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원교회(담임
안동철 목사)가
6월
7일(주일)
설립
120주년을
맞아 설립 감사예배와 다채로운 행사를 가졌다.
창원교회는
고신교단에서 두 번째로 오래된 역사를 자랑하는 교회로,
1895년
6월
5일
박치우,
유사림
2인이
복음을 받아들여 창원군 창원면 북동리 123번지
유사림 씨의 사저에서 설립예배를 드림으로 시작되었다.
|
  |
|
▲
창원교회당 |
창원교회가
설립된 1895년은
우리 민족적으로는 큰 역사적 사건이 있었던 해였다.
창원교회가
설립되고 두 달 후인 8월
20일
일제는 한반도에 대한 자국의 영향력을 확대하기 위해 고종황제의 부인인 명성황후를 시해하는 을미사변을 일으켰다.
이런
민족적 위기가 계속되는 가운데 무명의 두 사람에 의해 시작된 하나님 나라 운동이 120년의
세월동안 지속된 것이다.
특별히 창원교회가 위치한 주변지역은 뿌리 깊은 우상숭배와 무당들이 많은 곳으로 영적으로 매우 어두운 곳인데, 창원교회는 이 지역에서 복음의 방주
역할을 지금까지 계속해 오고 있다.
기념예배 및
타종식
창원교회는
설립주일을 맞이하여 1부
예배 시간의 설교를 통해 안동철 목사가 창세기 49장
22절을
본문으로 “창원교회는
샘 곁의 무성한 가지라”라는
제목으로 말씀을 전하였다.
안목사는
“창원교회를
둘러싼 담장 안의 환경은 요셉과 같이 악조건의 연속이었지만,
하나님의
은혜로 담장 밖을 넘는 나뭇가지가 되어 세상을 섬겼다”고
전제하고,
“선진들이
전해준 믿음의 유산에 안주하지 말고 다음세대에 더욱 건강하고 힘있게 전하자”고
말씀을 전했다.
1부
예배 후,
2부 순서로 1906년에
30평의
예배당을 헌당하면서 교회당에 달린 종을 보존하는 특별한 순서를 가졌다.
이
종은 일제시대 전쟁물자로 공출 당했던 아픔을 겪었지만,
하나님의
은혜로 창원지서(파출소)에서
화재 등 긴급 재난 알림종으로 사용되게 되어 보존되었다,
그후 해방과
더불어 전덕문 집사가 종을 회수하여 다시 교회에 설치하게 된, 창원교회에서는 역사적으로 큰 의미가 있는 종이다.
|
  |
|
▲ 1906년 최초로 설치되었던 교회 종
|
  |
|
▲ 미래세대가 종을 12번 울리고
있다. | |
이날
의미를 더하기 위해 종의 제막식을 가졌는데, 과거 120년의
역사를 소중히 여기겠다는 의미로 교회의 리더십 그룹과 원로그룹, 그리고 외부 초청자들이 함께 했다.
그리고
타종식은 교회의 미래인 청년,
학생,
유아
등 다음세대가 했는데,
교회의
역사 120년을
의미하여 10년을
1번으로
하여 12번
종을 울리는 행사를 거행했다.
그리고
경남 기독문인 회원인 이혜좌 집사가 <120년의
역사로 주님께 영광>이라는
자작시를 교회의 다음세대인 SFC
김해임 학생이
낭독하고,
마지막으로
교회의 미래인 어린이 중창단과 함께 전 교인이 <이런
교회가 되게 하소서>라는
찬양을 함께 찬양함으로 기념예배와 타종식 순서를 마쳤다.
기념음악회 및
홈커밍데이
오후예배는
기념음악회와 홈커밍데이로 진행되었는데,
안동철
목사가 간단히 말씀을 전한 후,
창원교회
29대
담임목사인 김득진 목사(마산신광교회
원로)가
인사말과 축도를 하였다.
예배
후 경남노회 권사합창단인 쉬르 합창단과 창원교회 할렐루야 찬양대가 지난 고난의 역사 동안 함께 하신 하나님의 은혜를 찬양하는 시간을
가졌다.
|
  |
|
▲ 설립 120주년 기념음악회 장면
|
  |
|
▲ 설립 120주년 기념음악회
장면 | |
기념음악회
후에는 창원교회를 거쳐 간 분들과 홈커밍데이를 하였다.
한
가지 에피소드는 김득진 목사가 시무할 시 학생이었던 정영환 피택장로(현
중학교 교장)가
당시 어려운 가정형편 가운데 있었는데,
이때
김득진 목사가 2000원과
함께 성경구절을 적어줬는데,
이날
그날 받은 돈의 100배인
20만원을
드리며 감사하는 감동적인 시간을 가졌다.
홈커밍데이는
30대
담임목사인 전영환 목사가 식사 기도를 함으로 함께 과거를 회상하며,
교제하는
은혜로운 시간을 시간을 가졌다.
한편
이날 행사를 축하하기 위해 각지에서 축전과 화환을 보냈는데 김철봉 총회장, 변종길 고려신학대학원장 등이 화환을 보내
축하했다.
|
  |
|
▲ 29대 담임목사에게 정영환 교장선생이
금일봉을 전달하고 있다. |
이모저모
|
  |
|
▲ 어린이 중창단이 특송을 하고
있다 |
|
  |
|
▲ 120년 역사의 종을 제막하고
있다. |
|
  |
|
▲ 120주년 기념예배를 마치고
기념사진 |
|
  |
|
▲ 총회장과 고려신학대원장, SFC 등이
보낸 축하화환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