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존 크로 랜섬(John Crowe Ransom) 연보
존 크로 랜섬(John Crowe Ransom, 1888년 4월 30일 생~1974년 7월 3일 몰; 향년 87세)
미국 신비평(the New Criticism)의 창시자•신비평 운동의 기수
―문학의 자율성을 주장하고, 신비평이라는 명칭을 부여
미국 신비평학파(The New Criticism School)의 선구자
20세기 미국의 대표적인 비평가
20세기 미국인 현대 시인
20세기 미국인 수필가
미국인 영문학과 교수
―밴더빌트대(Vanderbilt University)•캐년대(Kenyon College) 교수
밴더빌트대•옥스퍼드 크라이스트처치대 동문
『신비평』(The New Criticism, 1941년)의 저술가
은자그룹(the Fugitives)과 농본주의(Agrarianism)의 선구자•신비평(New Criticism)의 아버지•미국 남부 시와 비평 문학의 지도자
로즈 장학금(Rhodes Scholarship) 수상•볼링겐프라이즈(Bollingen Prize) 수상•내셔널북어워드 시 부분(National Book Award) 수상
대표 저서. 신비평(New Criticism, 1941년)
부 개신교 감리교 목사 존 제임스 랜섬(John James Ransom, 1853년 생~1934년 몰)
모 사라 엘라(크로) 랜섬(Sara Ella (Crowe) Ransom, 1859년 생~1947년 몰)
형제자매 2남 2녀
여형제
애니 필립스(Annie Phillips)
엘라 아이린(Ella Irene)
남형제
리차드 랜섬(Richard Ransom)
존 크로 랜섬(John Crowe Ransom, 본인)
처 로브 리빌(Robb Reavill)
자녀 2남 1녀
1남 데이비드 랜섬(David Ransom)
2남 존 랜섬(John Ransom)
1녀 헬렌 랜섬(Helen Ransom)
1888년 1세 4월 30일 미국 테네시주(Tennessee) 풀라스키(Pulaski) 출생. 테네시주 스프링힐(Spring Hill), 프랭클린(Franklin), 부 감리교 목사 존 제임스 랜섬(John James Ransom)과 모 엘라 크로 랜섬(Ella Crowe Ransom) 사이의 아들로 출생. 스프링필드(Springfield), 네슈빌(Nashville)에서 성장
1897년 10세 집안에서 가정 교육. 감리교 목사 아버지의 설교를 들으며 가정 교육과 교회 교육을 받음.
1899년 12세 대학 준비 학교인 보웬학교(the Bowen School) 입학
1903년 16세 보웬고교 졸업. 네슈빌 소재 밴더빌트대 입학
1907년~1908년 20세~21세 학비 문제로 밴터빌트대 학업을 중단하고, 미시시피주(Mississippi) 테일러스빌(Taylorsville) 테일러스빌고교(the Taylorsville High School)에서 6학년과 7학년 교육 및 테네시주 루이스버그(Lewisburg) 헤인스-맥린학교(the Haynes-McLean School)에서 라틴어와 그리스어 2년간 교육
1909년 22세 내슈빌 소재 밴터빌트대 학생으로 복귀해서 밴더빌트대 1등 수석 졸업(학사 학위)
1910년 23세 로즈장학금(Rhodes Scholar) 수상. 영국 옥스퍼드 크라이스트처치대(Christ Church College in Oxford University) 입학
1913년 26세 영국 옥스퍼드 크라이스트처치대(Christ Church, Oxford) 졸업(석사 학위). 코네티컷주(Connecticut) 레이크빌(Lakeville) 소재 호치키스학교(the Hotchkiss School)에서 교사(master)로 1년간 라틴어 교육
1914년 27세 밴터빌트대 영문학과 교수 임용. 제1차세계대전 프랑스에서 포병 장교 중위로 근무
―은자그룹(퓨지티브그룹, the Fugitives)의 핵심 회원
1914년~1937년 27세~50세 밴더빌트대에서 영문학 교육
1915년~1927년 28세~40세 시 창작 기간에 총 160편의 시를 써서 발표하고, 이후에는 자신의 시적 주제가 고갈되었다고 생각하며 기존의 시의 수정 작업에 몰두
1917년 30세 제1차세계대전 중에 미군에 입대해서 미군 원정대 포병부대에서 장교 중위로 근무
1918년 31세 제1차세계대전 종전 후 밴더빌트대 복귀. 제대 후에 뉴욕시에서 프리랜서 언론인으로 활동하려 했으나 여의치 못해 밴더빌트로 귀환
1919년 32세 첫 시 선집 『신에 대한 시』(Poems About God, Henry Holt & Co. 간) 저술
―시인 로버트 프로스트(Robert Frost)와 로버트 그레이브스(Robert Graves)의 찬사를 받음.
