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치충돌
색소심의 천하가 오랜시간 지속되고 있습니다.
무늬소심과 형태소심이 가격적 천대를 받고 있습니다.
결국 과포화상태와 실증상태에서
새로운 인기주는 부상하기 마련입니다.
상식과 기본을 알면 개념이 생깁니다.
오늘 토론주제는
색, 무늬, 화형의 가치기준입니다.
색소심 기준으로 생각해 보겠습니다.
1. 색이 예쁜 난이 좋다.
2. 무늬 또는 화형이 좋은 난이 좋다.
(물론 색과 무늬와 화형까지 갖춘
좋은 난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주금소심은 주금화로 최고이고
소심으로도 최고여야 명품입니다.
복륜소심은 복륜화로 최고이고
소심으로도 최고여야 명품입니다.
두화소심은 두화로도 최고이고
소심으로도 최고여야 명품입니다.
정리해 보겠습니다.
1.주금화의 최고봉은?
지인, 큰별, 목성, 청도, 화성, 여울, 옥보,
삼다도, 주상, 주몽, 주묵,
(모두 색과 화형을 갖춘 명품들입니다)
주금소심중 주금화로 이들을 능가하는 색소심이 있습니까?
2. 소심의 최고봉은?
만불소, 일란소, 운정소, 십자성, 동자소,
천일소, 정은소,
주금소심중 소심가치기준으로 이들을 능가하는 색소심이 있습니까?
3.화형의(두화) 최고봉은 ?
둘리, 천운, 자앵두, 원앵두, 눈망울, 일출화,
철옹성, 용정소,
주금소심 중 화형으로 이들을 능가하는
색소심이 있습니까?
리트리버가 있고(색화)
진도개가 있습니다(소심).
리트리버는 외국종인데 순종적이고 지혜롭습니다.
진도개는 토종이고 충성심이 강하고
용맹합니다.
하지만 주인이외에는 공격성도 강합니다.
리트리버와 진도개가 합쳐진 믹스견이 출현했습니다.(색소심)
충성심도 강하고 사람에게 순종하며
용맹스러운 개는 안타깝게도 없습니다.
(주금두화소심)
모든 사람을 따르고 순종적입니다.
(A급주금화에 B급소심)
또는 주인만 따르고 용맹합니다.
(B급주금화에 A급소심)
색소심은 믹스견의 한계를 벋어나기 힘든
상황임에도
다예품과 희소성 가치로 포장했습니다.
더군다나 잎까지(얼굴이 아닌 풍채와 외모)
따져 무엇하겠습니까?
진돗개가 비싸야 합니까, 리트리버가 비싸야합니까,
믹스견이 비싸야 하겠습니까?
저의 화예품가치는 화형 무늬 색 순서입니다.
즉 중투두화소심이 으뜸이고
두화소심이 다음이고
복륜소심이 다음이며
홍화소심이나 색소심이 하위입니다.
지나치게 과대평가 된 색소심과 다예품들이
몇 년만에 절반이하 가격하락으로
다수의 피해자가 생겨 나는데,
색과 무늬와 화형의 절대가치평가를 생각해 보자는 취지로 저의 주관적인 관점을
말씀드려 보았습니다.
난보다 사람이 먼저이고 난문화와
난인의식을 생각하는 콕회원님들은
어떻게 생각하시는지요?
카페 게시글
蘭 이야기
가치충돌
다음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