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동의보감(東醫寶鑑)》은 허준 등이 지은 한의학에 대한 임상의학 백과사전으로서, 1610년(광해군 2년)에 완성된 의학서이다. 당시 의학을 집대성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허준이 직접 간행에 관여하여 나온 동의보감의 어제본은 국립중앙도서관과 한국학중앙연구원에 소장 중으로, 각각 보물 1085호와 1085-2호로 지정되었으며,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록되었다. 집필 과정허준이 선조의 명을 받아 1596년(선조 29년)부터 정작(鄭碏), 이명원(李命源), 양예수(楊禮壽), 김응탁(金應鐸), 정예남(鄭禮男) 등 여러 명과 함께 집필하기 시작했다. 1597년 정유재란 때문에 집필이 중단되었지만, 정유재란이 끝나자 허준 혼자 집필을 계속하여 1610년(광해군 2년)에 완성했고, 1613년(광해군 5년) 내의원에서 훈련도감의 개주갑인자로 간행하였었다. 15년간 230여종의 책을 참고하여[1] 총 25권으로 정리되었다. 판본《동의보감》의 판본은 다음이 있다.
현재 규장각, 장서각, 국립중앙도서관 등에 있으며, 1986년에 태학사에서 1613년의 활자본 및 그 이후의 중간본을 탕액편만 모아 영인한 적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과 한국학중앙연구원에 소장 중인 동의보감 어제본은 2009년 7월 31일 그 가치를 인정받아 바베이도스의 수도 브릿지타운에서 열린 유네스코 제9차 세계기록유산 국제자문위원회에 의해 대한민국의 7번째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되었다.[2] 번역본한국학 중앙연구원에는 궁중에서 쓰던 19세기에 번역된 한글본을 소장하고 있는데 이것은 궁체풍의 반흘림체로 풀어 쓴 것이다. 현재 전하는 조선시대의 유일한 한글 번역본이다. '내경' 편의 1·3·5권만 남아 있다. 1권 앞부분에 전체 25권의 목차가 실려 있다. [3] 내용내용은 내과학인 내경편(內景篇), 외과학인 외형편(外形篇), 잡병편, 약방 관계의 탕액편(湯液篇), 침구편 등으로 되어 있으며, 각 편마다 여러 항목이 있고, 각 항목마다 소제목들과 단방(單方), 침구법(針灸法)이 있다. 동의보감의 특징《동의보감》은 내용이 매우 체계적으로 잘 짜여져 있고, 각 병마다 처방을 풀이한 체제로 되어 있어 활용하기에 편하여서, 조선뿐만 아니라 일본과 중국에서도 여러 번 출판되었다. 《동의보감》의 특징은 본문이 거의 대부분 인용문으로 되어 있는 것이다. 각 소제목별 본문은 편저자가 직접 기술한 내용이 아니라, 당시 사용하던 여러 서적에서 인용한 것이다. 총 25권의 책에 실린 모든 본문에 대해 인용 출처를 밝혔고, 이러한 인용을 자신이 편집한 맥락에 맞추어 재해석했다는 점에서 가치가 인정된다. 이것은 당시 다양한 관점의 의학 저서를 하나의 관점에서 통합·정리한 것으로, 당시 의학을 집대성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동의보감은 조선의 의서인 의방유취와 향약집성방을 비롯해, 본초강목 등 중국의 의서 86종과 민간에 내려오던 요법까지 포함하고 있다. 19세기까지 서양에선 등장하지 않았던 '국민의 보건의료에 대한 책무가 국가에 있다'는 근대적 이념을 형성하고 있다. 실용성을 중요하게 여겨 쉽게 구할 수 있는 약물재료를 바탕으로 병이 생기기 전에 치료한다는 `양생`의 개념을 적극 제시하고 있다. [4] [ 참고사항][자료출처: http://cafe.daum.net/gyfhwlstk02/NUhI/39]
1관=6근 6냥중=100냥, 1근=16냥, 1냥=10전, 1전=10푼, 1푼=1돈. 1관=3.75kg, 1근=600g, 1냥=37.5g, 1전(돈)=3.75g, 1푼=0.375g. 한 홉은 한 되의 10분의 1로 약 180ml에 해당한다.
(차림표)...약초명으로 클릭해 보세요. (제목에 마우스를 대고 클릭하시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독성도 없고 오래 복용해도 되는 142종 약초 ........14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