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차례상 차리는 법 | ||||
|
차례는 명절이나 조상의 생신에 지내는 간소한 약식 제사입니다. 차례는 명절날 아침에 각 가정에서 기제를 지내는 조상의 신주나 지방 또는 사진을 모시고 지냅니다. 차례는 기제를 지내는 장손의 집에서 지내는 것이 원칙이지만 지방이나 가문의 전통에 따라 한식이나 추석에는 산소에서 지내기도 합니다. 또한 축문을 읽지 않고, 술을 한 잔만 올린다고 하나, 지방이나 집안 전통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습니다.
| |||
▶1번줄 : 과일을 놓는 줄 (조율이시 棗栗梨枾) 다른 과일들은 정해진 순서는 없으나, 나무 과일, 넝쿨 과일 순으로 차립니다. 과일 줄의 끝에는 과자류를 놓습니다.
▶2번줄 : 반찬을 놓는 줄 (좌포우혜) 우측 끝에는 식혜류(수정과)를 놓습니다. 중간의 나물반찬은 콩나물, 숙주나물, 무나물 순으로 올립니다. 고사리, 도라지나물 등을 쓰기도 하며 청장(간장) 침채(동치미, 설명절) 등은 그 다음에 올립니다.
▶3번줄 : 탕을 놓는 줄 탕을 다섯 개 올릴 경우에는 봉탕(닭,오리탕), 잡탕 등을 더 올립니다.
▶4번줄 : 적과 전을 놓는 줄
▶5번줄 : 술잔과 송편을 놓는 줄 시접(수저를 놓는 빈 대접)은 단위제(한 분을 모신)의 경우에 앞에서 볼 때 왼쪽 위치에 놓으며 양위합제(두분을 모신)의 경우에는 중간에 올립니다.
...향로 향합...
-------------------제사상 차림과 음양---------------
제사상 차림에는 각 지방의 관습이나 풍속, 그리고 가문의 전통에 따라 조금씩 다릅니다. 그래서 가가례(家家禮)라고도 합니다.
가정의례에 관한 책자에 수록된 제수진설법(제사상차림)을 보면 그림과 설명이 맞지않은 경우가 허다합니다.
그것은 그 저자가 음양의 이치를 알지 못하고 남의 책들을 이것 저것 주어모았기 때문입니다.
제사상 차림에는 음양의 법칙이 엄연히 존재하고 있습니다.
이 음양의 법칙을 이해하면 제사상 차림에는 실수가 없을 것입니다.
제사상 차림에는 좌동우서(左東右西), 조률시이(棗栗枾梨), 홍동백서(紅東白西), 생동숙서(生東熟西), 좌포우혜(左脯右醯), 어동육서(魚東肉西),
두동미서(頭東尾西), 건좌습우(乾左濕右), 접동잔서( 東盞西), 좌반우갱(左飯右羹), 남좌여우(男左女右), 좌고우저(左高右低),
좌귀우천(左貴右賤) 등의 용어들이 있습니다.
이 용어들은 모두 음양의 법칙을 내포하고 있습니다.
그러면 먼저 음양에 대하여 알아야 위의 용어들과 음양관계를 이해할 수 있습니다. 음은 약하고, 연하고, 서늘하고, 냉하고, 작고, 적고, 움직이지 않고, 젖은 것, 흰색, 검정색, 시작 등이며 양은 강하고, 억세고, 따듯하고, 뜨겁고, 크고, 많고, 움직이고, 마른 것, 붉은색, 마침 등입니다. ● 제사상은 모시는 조상을 기준하는가? 아니면 제사상을 차리는 사람을 기준하는가? 상차림(진설)은 사람이 하는 것이니 사람을 기준으로 하는것이 마땅합니다. 이하 설명도 사람을 기준으로 설명을 드립니다.
● 사람끼리의 음양은 당사자 끼리 비교하고, 사물은 사람을 기준으로 그 사물의 음양에 따라 배열한다고 위에서 설명을 드렸으니 생락합니다.
● 제사상은 어느 방향으로 차려야 하는가? 대부분 북쪽에 진설하여야 하는데, 그 방향이 불가능할 때는 그 장소의 사정에 따라 적당한 방향에 진설해도 무방하다고 합니다.
그런데, 이말은 맞지않습니다. 제사상은 남쪽으로 진설하는 것이 원칙이고,
그 방향이 불가능할 때는 적당한 방향에 진설해도 무방하다는 것이 정답입니다.
사람은 죽으면 혼은 위로 올라갑니다. 위는 하늘이고 태양입니다. 하늘은 양이고 땅은 음이며, 태양은 양이고 火입니다.정신도 火입니다.
경복궁의 방향과 관련된 일화가 있습니다.
현재의 경복궁은 남향인데 무학대사는 남향을 하면 청룡(창경궁이 있는 낙산주변과 동대문일원)이 약하여
장자가 왕손을 이어가기 어려우니, 인왕산을 뒤로하고 동대문쪽으로 동향을 하면 청룡(지금 청와대 뒷산)이 강하여
장자가 왕위를 이어갈 수 있다고 동향을 주장하였으나,
유학자인 정도전은 중국역대 어느 왕조도 대궐의 정전을 동향으로 한 경우는 없다.
