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회기에서는 아동들이 각자의 조각보 디자인을 구상하고 준비하는 과정이 진행되었다. 아동들은 대체로 높은 관심과 열의를 보였으며, 대부분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자신만의 디자인을 구상했다. 서로의 아이디어를 나누면서 창의성이 발휘되었다. 이번 활동은 바느질을 많이 하는 것보다 가방 가운데에 조각보의 색상을 골라 포인트를 주는 작업이라 저학년 아동들도 쉽게 참여할 수 있었다. 조각보의 색상과 패턴을 정할 때, 몇몇 아동들은 매우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내며 친구들에게 조언을 아끼지 않았다. 한*영 아동은 전통적인 색상 조합에 현대적인 패턴을 더해 디자인을 완성했다. 김*린 아동은 처음에는 색상 선택에 어려움을 겪었으나, 친구들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자신만의 색상 조합을 찾고 즐겁게 참여할 수 있었다. 평소 수업 시간에 집중하지 못하던 아동들도 조각보 디자인을 구상하는 동안 차분해지고 몰입하는 모습을 보였다. 대부분의 아동들이 디자인 작업에 깊이 빠져들며, 작품의 세부 사항까지 신경 쓰는 모습을 보였다. 특히, 샘플을 보여주자 아동들이 고급스럽고 멋지다며 이번 가족캠프 때 메고 가겠다는 등 많은 흥미를 보이며 참여했다. 이처럼 아동들은 디자인 과정에서 창의력과 집중력을 키우며 즐거움을 경험할 수 있었다. 다만, 소수의 아동들이 조각보의 색상 선택 과정에서 의견 차이가 있었다. 서로 붉은색과 파란색을 선호하며 양보하지 않았다. 교사는 두 아동에게 각자 원하는 색상을 사용할 수 있도록 조각보의 다른 부분을 나눠서 사용하도록 제안하였다. 이를 통해 두 아동은 타협점을 찾고 작업을 계속할 수 있었다. 2회기에서는 누빔 보조가방에 이니셜 키링을 만들어 부착하는 작업이 진행되었다. 이번 회기에서는 아동들이 첫 회기보다 더 높은 집중력과 성실함을 보여주었다. 특히, 이니셜 키링 작업이 세밀함을 요구했기 때문에 아동들은 더욱 신중하게 작업에 임했다. 대부분의 아동들은 서로 도우며 협력하는 모습을 보였으며, 작업에 큰 흥미를 나타냈다. 키링에 줄을 연결하고 이니셜을 끼우는 과정에서 아동들은 바느질보다 쉽고 재미있다고 느꼈다. 바늘땀이나 바늘 크기를 쉽게 조정할 수 있도록 교구를 준비해 작업이 수월하게 진행되었다. 다만, 일부 아동들은 처음에 작업이 어렵다고 느껴 시도하지 않으려는 모습을 보였다. 강사님은 시범을 보여주며 어려운 부분에서는 직접 도움을 제공해 아동들이 작업을 계속할 수 있도록 도왔다. 이를 통해 아동들은 작업을 포기하지 않고 끝까지 참여할 수 있었다. 완성된 보조가방과 이니셜 키링을 보며 아동들은 매우 만족스러워했다. "어떻게 이렇게 멋진 작품이 나왔는지 모르겠어요"라며 놀라워했고, "우리 전통 누빔 보조가방이라 더 고급지고 멋있어요"라고 소감을 밝혔다. 아동들은 자신이 만든 작품에 큰 자부심을 느끼며, 전통 공예의 아름다움과 가치를 새롭게 경험하는 시간을 가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