1920년 33세 밴더빌트로 귀환해서 아내 로브 리빌(Robb Reavill)과 결혼(1남 2녀의 자녀)
1922년 35세 『퓨지티브』지(The Fugitive) 창간 및 첫 호 발행
1922년~1925년 35세~38세 『퓨지티브』지(The Fugitive) 활동 및 창작 시 기고
―미국 남부 지역 전통을 지지하고 남부 농본주의 운동에 참가. 은자그룹(the Fugitive Group)의 창립 회원 16명의 작가들 가운데 한 사람으로서 시 워크숍를 개최했다. 랜섬 외에 은자그룹 회원 작가들에는 도날드 데이빗슨(Donald Davidson), 알렌 테이트(Allen Tate), 로버트 펜 워렌(Robert Penn Warren) 등이 있다.
1923년 36세 ‘An American Addresses Philomela’(The Owl-The Winter Owl Vol. 2, No. 3, 11월, pp. 46~47) 발표; ‘Winter Remembered’(The Owl-The Winter Owl Vol. 2, No. 3, p. 14) 발표
1924년 37세 시 선집 『냉기와 열기』(Chills and Fever, A. A. Knopf 간) 발표. 시 선집 『육식 이후의 은총』(Grace after Meat) 발표
1925년 38세 수필 “Thoughts on the Poetic Discontent”(The Calendar of Modern Letters, Vol. 1, no. 6, 8월, pp. 461~463) 발표
1926년 39세 시 ‘Eclogue’(The Calendar of Modern Letters, Vol. 2, no. 11, 1월, pp. 317~319) 발표; 시 ‘The Miller’s Daughter’(The Calendar of Modern Letters, Vol. 2, no. 11, 1월, pp. 320~321) 발표; 시 ‘Moments of Minnie’(The Calendar of Modern Letters, Vol. 2, no. 11, 1월, pp. 319~320) 발표
1927년 40세 최후의 시 선집 『결속된 두 신사』(Two Gentlemen in Bonds, Knopf 간) 발표. 시적 주제의 고갈을 이유로 시작을 중단하고 시의 수정 작업과 수필 창작과 비평 활동에 몰입
1927년~1937년 40세~50세 밴더빌트대 영문학과 교수 봉직
1930년 43세 은자그룹 작가 11인의 주장을 담은 『남부와 농본주의 전통』(I’ll Take My Stand: The South and the Agrarian Tradition)에 랜섬의 권두 논문 「복원은 했지만 갱생이 불가한」(Reconstructed but Unregenerate)을 발표. 랜섬은 이 논문 외에도 많은 남부 농본주의 논문 발표
1936년 49세 『신독립 선언』(Who Owns America? A New Declaration of Independence)에 논문 기고
1937년 50세 밴터빌트대 영문학과 교수 퇴임. 오하이오주 갬비어 소재 캐년대(Kenyon College) 카네기 시 전공 교수(Carnegie professor of poetry) 임용. 논문 「비평 주식회사」(Criticism, Inc.)에서 신비평의 주요 이론을 제시하면서 신비평의 주창자로 등장(문학 비평이 과학적이 되어야 하며 비평가는 시를 예술 대상으로 간주해야 한다고 주장(“criticism must become more scientific, or precise and systematic.”), “John Crowe Ransom,” Wikipedia, 2025-04-15 참조)
1937년~1958년 50세~70세 캐년대 교수(미 오하이오주 갬비어 소재)
1938년 51세 문학 비평서 『세계의 본체』(The World’s Body, C. Scribner’s Sons, Ltd. 간) 저술
1939년 52세 『캐년 리뷰』지(the Kenyon Review) 창간 및 창립 편집인.
