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도불교의 주변 전개--
'이상적 인간상' 부처님에 대한 믿음 전파
지역 특성 따라 남방.북방불교
언어별로 팔리.한문.티베트어권
불교는 인간의 지혜로움을 보여주는 종교이다. 싯다르타 태자가 부처님이 된 이후 그의 행적은 지혜로운 인간의 삶을 여실히 보여 주었다. 승가(僧家)가 불교의 역사적 주체로서 그 사회성을 발휘함에 있어서도 언제나 부처님은 그 중심이었으며, 그의 언행(言行)은 불교도에게 절대적 영향을 끼쳤다.
부처님 입멸후 인도에서 불교가 사라질 때까지 부처님은 삼보 중의 불보(佛寶)로서 그 존경을 받았다. 부처님에 대한 존경은 인도에서 전개된 모든 불교에 있어서 공통적이었다. 그렇지만 대승불교의 흥기로 인해 부처님의 존재는 단순한 존경의 대상이 아니라 바로 그렇게 되어야 하는 인간의 모습이기도 하였다. 이러한 인간으로서 부처님의 모습은 대승불교에서는 보살로 나타나고, 후대 밀교에 이르러는 즉신성불(卽身成佛)의 개념으로 나타났다. 곧 우리 인간이 바로 부처이며, 모든 인간들은 이상적인 인격으로서 부처님의 가능성을 간직하고 있다는 확고한 믿음이었다.
이렇게 부처님이 되기를 염원하고 나아가 모든 인간이 부처가 될 수 있다는 믿음은 불교의 독특한 특징으로서 불교가 인도사회를 벗어나 주변지역으로 전개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다양한 윤리와 도덕을 설하는 불교는 인도의 주변지역으로 전해져 열렬한 환영을 받았다. 이렇게 주변지역으로 전해진 불교를 그 역사적 전개에 따라 전통적으로 남방불교(南方佛敎), 북방불교(北方佛敎) 등으로 나눈다.
남방불교란 인도에서 보아 남쪽지역으로 전해진 불교라는 의미이다. 아쇼카왕 당시 그의 아들인 마힌다가 스리랑카에 불교를 전해준 것이 그 시초로, 이 스리랑카를 중심으로 태국, 캄보디아 등 남아시아로 전개되었다. 이곳에 전래된 불교는 부파불교의 교리를 간직한 상좌부(上座部)의 불교로서, 이 지역의 불교를 상좌불교 또는 장로불교(長老佛敎)라고도 한다. 시기적으로 대승불교 이전의 불교가 전래된 까닭에 대승불교권과는 다른 인도 초기의 불교형태를 보여주고 있다.
북방불교란 인도에서 보아 북쪽으로 전개된 불교라는 의미로, 중국으로 이어지는 실크로드의 지역을 포함해 중국, 한국, 일본으로 전개된 동아시아 불교를 가리킨다. 동아시아 불교는 한자를 공통의 문화권으로 하고 있는 까닭에 한역불교권(漢譯佛敎圈)이라고 한다. 이 한역불교권에 전해진 불교의 중심적 교리가 대승불교이기 때문에 대승불교권이라고도 한다.
인도 북쪽지역에서는 부파불교 가운데 설일체유부가 큰 세력을 가지고 성행하였던 까닭에 한역불교문헌에는 설일체유부의 문헌이 많이 남아있다. 그렇지만 대승불교의 교리를 담은 문헌이 번역되자 그 교리적인 내용은 열렬한 환영을 받았고 적극적으로 받아들여졌다. 이러한 번역을 바탕으로 대승불교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져 동아시아 불교의 특징인 종파불교(宗派佛敎)로 발전하였다. 중국에서 뿌리를 내린 종파불교의 전통은 한국, 일본으로 이어져 오늘날에까지 전해지고 있다.
그리고 인도불교의 주변 전개를 오늘날 남아있는 불교문헌 즉 대장경(大藏經)을 기준으로 분류하기도 한다. 이것은 대장경이 남아있는 지역과 그 대장경을 기록한 언어에 의한 구분으로서, 팔리어불교권(=남방불교), 한문불교권(=북방불교) 외에 티베트어불교권(=티베트불교)으로 구분된다. 티베트는 대승불교의 후기 곧 밀교가 흥기할 무렵에 불교가 전래되어 대승불교 중심의 북방불교와도 다른 모습을 보이고 있다. 오늘날 달라이라마로 대표되는 티베트 불교는 기존의 남방, 북방의 불교와는 다른 독특한 모습으로 전세계의 종교문화에 큰 영향을 끼치고 있다.
