.co.kr/news/actions/VodPlayerAction?type=2&cmd=showMP4&vod_info=D%7C10%7C/ssam/2011/07/19/10.mp4%7CN%7C%7CF%7C10%7C/ssam/2011/07/19/1000k/10.mp4%7CN%7C%7C&news_code=2326631&broad_date=20110719&broad_code=0039
KBS1 TV 시사기획 10 (7.19일 방송)
'친일의 길, 항일의 길'
일제 강점기, 두 갈래 길이 있었다. 친일의 길과 항일의 길.
일제로부터 귀족 작위와 은사금을 받은 조선귀족들의 삶은 윤택했고, 그 후손들도 좋은 교육을 받아 지금까지도 평탄하게 살고 있다. 하지만 독립운동을 하기 위해 온 재산을 내던지고 자식들의 목숨까지 나라에 바쳤던 독립 운동가들은 머나먼 이국땅에서 비극적인 최후를 맞았고, 후손들의 고통도 계속되고 있다. 친일의 길을 걸었던 사람들과 항일의 길을 걸었던 사람들의 과거와 후손들의 현재를 병치해 보여줌으로써 대한민국의 과제는 무엇인지 알아본다.
친일재산조사위원회가 친일 행위자의 재산을 국고 귀속한지도 어느덧 5년이 지났다. 친일재산조사위원회는 친일 행위자 160여 명의 재산을 국가에 귀속시켰지만, 대부분의 후손들은 반성하지 않고 소송 대열에 뛰어들어, 친일재산조사위원회가 해체된 지금도 60여 건의 소송이 진행 중이다. 친일 재산 환수법 자체가 위헌이라며 위헌 소원을 낸 후손도 다수이다.
지난 5월 박병대 대법관 후보자 인사청문회가 열렸다. 이 자리에서 쟁점으로 부각된 것은 친일 행위자 이해승의 판결이었다. 박병대 대법관은 고등법원 판사 시절 이해승의 후손이 국가에 귀속된 재산을 돌려달라고 제기한 소송에서 이해승이 친일한 것은 맞지만, 한일합방 이전에 친일한 증거는 찾을 수 없었다며 국가는 재산을 돌려주라고 판결했다. 관련법이 ‘한일합방의 공으로 작위를 받은 자’의 재산을 환수하도록 규정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이해승이 일제로부터 작위와 은사금을 받은 친일행위자인데도 한일합방 이전에 친일 행위를 한 흔적을 찾을 수 없다는 이유로 그 재산을 돌려주는 게 과연 헌법 정신에 맞는가. 의문을 제기하는 사람들의 비판은 계속되고 있다.
지난 6월 10일 신흥무관학교 100주년 기념식이 열렸다. 신흥무관학교는 꼭 백 년 전 우당 이회영 일가가 전 재산 600억 원을 처분해 마련한 돈을 초석으로 만들어진, 독립군 양성 기관이었다.10년 동안 3,500명의 졸업생을 배출했고, 이들이 교관으로 투입되면서 청산리 전투나 봉오동 전투의 승리도 가능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회영 6형제는 이항복의 10대손으로 조선 시대에만 정승판서를 9명이나 배출한 조선 최대 명문가였으나, 나라가 위기에 처했을 때 지도층부터 나서야 한다는 신념으로 만주에 집단 망명해 독립운동에 헌신했다. 하지만 독립의 길은 요원했고, 돈이 떨어지고, 일제에 쫓기면서 6형제는 비참한 생활을 영위할 수밖에 없었다. 결국 이회영은 일제의 고문 끝에 1932년 사망했고, 이석영은 1933년 굶주림으로 사망했다. 그의 두 아들도 모두 중국에서 사망해 결국 절손이 되는 비극을 당했다.
신흥무관학교의 또 다른 주역이자 임시정부 국무령을 지낸 이상룡 선생은 안동에 99칸 임청각의 소유자였다. 하지만 경술국치 직후 독립운동을 하겠다고 집을 버리고 중국으로 집단망명을 했다. 하지만 그 후손은 80년이 지난 지금도 임청각의 소유권을 되찾지 못하고 어렵게 살고 있다.
■취재/연출 : 선재희 ■촬영기자 : 김용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