―현대 산업화를 비판하고 미국 남부 농본주의 사회를 지지
1939년~1959년 52세~71세 『캐년 리뷰』지 편집인
1941년 54세 신비평 이론의 대표 비평서 『신비평』(The New Criticism, New Directions 간) 저술. 이 책의 발표로 신비평(the New Criticism)과 신비평 학파(the New Criticism School)의 선구자로 알려짐.
1943년 56세 『초급 대학 글쓰기 독본』(A College Primer of Writing, H. Holt and Company 간) 발표
1945년 58세 『시 선집』(Selected Poems) 발표. 남부 농본주의에서 멀어져서 농본주의를 비판
1951년 64세 볼링겐상 시 부문(the Bollingen Prize for Poetry) 수상. 러셀 로인스 상 시 부문 수상(the Russell Loines Award for Poetry, 미국예술문학연구소(the National Institute of Arts and Letters) 수여). 구겐하임 문예 창작 기금(Guggenheim Fellow for Creative Writing) 수여. 사화집 『시―1900년~1950년』(The Poetry of 1900-1950) 발표. 여러 권의 시집과 비평집 저술
1952년 65세 사화집 『문학의 과거 반세기』(The Past Half-century in Literature: A Symposium, National Council of English Teachers 간) 발표
1959년 72세 『캐년 리뷰』지 편집인 사임
1962년 75세 존 L. 스튜어트(John L. Stewart) 저 『존 크로 랜섬』(John Crowe Ransom)(U of Minnesota P 발행) 간
1963년 76세 시 선집 『시 선집』(Selected Poems, Knopf 간) 발표. 랜섬의 제자 랜덜 자렐이 스승 존 크로 랜섬의 시를 높이 평가하는 논문 발표(“Fifty Years of American Poetry”)
1964년 77세 『시 선집』(Selected Poems)으로 전미도서상(내셔널 북 어워드, the National Book Award) 수상
1965년 78세 문학 비평서 『천둥 없는 신』(God without thunder: an unorthodox defense of orthodoxy, Archon Books 간) 발표. 사화집 『시와 수필』(Poems and Essays, Random House 간) 발표. 존 링컨 스튜어트(John Lincoln Stewart) 저 『은자그룹과 농본주의자들』(The Burden of Time: the Fugitives and the Agrarians, the Nashville Groups of the 1920’s and 1930’s, and the Writing of John Crowe Ransom, Allen Tate, and Robert Penn Warren)(Princeton UP 발행) 간
1966년 79세 미국예술문학아카데미(The American Academy of Arts and Letters) 명예협회 평생회원 선출
1967년 80세 로버트 버핑턴(Robert Buffington) 저 『곡예사: 존 크로 랜섬의 시 연구』(The Equilibrist: a Study of John Crowe Ransom’s Poems, 1916-1963)(Vanderbilt UP 발행) 간
1968년 81세 미국예술기금(the National Endowment for the Arts) 지원금을 받음. T. D. 영(T. D. Young) 편 논문집 『존 크로 랜섬』(John Crowe Ransom: Critical Essays and a Bibliography) 간(Louisiana State UP 발행) 간
1969년 82세 손턴 H. 파슨스(Thornton H. Parsons) 저 『존 크로 랜섬』(John Crowe Ransom)(Twayne 발행)