위덕대 불교문화학부 이태승 교수
[불교신문 2181호/ 11월23일자]
역대 불교의 종파 /펌
불교의 종류라면 이상하지만, 부처님 사후 100년 무렵부터, 부처님 당시 계율에 대한 약간의 견해차이로 인해 불교는 부파가 발생하여 장로부와 대중부로 나뉩니다. 이를 '근본분열'이라고 합니다. 이어 대중부가 8개로, 장로부가 10개로 더 세분화되어 '근본분열'둘을 포함하여 20개 분파까지 늘어 납니다. 이를 '부파불교'시대 또는 '아비달마불교'시대라고 합니다.
그리고, 대중부가 '발전하여 스스로 '대승불교'라 칭하고, 대승불교가 티벳, 중국, 한국, 일본, 대만, 홍콩 등 동북아지역으로 전파되어 이를 '북방불교'라 합니다. 또한, 장로부 계통이 스님들이 전문적 교리 연구와 개인적인 깨달음만 추구하는 모습을 보고 대중부의 스님들은 '소승불교'로 폄하합니다.
소승불교는 스리랑카, 태국, 베트남, 라오스 등 서남아, 동남아지역으로 전파되어 '남방불교'라 칭합니다. 그리고, 이후 7세기경 인도의 전통사상을 받아들인 '밀교'가 나타납니다. 8세기경 밀교를 기점으로 인도불교는 힌두교화되어 불교가 인도에서 힘을 잃게 됩니다.
* 불교의 종파는 인도 당시 용수, 마명에서 비롯된 중관학파와 이에 공사상이 허무적으로 치우치는 것에 반기를 든 무착과 세친의 유가행파가 형성되었습니다.
그리고, 용수의 중론, 십이문론, 제바의 백론이 중국에서 삼론종으로 발전하였습니다. 중국에서는 노장사상을 빌어 불교를 소개한 격의불교시대가 있었고, 수나라 시절에 삼론종, 천태종, 삼계종이, 당대에는 선종, 화엄종, 위앙종, 임제종, 조동종, 운문종, 법안종 등이 성립 발전하였습니다. 송대에는 정토종, 원대는 티벳불교인 라마교가 들어 왔고, 백련교가 널리 퍼졌습니다.
-관리자-
가지산문 [ 迦智山門 ] 통일신라시대에 전남 장흥군 가지산 보림사(寶林寺:迦智寺)를 중심으로 하여 일어난 선종(禪宗) 9산문(山門)의 한 파.
경량부 [ 經量部 ] 인도 소승불교의 부파(部派).
공종 [ 空宗 ] 유종(有宗)의 반대개념으로, 공(空)사상을 종지(宗旨)로 삼고 있는 불교 종파에 대한 통칭.
교종 [ 敎宗 ] 1424년(세종 6)의 선(禪)·교(敎) 양종을 통합 때 화엄(華嚴)·자은(慈恩)·중신(中神)·시흥(始興)의 4종파를 합한 불교 종파.
구사종 [ 俱舍宗 ] 《아비달마구사론(阿毘達磨俱舍論)》을 경전으로 하는 불교의 종파.
금강승 [ 金剛乘 ] 밀교(密敎)의 한 종파인 진언종(眞言宗)을 일컫는 말.
남방불교 [ 南方佛敎 ] 남아시아 여러 지역의 불교.
남산종 [ 南山宗 ] 중국 당(唐)나라 도선(道宣)이 세운 율종(律宗).
남종선 [ 南宗禪 ] 당(唐)나라 혜능(慧能)에 의해 성립된 불교 선종(禪宗)의 일파.
니치렌종 [ 日蓮宗(일련종) ] 일본의 불교종파.
다문부 [ 多聞部 ] 인도불교의 소승(小乘) 20부(部) 중에 불멸(佛滅) 후 200년경 대중부(大衆部)에서 갈라진 일파.
대승불교 [ 大乘佛敎 ] 대승의 교리를 기본이념으로 하는 종파(宗派)의 총칭.
대중부 [ 大衆部 ] 소승불교의 대표적 종파.
대한불교미륵종 [ 大韓佛敎彌勒宗 ] 1942년 전남 광산(光山)에서 조계종 승려 김계주(金桂朱)가 무교(戊敎)를 창시한 불교 종단.
대한불교법상종 [ 大韓佛敎法相宗 ] 전북 금산사(金山寺)의 개산자(開山者)인 신라의 고승 진표(眞表)를 종조(宗祖)로 삼은 불교
종단.
대한불교법화종 [ 大韓佛敎法華宗 ] 1946년 5월 정각(正覺) 혜일(慧日)이 고려의 대각국사(大覺國師)를 종조(宗祖)로 하여,
법화도량(法華道場)인 무량사(無量寺:서울 성북동 소재)를 짓고 창종(創...
대한불교보문종 [ 大韓佛敎普門宗 ] 서울 보문동(普門洞) 보문사에서 1972년 비구니 이긍탄(李亘坦)이 창종(創宗)한 불교 종단.
