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림프종 환우 Cafe 『림사랑』
 
 
 
카페 게시글
질문합니다 혈관면역모세포성 림프종(AITL) 3차 재발 고견 좀 부탁드립니다..
하프 추천 0 조회 459 25.04.04 10:09 댓글 7
게시글 본문내용
 
다음검색
댓글
  • 25.04.05 11:01

    첫댓글 안녕하세요 개인적인 사정으로 답이 늦었습니다.
    https://cafe.daum.net/lovenhl/6hGZ/17109 참고하십시오.
    논문 자료들을 보면 자가이식 후 빠른 재발과 비다자주 불응인 경우 언급하신 치료제들(브렌툭시맙 등)만으로는 반응은 있을 수 있어도 다시 재발할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동종이식을 할 수 없는 연령이나 상황이라면 완화치료 요법으로 가능한 치료제들을 투여해 반응을 기대할 수밖에 없지만요. 로미뎁신은 국내에서 투여가 불가능한 걸로 알고 있습니다. 확인이 필요합니다. 동종은 항암제에 불응인 상태에서도 완치를 기대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입니다.
    동종이식 관련 치사율은 발전된 이식방법과 합병증 관리로 현재는 10~20% 미만으로 보고되고 있습니다.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7756984/ 이 논문에서는
    동종이식을 한 혈액암 환자 38,800명에 대한 후향통계를 냈는데 이식관련 사망율은 1980년부터 1989년까지 29.7%, 1990년부터 1999년까지 24.4%, 2000년부터 2009년까지 14.8%, 2010년부터 2016년까지 12.2% 로 나옵니다.

  • 25.04.05 11:02

    위는 모든 혈액암을 통합한 결과이고
    다음 논문은 T세포 림프종 환우들의 동종이식 결과를 분석했습니다.

    https://pubmed.ncbi.nlm.nih.gov/34861680/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8945300/ (위 논문의 상세 버전)
    2008년과 2018년 사이의 기간을 반영한 우리 연구에서는 상당수의 환자가 60세 이상(환자수465, 24%)이었음에도 불구하고 3년 NRM, PFS 및 OS가 상당히 더 좋았습니다(각각 약 20%, 50% 및 60%)
    이 통계에서는 이식관련 사망율은 ~20% 정도로 보고되었습니다. 하지만 5년 PFS와 OS(생존율)을 보면 50%과 60%입니다. 세부 아형 중 동종이식의 효과가 가장 높은 아형은 AITL로 나옵니다.

  • 25.04.05 11:03

    김교수님은 더 이상 다른 치료법이 의미가 없다고 판단하셔서 부작용과 위험을 감안하라고 시도해 볼 가치가 매우 높다고 결정하신 거라 생각합니다. 통계가 일관되지는 않지만 1) 숙주질환은 올 겁니다. 위 논문에서 이식을 한 T세포 림프종 환우들의 그레이드 2~4의 숙주질환은 30~37%정도에서 발생했습니다. 즉 2/3는 낮은 그레이드의 숙주질환을 보였다는 겁니다. 2) 이식관련 치사율은 최고 ~20% 정도이지만 다른 논문들에서는 ~10% 정도인 결과도 많습니다.
    전영우 교수님 의견도 들어보십시오. 아마 이 상황에서는 관해유도를 하고 동종이식을 진행하는 것이 최선이라고 말씀하실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합니다. 불응상태에서도 동종은 진행할 수 있지만 아무래도 이식시 병변이 심한 상태이면 이식 후 반응이 상대적으로 떨어진다고 통계에서 나오기 때문에 관해유도 치료를 하는 겁니다. 만약 완전관해가 오면 동종이식은 다지기 치료가 되고 관해가 오지 않으면 동종은 치료 + 다지기 치료가 될 겁니다.

  • 25.04.05 11:09

    위 논문들에선 반일치 자녀 동종이식이라 해도 다른 방법의 동종이식과 비교해 결과가 거의 차이가 없었습니다. 이식 기술의 변화와 발전된 합병증 관리 덕분이라고 나옵니다. 환우가 동종이식을 할 수 있는지 없는지에 대한 판단은 의료진이 하십니다. 의료진인 GO 싸인을 주시면 가능한 겁니다. 부작용과 합병증에 대한 위험 보다 관해와 완치의 가능성이 훨씬 더 높기 때문에 선택하는 거라 생각합니다. 해외라면 T세포 카티 임상을 참여해볼 수도 있겠지만 국내 여건에서는 아직 불가능하니.. 하지만 동종은 증명된 완치법입니다. 저라면 의료진의 선택을 믿고 따를 것 같습니다. 결과는 하늘에 맡길 수밖에 없겠지만요. 기도드리겠습니다.

  • 작성자 25.04.05 12:17

    상세한 논거 및 설명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큰 결정 앞두고 정말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다시 한 번 감사드립니다.
    마지막으로 질문 하나만 더 드려도 될까요?
    성모병원이 동종이식 데이터를 가장 많이 가지고 있다고 하는 것 같았는데 (좀 민감한 질문일 것 같아 거듭 고민했습니다만
    물 빠진 사람인지라 지푸라기라도 잡게 됩니다.. 혹시 실례였다면 너그러운 마음으로 양해를 좀 부탁드립니다..)
    동종을 진행할 경우 성모병원과 삼성병원의 노하우 차이가 좀 있을까요...?

  • 25.04.05 16:01

    @하프 이 경우 치료는 차이가 없을 거라 생각합니다. 하지만 합병증에 따른 협진 등이 필요할 시는 3차병원이 조금 더 낫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 작성자 25.04.05 20:52

    @steller 정말 감사드립니다. 스텔라님께도 항상 좋은 일들만 가득하시길 기원할게요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