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최저신용특별보증대출로 300만원을 받았는데 이번에 300만원 대출을 받았다. 내가 고비 하나하나에 얼마나 감사한지 몰라요. 깨어나 열심히 살려고 노력하면 빛이 보인다”고 말했다.
자동차 정비소에 근무하는 30대 A씨는 코로나19로 실직하던 시기에 대출을 받아 주식투자를 시작했지만 결국 더 많은 빚을 지게 됐다. 그는 지난해부터 추가 아르바이트를 하며 빚을 갚았다. 그러던 중 독거노인 어머니의 병원비가 필요해 지난해 9월 신용등급이 낮은 사람들을 위한 특별보증대출을 받았다. A씨는 “돈을 빌릴 곳이 없어 절박한 상황에서 특보 덕분에 고비를 넘을 수 있었다”고 말했다.
최저신용보증특례보증대출은 연체이력 등으로 햇살론15 대출이 거절된 신용점수 하위 10% 이하 차주를 대상으로 하는 서민금융 상품이다. 대출한도는 1000만원이지만 최초 대출시 500만원 한도 내에서 대출해 주며, 6개월 선납시 500만원 한도 내에서 추가대출을 해준다. 지난해 9월 29일 출시됐으며 출시 초기 대출을 받았던 대출자는 오늘부터 2차 대출을 받을 수 있다.
28일 소액금융진흥원(서금원)에 따르면 최저신용고객특별보증대출은 출시 이후 큰 호응을 얻으며 지난해 공급량이 목표치를 초과 달성했다. 출시부터 지난해 말까지 약 2개월 동안 공급 목표는 600억원이었지만 실제로는 1002억원이 공급됐다. 예상보다 많은 수요에 금융위원회(금융위원회)는 사업보고서를 통해 당초 올해 1400억원으로 계획했던 최저신용보증특별보증대출 지원 규모를 2800억원으로 2배 늘린다고 밝혔다. .
문제는 공급자 부족이다. 서금원에 따르면 3월 현재 최소신용 특례보증 상품을 공급하고 있는 곳은 광주은행, 전북은행, DB저축은행뿐이다. 상품 출시 당시 발표한 계획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부터는 웰컴저축은행, 하나저축은행, NH저축은행 등 3곳에서 공급해야 했다.
NH저축은행은 당초 계획했던 120억원을 한 달여 만에 소진했다며 지난해 이 상품 공급을 중단했다. 다른 저축은행들은 첫발을 내딛지도 못했습니다. 지난해 공급망 진출을 결정한 저축은행 관계자는 “서금원과 연결되는 전산망 구축이 미뤄졌지만 전산망 구축을 완료해 상반기에 참여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올해."
금융위 관계자는 “각사별 전산시스템을 구축하는 등 일정에 따라 순차적 공급을 진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금융회사들은 연체율 상승과 마이너스 마진을 우려해 프로젝트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지 않고 있다. 출시 당시 계획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에는 신한저축은행, 우리금융저축은행, BNK저축은행, IBK저축은행, KB저축은행 등 5개 저축은행이 참여한다. 다만 해당 제품이 예정대로 처리될지는 현재로서는 알 수 없다.
금융취약계층의 부담이 가중되는 점을 감안해 정책금융상품 공급을 더욱 활성화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27일부터 시작된 소액생활비 대출을 받기 위해 긴 줄이 늘어섰다. 연이율 15.9%로 최대 100만원까지 생활비를 빌려주는 정책상품이지만 전국 46개 상담센터의 1개월 예약이 신청 오픈 이틀 만에 마감됐다. 소액생활자금 대출은 상담센터를 직접 방문해야 하지만 신청자들은 거주지에서 2~3시간이 소요되는 지역에 있는 센터를 주저하지 않았다. 금융위원회에 따르면 상담 첫날 1126명이 평균 65만원을 빌렸다.
금액은 적지만 돈을 받을 곳이 없어 차용인들이 몰려들었다. 저소득 금융기관인 저축은행과 대부업은 이미 대출 문턱을 높였다. 저축은행중앙회에 따르면 지난달 저축은행 업계는 신용점수 800점 차주에게도 신용대출 금리를 연 13.0619.33%로 책정했다. 법정 최고금리가 연 20%인 점을 감안하면 c가 낮은 차입자는 대출이 어렵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