1972년 85세 사화집 『수필 선집』(Beating the bushes: selected essays, 1941-1970, New Directions 간) 발표. 밀러 윌리엄스(Miller Williams) 저 『존 크로 랜섬 시』(The Poetry of John Crowe Ransom)(Rutgers UP 발행) 간. 루이즈 코완(Louise Cowan) 저 『남부의 비평가들: 랜섬, 테이트, 데이비드슨, 워렌, 브룩스, 라이틀』(The Southern Critics: an Introduction to the Criticism of John Crowe Ransom, Allen Tate, Donald Davidson, Robert Penn Warren, Cleanth Brooks, and Andrew Lytle)(U of Dallas P 발행) 간
1973년 86세 노벨문학상 후보
1974년 87세 7월 3일 미국 오하이오주(Ohio) 갬비어(Gambier)에서 별세. 오하이오주 갬비어 소재 캐년대 묘지(Kenyon College Cemetery) 안장. 향년 87세
1976년 T. D. 영(T. D. Young) 저 『신비평과 그 이후』(The New Criticism and after)(UP of Virginia 발행) 간
1980년 8월 29일 아내 로브 리빌(Robb Reavill) 사망
1984년 T. D. 영(T. D. Young) 편 논문집 『존 크로 랜섬론』(Selected Essays of John Crowe Ransom) 간
1985년 J. C. 랜섬 유고작 『존 크로 랜섬의 서신 선집』(Selected Letters of John Crowe Ransom) 간(Louisiana State UP 발행)
1989년 키어랜 퀸랜(Kieran Quinlan) 저 『존 크로 랜섬의 세속 신앙』(John Crowe Ransom’s Secular Faith)(Louisiana State UP 발행) 간
1997년 마크 G. 맬바시(Mark G. Malvasi) 저 『갱생되지 않는 남부: 존 크로 랜섬, 알렌 테이트, 도널드 데이비드슨의 농본주의적 사상』(The Unregenerate South: the Agrarian Thought of John Crowe Ransom, Allen Tate, and Donald Davidson)(Louisiana State UP 발행) 간
1999년 크레이그 S. 애버트(Craig S. Abbott) 저 『존 크로 랜섬: 상세 서지』(John Crowe Ransom: a Descriptive Bibliography)(Whitston Pub. Co. 발행) 간
2001년 이예성, 「J. C. Ransom의 시론: “틀”과 “결”의 이원성」, 『신영어영문학회 학술발표회 자료집』, 2001년 신영어영문학회 여름학술발표회, 37~42;
2003년 마리온 몽고메리(Marion Montgomery) 저 『존 크로 랜섬과 알렌 테이트』(John Crowe Ransom and Allen Tate: at odds about the ends of history and the mystery of nature) 간(McFarland & Co. 발행)
2013년 TanShanShan, “The Formal Analysis of J.C. Ransom's Poetry Theory,” Xiangtan University MA Thesis
랜섬 교수의 제자들
도날드 데이빗슨(Donald Davidson), 랜덜 자렐(Randall Jarrell), 로버트 로웰(Robert Lowell), 앨런 테이트(Allen Tate), 로버트 펜 워렌(Robert Penn Warren), E. L. 닥터로우(E. L. Doctorow), 클린스 브룩스(Cleanth Brooks) 등
저서
―시집 5권, 수필집 4권, 사화집 편저 3권, 대학 논술 교재 1권
시와 수필
『신에 대한 시』(Poems About God, Henry Holt & Co. 간, 1919년, 첫 시집)
『냉기와 열기』(Chills and Fever, A. A. Knopf 간, 1924년)
『결속된 두 신사』(Two Gentlemen in Bonds, Knopf 간, 1927년, 최후의 시집)
『시 선집』(Selected Poems, Knopf 간, 1945년; 수정판 1969년, 전미도서상 수상)
『시와 수필』(Poems and Essays, Random House 간, 1955년)
『수필 선집』(Beating the bushes: selected essays, 1941-1970, New Directions 간, 1972년)
문학 비평서
