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체의 최적화된 움직임의 회복이 치료다라고 결론을 내린 뒤 나의 공부는 달라지고 있다.
어떻게 유연성을 가지면서 최고의 힘을 발휘하면서도 stability를 잃지 않을 수 있을까?
어떻게 가능할까?
평소 어떻게 움직여야 할까?
평소 어떤 운동을 얼만큼 해야할까?
무엇을 얼마나 먹어야 할까?
http://www.getbodysmart.com/
근육을 벗겨볼 수 있는 재미있는 사이트!
panic bird..
I.A. Kapandiji저
1. 어깨관절
- 어깨는 인체에서 가장 가동성이 큰 관절이다.
- 횡축, 전후축, 수직축 3개의 주운동축이 있다.
- 3도의 운동자유도(?)를 가지고 있는 관절
- 신전 45-50도
- 굴곡 180도
- 내전(adduction) 30-45도
외전(abduction)
- 순수한 외전은 힘들다.
- 0~60도의 외전은 어깨관절에서만 일어남
- 60~120도의 외전은 scapulothoracic견갑흉곽에서 운동을 보충
- 120~180도의 외전은 어깨관절, 견갑흉곽관절, 반대편의 체간의 굴곡이 관여
팔의 축회전
- 외측회전 80도
- 내측회전 100~110도
수평면에서의 어깨연결대 운동
- 후방운동(능형근, 승모근, 광배근)
- 전방운동(대흉근, 소흉근, 전거근)
- 표준자세(삼각근, 극상근, 승모근, 전거근)
- 수평굴곡 140도(삼각근, 견갑하근, 대흉근, 소흉근, 전거근)
- 수평신전 30도(삼각근, 극상근, 극하근, 능형근, 승모근, 광배근)
원회전 운동
- 원회전 운동이 최대한으로 충분히 일어날때 팔은 공간에서 불규칙한 원뿔을 그린다.
Codman's paradox
- ??
어깨의 전체적 기능평가에 필요한 운동
제 1운동
- 머리빗기, 목뒤에 손대기
- 어깨의 외전이 120도, 외측회전이 90도까지 가능하다는 의미
제 2운동
- 코트입기
5개의 관절로 이루어진 다관절 복합체(shoulder girdle)
1) scapulo-humeral joint
2) subdeltoid joint
3) scapuo-thoracic joint
4) acromio-clavicular joint
5) sterno-clavicaular joint
어깨관절의 관절면
1) 상완골두(head of the humerus)
2) 견갑골의 관절와(glnoid cavity of the scapular)
3) 관절순(glenoid labrum)
회전의 순간중심
- 관절면에서의 만곡중심이 회전의 중심과 항상 일치하는 것은 아니다. 왜냐하면 관절면의 형태, 관절면의 기계적 인자, 인대나 근수축의 긴장 등 많은 인자가 운동에 영향을 미치고 있기 때문.
어깨의 관절낭과 인대
-
삼각근하 관절(subdeltoid joint)
- 생리적 관절
견갑흉곽관절( scapular-thoricic joint)
- 제 3흉추높이, 제 7-8흉추높이, 5-6cm떨어짐
어깨 연결대의 운동
1) thorax위에서 내측 및 외측운동
2) chest wall에서 내측 및 외측운동
3) 견갑골의 거상과 하강
4) 견갑골의 경사 또는 회전
견갑흉곽 관절의 real movement
- 외전시 견갑흉곽관절은 일련의 복잡한 운동이 일어난다.
흉쇄관절, 견쇄관절
오훼쇄골인대(coracoclavicular ligaments)
어깨 연결대의 운동근
후면의 근육
1. 승모근
- 작용이 다른 3부분으로 형성.
- upper acromio-clavicular fiber. 어깨 연결대를 거상시키고 무거운 짐을 들때 아래로 처지는 것을 방지
- intermidiate transverse fiber. 견갑골의 내측연을 척추쪽으로 당기는 역할
- lower fiber. 견갑골을 하내측으로 당기는 역할.
2. 능형근
- 견갑골을 상내측으로 끌어당김
3. 견갑거근
- 능형근과 같이 견갑골을 상내측으로 끌어올리는 역할
4. 전거근
- 상부섬유는 견갑골을 외측으로 끌어당김
- 하부섬유는 견갑골을 윗쪽으로 회전시킴
앞면의 근육
1. 소흉근
- 어깨연결대를 끌어내리는 역할
2. 쇄골하근(subclavius)
- 쇄골과 평행하게 달려있고, 쇄골을 끌어내리고 그 결과 어깨 연결대가 아래로 끌리는 역할
극상근과 외전
- 삼각근과 극상근이 함께 작용하여 어깨외전 시작
- 전거근, 승모근은 견갑흉곽관절에서 외전을 돕는다.
- 견갑하근, 극하근, 소원근은 약간의 외전 역할
외전의 생리학
- 삼각근은 7개의 기능적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부 섬유띠는 2개, 중부 섬유띠는 1개, 후부 섬유띠는 4개의 성분으로 구성
- 순수한 외전을 할때에 작용하는 순서는 다음과 같다.
- 견봉부 3번
- 후부 4, 5번이 즉각적으로 따름
...
회선근의 역할은 삼각근, 극상근의 협동에 대단히 중요
외전의 3상태
1. 제 1상태(the first phase) - 0~90도
- 삼각근과 극상근의 작용
- 30도의 굴곡위치에서 진짜 외전이 시작됨
2. 제 2상태(the second phase) - 90~150도
- 승모근과 전거근이 협동작용
- 견갑흉곽관절, 흉쇄관절, 견쇄관절이 도움
3. 제3 상태(the third phase) - 150-180도
- 척주의 운동이 필요
굴곡의 3상태
1. 제 1상태(the first phase) - 0~5-60도
- 삼각근 전부섬유 1
- 오훼완근
- 대흉근의 쇄골부섬유
2. 제 2상태(the second phase) - 60~120도
- 흉쇄 및 견쇄관절에서 축회전으로 30도씩 관여. 승모근, 전거근이 작용
3. 제3 상태(the third phase) - 120-180도
- 척주의 운동이 필요
팔의 회전근
1) 내측회전근 - 광배근, 대원근, 극상근, 대흉근
2) 외측회전근 - 극하근, 소원근
내전근
- 대원근, 광배근, 대흉근, 능형근
신전근
- 대원근, 소원근, 삼각근 후부섬유, 광배근
- 능형근, 승모근 중부섬유, 광배근
제 2장. 주관절
- 해부학적으로 팔꿈치는 단 1개의 관절강을 갖는 단일관절이다.
- 굴곡신전, 회내회외의 움직임
신전의 제한
- 주두와에서 충돌
- 관절전방인대의 긴장
- 팔꿈치 굴곡근(상완이두근, 상완근, 회외근)의 저항
첫댓글 잘봤습니다 ㅎㅎ 삼도자유도는 운동해부 및 기능학 첫 챕터에 나와있는데요~ 시상, 전두, 수평 회전축으로 움직일수 있는냐를 따져서 3도가 최대의 움직임으로 보는 식이더라구요 (물음표가 있길래요...며칠전에 본거라 반갑기도 하고요^^)
고마워!!
이 싸이트 수업시간에 잠깐 언급하셨던 거군요~ 한번 가봐야지 했는데~감사합니다ㅋ교수님~
혹시 위 그림있는 책도 있는건가요;;?? 있다면 제목 좀 알려주세요!!!
없어요.. 인터넷에 다 있어요. 약간 찾는 수고를 하면 되죠. 구글에서 찾으면 쉽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