대한불교관음종 [ 大韓佛敎觀音宗 ] 1965년 12월 서울 숭인동(崇仁洞)의 묘각사(妙覺寺)에서 법화종(法華宗)의 이홍선(李泓宣)이 분립하여
고려 대각국사(大覺國寺) 의천(義天)을 종조(宗祖)로 창시...
대한불교용화종 [ 大韓佛敎龍華宗 ] 1932년 진공(眞空)이 전남 구례에서 구성사(九聖寺)를 창건, 용화신앙의 재가(在家) 수행을 권장한 데서 비롯된 불교 종단.
대한불교원효종 [ 大韓佛敎元曉宗 ] 1963년 7월 경담(慶潭)이 신라의 고도 경주에서 고승 원효(元曉)를 종조(宗祖)로 삼고 창시한 불교 종단.
대한불교일승종 [ 大韓佛敎一乘宗 ] 1968년 2월 법화종(法華宗)에서 최호민(崔浩敏)을 중심으로 한 일단의 승려들이 분립, 새로이 형성된 불교 종단.
대한불교정토종 [ 大韓佛敎淨土宗 ] 1965년 2월 서울 서대문구 아현동에서 신동환(申東煥)이 창시한 불교 종단.
대한불교조계종 [ 大韓佛敎曹溪宗 ] 한국 근대 불교 유일의 종파로 재발족한 불교 종단.
대한불교진각종 [ 大韓佛敎眞覺宗 ] 1947년 6월 손규상(孫珪祥)이 경북 달성군 성서면 농림촌에 참회원(懺悔院)을 설립하고 창종한 불교 종단.
대한불교진언종 [ 大韓佛敎眞言宗 ] 8·15광복 후의 사회혼란기이던 1948년 승려 손해봉(孫海棒)이 경상북도 포항에서
신라 때 해동진언종(海東眞言宗:후에 摠持宗)의 시조 혜통(惠通)의 사상과 이...
대한불교천태종 [ 大韓佛敎天台宗 ] 1967년 1월 충북 단양군 영춘면(永春面) 구인사(救仁寺)에서 박상월(朴上月)이 창시한 불교 종단.
대한불교총화종 [ 大韓佛敎總和宗 ] 969년 5월 최득연(崔得淵)이 총화회(總和會)를 창립 ·발전시킨 불교 종단.
대한불교화엄종 [ 大韓佛敎華嚴宗 ] 한능해대종(韓凌海大宗:본명 韓永錫)이 창시한 불교 종단.
독자부 [ 犢子部 ] 불교에서 소승(小乘) 20부 중 하나의 부파.
라마교 [ Lamaism , 喇敎(나마교) ] 티베트를 중심으로 하여 발전한 불교.
백운종 [ 白雲宗 ] 중국 송(宋) ·원(元)시대의 민간불교의 한 종파.
법상종 [ 法相宗 ] 통일신라 때 성립된 불교 종파.
법성종 [ 法性宗 ] 일체 만유는 동일한 법성(法性)을 지녔으며, 일체 중생은 모두 성불(成佛)할 성품이 있다고 하는 종지(宗旨)를 가진 불교의 한 종파.
법안종 [ 法眼宗 ] 중국 선종(禪宗)의 한 파.
북종선 [ 北宗禪 ] 선종(禪宗)의 한 주류로서 5조 홍인(弘忍:602∼675)의 제자 신수(神秀:?∼706) 문하의 선(禪).
삼론종 [ 三論宗 ] 용수(龍樹)의 《중론(中論)》 《십이문론(十二門論)》과 제바(提婆)의 《백론(百論)》 등을 주요경전으로 삼고 성립된 불교의 종파.
상좌부 [ 上座部 ] 인도 소승교(小乘敎)의 20부(部) 중 근본이 되는 2대부의 한 부파(部派).
선종 [ 禪宗 ] 불교종파 중 하나.
섭론종 [ 攝論宗 ] 중국 불교 13종(宗)의 하나로 《섭대승론(攝大乘論:섭론)》에 의거하여 형성된 종파.
십삼종 [ 十三宗 ] 중국불교의 13종파.
여래선 [ 如來禪 ] 당(唐)나라 화엄종(華嚴宗)의 승려 종밀(宗密)이 세운 5종선(외도 ·범부 ·소승 ·대승·최상승) 중의 최상승선(最上乘禪).
열반종 [ 涅槃宗 ] 중국 불교 13종파 중의 《대반열반경(大般涅槃經)》을 근본경전으로 삼았던 종파.
오가칠종 [ 五家七宗 ] 중국 남종선(南宗禪) 제파의 총칭.
유식학파 [ 唯識學派 ] 인도 대승불교의 한 학파.
율종 [ 律宗 ] 불교에서 율장(律藏)을 근본 종지(宗旨)로 하고 있는 종파.