산자는 태양의 양기를 받아야 하므로 남향을 하여야 한다고 주장하여 지금과 같이 남향을 했다고 합니다.
우리가 사극을 보면 임금의 칙서나 사약을 받을 때 북향재배를 합니다. 서울이남에 사는 전라도 충청도 경상도에서는 당연히 서울이 북쪽에 있으니 북향재배를 하는 것이 마땅합니다.
그런데 평안도 함경도에서도 북향재배를 합니다.
이것은 산자는 남향을 하고 죽은자는 북향을 한다는 이치이기 때문입니다.
중국 당나라 시대에 양구빈(구빈은 호, 가난한 사람도 이분이 묘를 점지해주면 가난을 면했다고 하여 그 시대 사람들이 붙여준 것임)이라는 풍수학자가 저술한 감룡경( 龍經)이라는 책이 있는데,
그 책에 대하여 청나라 풍수 구만천이 주(註)를 달아 놓은 것을 보면
"--- 圖書(하도낙서)에는 다 南方을 전면으로 하고, 북방을 후면으로 하며, 동방을 좌로 하고, 서방을 우로 하니,
사람의 신체역시 心은 火로 前(위)에 있고, 腎은 水로 後(아래)에 있고, 간은 木이니 좌에 있고 폐는 金이니 우에 있는 고로
死者(죽은사람)는 북을 전(바라보고)으로 하고 生者(살아있는사람)는 南向(남쪽을보니)하니--" 라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즉 죽은 사람은 북쪽을 바라보고 있으니 제사상은 남쪽으로 진설함이 타당합니다.
다음에 설명하는 좌동우서를 보면 더욱 명백합니다.
그러면 제사상차림에 관련된 용어를 살펴봅시다. ● 좌동우서(左東右西) 이말은 제사상을 진설하는데 가장 기본되는 말입니다. 제사상은 사람이 차리는 것입니다. 제사상을 차릴 때는 자연의 방위와 관계없이
사람의 왼쪽(조상의 왼쪽이 아님)을 동쪽으로 보고, 오른쪽을 서쪽으로 보라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위(전면 조상이 앉는곳)는 자연적으로 남쪽이 되고, 진설하는 자의 위치는 북쪽이 되는 것입니다.
태양은 동쪽에서 뜨기 때문에 동쪽이 양이고 서쪽으로 지기 때문에 서쪽이 음이 됩니다.
● 조률시이(棗栗枾梨) 어떤 책에는 조률이시로 된 경우도 있는데, 대추 밤 감은 우리 토종과실이고 배는 수입종입니다. 따라서 조율시이가 맞다고 봅니다.
그리고 과일 중에서 가장 색상이 붉은 것은 대추이니 양이고, 밤은 검붉으니 대추보다는 붉은 색으로 보면 한 수 아래입니다.
감은 익으면 홍시가 되어 붉어지는데, 배는 아무리 익어도 감처럼 붉은 색은 나올 수가 없습니다.
따라서 조률시이도 혹동백서의 원리라고 보아도 됩니다..
그런데 어떤 책에서는 대추는 씨가 한 개이니 임금이고, 밤은 알이 최대 3개가 있으니 삼정승이고, 감은 씨가 6개이니 6판서며, 배는 씨가 8개이니 8도방백이라 그 순서에 따라 놓는다는 주장이 있으나, 그 시대에는 맞을지 모르나 역사에 따라 직제가 다른
경우에는 어떻게 설명을 해야할지 난감합니다.
그리고 어느 문중에서는 자식이 제일 중요하므로 과일중 열매가 가장 많이 달리는 것이 대추이니 대추처럼 자식을 많이 낳으라는 뜻에서 1순위이고, 밤은 껍질체로 잘 묻어 두면 천년을 가니 자식을 낳아 세세천손하라는 의미가 있고, 폐백때 시어머니가 며느리
치마폭에 대추와 밤을 던져주는 것도 이와 같은 뜻이라는 것입니다.
그리고 셋째는 감인데, 감은 감씨를 심어서는 감나무가 되지않고, 고염씨를 뿌려서 묘목을 생산한후 감나무가지를 접붙여야
감나무가 됩니다.
자손만 많이 낳아 천년만년가면 쇠락하니 품종개량, 즉 개혁을 해야 한다라고 후손들에게 교육을 시킨답니다.
대추는 씨가 1개, 밤알은 최대 3개, 감씨는 6개, 배는 8개입니다. 따라서 조율시이는 씨앗의 수에 따라 정했다고 봄이 타당합니다.
● 홍동백서(紅東白西) 제사상의 같은 줄(이하 같음)에 붉은색과 흰색의 음식이 있으면 붉은 것은 동쪽(진설자의 왼족)에 흰것은 서쪽(진설자의 오른쪽)에 놓으라는 것입니다. 즉 홍시와 단감을 나란히 놓을 경우 홍시는 붉은 것이니
왼쪽에 단감은 누렇거나 청색이 들어 있으니 홍시보다는 덜 붉어 홍시의 우측에 놓아라는 것입니다.
