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운산(白雲山)-1278.9m
◈날짜 : 2025년 2월 11일 ◈날씨 : 맑음
◈들머리 : 빼빼재(경남 함양군 서상면과 백전면을 잇는 고개)
◈산행시간 : 5시간 48분(9:53-15:41)
◈찾아간 길 : 창원-산인요금소(8:22)-산청휴게소(9:00-10)-서함양요금소(9:30)-빼빼재:원통재(9:52)
◈산행구간 : 빼빼재→서래봉→백운산→선바위재→영취산→무룡고개주차장
◈산행메모 : 뻬빼재에서 하차한다.
2019년 7월 16일. 여기서 서래봉-백운산-영취산을 거쳐 부전계곡주차장까지 산행(4시간 37분) 이후 다시 그 코스로 따라가는 산행이다. 後海嶺 빗돌 왼쪽에 등산안내판. 그 왼쪽으로 보이는 덱이 산길 입구다.
백운산등산로 안내판.
덱으로 올라간다. 덱에서 아이젠 착용. 덱의 끝을 지나 돌아본 그림.
볼록한 봉에 올라선다. 바람과 구름이 없어 외투를 벗어 배낭에 넣는다.
나무 뒤에서 다가서는 봉.
이정표도 만난다.
S자를 그리며 오르내린다. 건너에 드러나는 주능선. 왼쪽에 1243봉, 오르쪽에 서래봉.
왼쪽 위로 서래봉이다.
볼록봉에 올라 돌아본 그림.
봉에 올라서면 여기서도 내려간다.
삼거리이정표와 구조대 표지.
서래봉에 올라선다.
진행방향으로 다가서는 봉.
산여울님의 리본이 반갑다.
왼쪽에 1243봉. 오른쪽에 1172.9봉, 가운데 봉이 정상이다.
올라가다 돌아보면 왼쪽 위에서 하늘 금을 그리는 대봉산.
돌탑봉에 올라선다. 서래봉 글자가 있는 돌은 눈에 묻혔다.
다가서는 정상. 왼쪽은 1243봉, 오른쪽은 1214봉이다.
안부에 내려서면 삼거리이정표. 왼쪽은 백운암하산길.
올라가다 과일로 체력을 보충한다.
지나온 봉을 돌아보며 숨을 고른다.
발걸음이 무겁다.
왼발 아래는 키 높이로 쌓인 눈.
지나온 봉을 돌아본다.
그 오른쪽으로 올라온 길.
가운데 오른쪽으로 감투봉. 왼쪽 위로 대봉산.
오늘의 최고봉 백운산이다.
왼쪽 헬기장에 식사 중인 우리 일행.
선두도 여기서 후미가 오기를 기다리고 있다. 여기서 점심.
백운산 안내판.
정상석.
영취산으로 내려서다 돌아본 그림.
봉에 올라서니 지나온 백운산이 덩그렇다.
정면에서 영취산이 눈높이로 다가선다. 가운데 쌍봉에서 왼쪽이 영취산이다.
영취산 왼쪽 능선은 장안산으로 이어진다.
봉에 올라서면 백운산과 영취산의 중점.
돌아본 백운산.
왼쪽으로 러셀하여 돌아 내려서니 길을 만난다.
여기서 길은 눈에 막혀 오른쪽으로 우회한다.
이정표를 만난다.
봉에 올라서니 이정표. 눈에 묻히기 직전의 벤치도 보인다.
나무 뒤에서 다가서는 영취산.
선바위고개에 내려선다.
왼쪽은 이런 이정표.
육십령으로 이어지는 대간 위로 남덕유산이 보였는데 사진에선 구별이 어렵다.
오늘의 마지막 봉, 영취산에 올라선다.
덕운봉방향은 등산로를 막았다. 산불조심기간. 부전주차장은 쌓인 눈에 버스가 들어가지 못하는 상황. 여기서 왼쪽 무룡고개로 내려선다. 여기서 오른쪽으로 시작되는 덱도 눈에 묻혔다.
아스팔트에 내려선다. 오른쪽으로 야영장.
무룡고개주차장에 내려서니 주차장은 쌓인 눈, 산악회버스를 주차장 입구에서 만나 산행을 마친다.
#승차이동(16:07)-장수요금소(16:27)-함양휴게소(16:48-58)-생초요금소(17:05)-천호식당(17:51-18:29)-군북요금소(18:41)-함안휴게소(18:44-51)-산인요금소(18:59)-창원역(19:25)-택시-새미사우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