임제종 [ 臨濟宗 ] 중국 불교 선종(禪宗) 5가(家)의 한 파.
정토종 [ 淨土宗 ] 아미타불(阿彌陀佛) 및 그가 출현할 정토의 존재를 믿고, 죽은 후 그 정토에 태어나기를 바라는 대승불교의 일파.
조동종 [ 曹洞宗 ] 중국의 오가 칠종(五家七宗) 중 선종(禪宗)의 일파.
조사선 [ 祖師禪 ] 불교 선종에서 달마(達磨) 계통의 남종선(南宗禪).
중관파 [ 中觀派 ] 중도(中道)를 지향하는 인도 대승불교의 중요한 학파.
진언종 [ 眞言宗 ] 중국의 밀교가 공해(空海:774∼835)를 통해 전래된 일본 불교의 한 종파.
창가학회 [ Soka Gakkai International , 創價學會 ] 니치렌[日蓮] 정종이 주창한 불법(佛法)을 신앙의 근간으로 하는 대승불교단체.
천태종 [ 天台宗 ] 중국 수(隋)나라의 천태대사(天台大師) 지의를 개조(開祖)로 하는 불교의 한 종파.
홍모파 [ 紅帽派 ] 라마교의 일파.
화엄종 [ 華嚴宗 ] 중국 당(唐)나라 때에 성립된 불교의 한 종파.
황모파 [ Shva ser pa , 黃帽派 ] 라마교의 한 파(派).
한국불교태고종 [ 韓國佛敎太古宗 ] 석가모니를 종조(宗祖)로 하고 보우(普愚)의 종풍(宗風)을 선양하려는 대처승(帶妻僧)으로 이루어진 불교 종파.
소승불교 [ 小乘佛敎 ] 사람들을 인도하여 해탈(解脫)을 얻도록 하는 불교 유파(流派).
견뢰지신 [ 堅牢地神 ] 밀교에서 섬기는 지신(地神).
상좌불교 [ 上座佛敎 ] 석가모니가 입적(入寂)한 후에 그의 교설에 대한 이해와 전승을 둘러싸고 전개된 18부파 불교 중의 하나.
현재까지 남아 있는 유일한 부파이며, 대승불교의 관점...
성실종 [ 成實宗 ] 중국에서 성립한 불교 종파의 하나.
오교구산 [ 五敎九山 ] 통일신라 말기에서 고려 전기까지 형성된 불교 종파의 총칭.
오교양종 [ 五敎兩宗 ] 고려 중기에서부터 조선 초기, 즉 1260년(고려 원종 1)~1418년(조선 태종 18)까지 불교 종파의 총칭.
삼계교 [ 三階敎 ] 중국의 신행(信行:540∼594)이 일으킨 불교의 한 종파.
신인종 [ 神印宗 ] 신라 문무왕 때의 고승 명랑(明朗)을 종조로 하는 불교의 한 종파.
임제종삼봉파 [ 臨濟宗三峰派 ] 중국 명대에서 청대에 이르는 혼란기에 생긴 선종의 한 파.
홍주종 [ 洪州宗 ] 중국 당나라 때 도일이 강서성 홍주에서 창시한 선종의 한 종파.
황교 [ 黃敎 ] 라마교의 한 파.
계율종 [ 戒律宗 ] 불교 종파의 하나.
대한불교열반종 [ 大韓佛敎涅槃宗 ]
석가세존의 열반적정한 근본교리에 따라 전법도생을 목적으로 하는 한국의 불교 종단.
대한불교총지종 [ 大韓佛敎總指宗 ]
비로자나불을 교주로 하고, 관세음보살을 본존으로 하는 한국의 불교 종단.
대한불교염불종 [ 大韓佛敎念佛宗 ]
자타일시성불의 정신 실천과 현세 및 내세의 정토화를 이념으로 삼고 염불을 권함을 종지로 삼아 보국불교를 지향하는 한국의 불교 종단.
대한불교법륜종 [ 大韓佛敎法輪宗 ]
석가모니불을 본존불로 삼고, 고려 말의 승려 보우를 종조로 삼는 한국의 불교 종단.
대한불교대승종 [ 大韓佛敎大乘宗 ]
석가세존의 근본 교리를 바탕으로 아미타불의 정토사상과 타력 염불신앙을 종지로 하는 한국의 불교 종단.
대한불교삼론종 [ 大韓佛敎三論宗 ]
자각각타와 각행원만의 기본 교리를 바탕으로 고구려 승랑대종사의 대승종풍 선양과 전법도생을 목적으로 하는 한국의 불교 종단.
대한불교본원종 [ 大韓佛敎本願宗 ]
석가세존의 자각각타와 각행원만의 교리를 받들어 전법도생과 호국안민을 종지로 하는 한국의 불교 종단. 이 외에 수없이 많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