즉 붉은 것은 양이니 동쪽(왼쪽)에, 흰 것은 음이니 서쪽(오른쪽)에 놓으라는 것입니다.
● 생동숙서(生東熟西) 익히지 않은 음식은 동쪽(왼쪽)에 익힌 음식은 서쪽(오른쪽)에 놓으라는 것입니다. 생나물과 삶은 나물이 있으면 생나물은 왼쪽(살아있으니 양)에 삶은 나물은 죽은 것이니 음이므로 오른쪽(음,서쪽)에
놓으라는 것입니다.
● 어동육서(魚東肉西) 바닷고기는 왼쪽(동쪽,양)에 육지고기는 오른쪽(서쪽,음)에 놓으라는 것입니다. 바다는 물이고 물은 움직이니 양입니다. 육지는 땅인데 움직이지 못하니 음이기 때문입니다.
풍수학에서도 물을 양으로 보고, 산을 음으로 봅니다. 즉 동정론(動靜論)입니다.
● 좌포우혜(左脯右醯) 포는 어물을 말린 것이니 물에서 생산된 것이므로 양이고, 식혜는 쌀등으로 육지에서 생산된 물건이므로 음입니다. 위 어동육서와 같은 動靜의 이치입니다.
● 두동미서(頭東尾西) 머리와 꼬리가 있는 음식은 머리를 왼쪽(동쪽,양)으로 꼬리를 오른쪽(서쪽,음)으로 놓아라는 것입니다. 어느 집단의 대장을 우두머리라고 합니다. 대장은 높으니 양이고 부하나 졸병은 그 지위가 낮으니 음입니다.
꼬리보다는 머리가 높으니 왼쪽인 양에 머리를, 오른쪽인 음에 꼬리가 가도록 놓으라는 것입니다.
63빌딩 수족관에 가면 전기뱀장어가 있습니다. 그 전기뱀장어의 설명을 보십시오.
머리는 극이고 꼬리는 -극라고 설명이 되어 있습니다.
● 건좌습우(乾左濕右) 마른 것은 양(木火)이니 왼쪽에, 젖은 것(金水)은 음이니 오른쪽에 놓아라는 것입니다. 접동잔서 좌반우갱과 깉은 맥락입니다. ● 접동잔서(摺東盞西)--- 평상접자입니다. 접시에 담는 것은 물기가 없는 것이니 양이므로 왼쪽에, 잔에는 술 등 물을 담는 것이니 음이므로 오른쪽에 놓으라는 것입니다. 건좌습우 접동잔서와 같은 맥락입니다.
● 좌반우갱(左飯右羹) 밥은 국에 비하여 물기가 적으니 양이므로 왼쪽에, 국은 물기가 있으니 음이니 오른 쪽에 놓으라는 것입니다. 즉 위의 건좌습우 접동잔서와 같은 이치입니다. 이 국과 밥의 위치에 대하여 집안마다 각각 다른 경우가 많습니다.
음양의 이치에 따라 밥은 왼쪽에 국은 오른쪽에 놓는 경우가 있고, 조상님이 강림하시어 제사음식을 사람처럼 잡수시니
신위 쪽에서 볼 때 사람과 같이 왼쪽에 밥을 오른쪽에 국을 놓아야 된다는 이유로 우반좌갱을 고집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주자가례도, 도암사례편람제찬도, 율곡격몽요결제찬도, 경기지방제찬도, 강원지방제찬도,
가정의례제찬도 등에도 모두 밥을 왼쪽에 국을 오른쪽(상을 차리는 사람기준)에 놓고 있으며 음양의 법칙에도 맞으므로
좌반우갱이 맞다고 봅니다. 제사상을 차리면서 절대로 조상이 강림하여 사람처럼 음식을 먹는다고 생각하시면 안됩니다.
● 남좌여우(男左女右)는 제사를 모실 때 중앙을 중심으로 남자들은 좌측에 여자들은 우측에 서라는 뜻입니다. ● 좌고우저(左高右低)는 예를 들어 산채와 야체가 있으면 산체는 높은 곳에서 난 식물이니 양이므로 왼쪽에, 들에서 키운 채소는 낮은 곳에서 난 것이니 음이므로 오른쪽에 놓으라는 것입니다.
● 좌귀우천(左貴右賤)은 귀한 것은 양이니 왼쪽에 흔한 것은 음이니 온른쪽에 놓아라는 것입니다.
이와같이 우리 조상들은 변하지 않는 자연의 법칙을 즉 음양의 법칙을 이용하여 질서정연한 규범을 만들어 놓았습니다. 차례 지내는 법
▶ 복 장 : 한복은 두루마기까지 입고, 양복은 넥타이를 맨 정장 차림을 한다. ▶ 좌 석 : 신위를 중심으로 우측은 남자, 좌측은 여자가 위치한다. ▶ 지내는 순서 |
첫댓글 이번명절에 장손이 근무라서 차례를 지내지못하는바람에 차례상놓는순서에 우왕좌왕 했습니다 .차례상정보를남편보여줬더니아주반가와라하며 인쇄하라해서 인쇄했습니다 다음에참고할모양입니다. 좋은정보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