『천둥 없는 신』(God without thunder: an unorthodox defense of orthodoxy, Archon Books 간, 1930년)
『세계의 본체』(The World’s Body, C. Scribner’s Sons, Ltd. 간, 1938년)
『신비평』(The New Criticism, New Directions 간, 1941년)
대학 교재
『초급 대학 글쓰기 독본』(A College Primer of Writing, H. Holt and Company 간, 1943년)
사화집(anthology)
『시―1900년~1950년』(The Poetry of 1900-1950, 1951년)
『문학의 과거 반세기』(The Past Half-century in Literature: A Symposium, National Council of English Teachers 간, 1952년)
* 은자그룹(the Fugitives): 은자그룹(the Fugitives)은 미국의 남부 작가들을 중심으로 구성되어 20세기 산업화 문화를 반대하고 미국 남부 농업 사회의 농본주의 문화를 지지하는 일단의 작가 그룹이다. 은자그룹은 남부 농본주의자들(the Southern Agrarians)이라고도 불린다. 1915년경 미국 밴더빌트대학교 교수 존 크로 랜섬을 중심으로 밴더빌트대 교수와 학생들 15여 명이 모여 기존의 감상주의 문학이나 인상주의적 문학 비평을 넘어서 과학적 문학 비평을 목적으로 문학 운동을 일으켰다. 이들은 1922년 『퓨지티브』(the Fugitive)지를 창간하고 그해에 첫 호를 발간하여 총 10여 호를 냈다. 이들이 표방한 문학은 주제적으로 농본주의(Agrarianism)였고, 형식상으로 신비평(the New Criticism)이었다.
랜섬은 은자그룹의 선구자로서 1941년 그의 대표 저서 『신비평』(The New Criticism, New Directions 간)을 발표했다. 랜섬을 기수로 은자그룹은 그의 밴더빌트대 동료와 제자들인 앨런 테이트(Allen Tate), 로버트 펜 워렌(Robert Penn Warren), 클린스 브룩스(Cleanth Brooks) 등과 문학 운동 그룹을 형성했다.
은자그룹은 농본주의 문학 운동으로 특징지어지며, 형식보다는 내용을 중시했고, 미국 남부 농본주의 사회의 삶을 주제로 했다. 이들의 문학은 인간은 오직 전통적인 농업 사회에서만이 문학적 감수성의 “완전성”
(completeness)에 도달할 수 있다고 믿었다(“John Crowe Ransom,” Poetry Foundation, <https://www.poetryfoundation.org/poets
/john-crowe-ransom>, 2025-04-17 참조).
* 신비평의 아버지 존 크로 랜섬: 문학을 인상주의적이거나 역사주의적으로 이해하던 과거의 문학 비평과 다른 접근법이 시작된 것은 20세기 초 영국에서였다. 1929년 I. A. 리차즈(I. A. Richards)의 『실제 비평』(Practical Criticism)과 1930년 그의 제자 윌리엄 엠슨(William Empson)의 『일곱 가지 유형의 모호성』(Seven Types of Ambiguity)이 1년을 주기로 연이어 출판되었다. 이들은 영국에서 영문학을 최초로 창립한 인물들이다. 이들보다 앞서서 1917년과 1919년 T. S. 엘리엇(T. S. Eliot)의 논문 「전통과 개인의 재능」(Tradition and the Individual Talent)과 「햄릿과 그의 문제들」(Hamlet and his Problems)이 있었고, 미국 하버드대 출신의 시인 겸 출판인 엘리엇의 논문은 문학에 대한 최초의 과학적인 분석 시도였다.
1920년대에 미국 남부 밴더빌트대에서 교수와 학생들을 중심으로 새로운 문학 운동이 일었고, 미국 남부인의 삶을 농본주의적 주제로 삼아 문학 작품을 창작하고 논했다. 이들을 은자그룹(the Fugitives)이라고 불렀으며, 그 대표적인 선구자 존 크로 랜섬은 1941년 『신비평』(The New Criticism)을 발간했다. 이 책은 미국 신비평 운동의 대표적인 비평서이자 신비평의 이론서이기도 하다. 랜섬을 신비평 운동의 기수로 해서 그의 동료와 제자들인 W. K. 윔젯(W. K. Wimsatt), 로버트 펜 워렌(Robert Penn Warren), 클린스 브룩스(Cleanth Brooks) 등이 합세해 1970년대까지 미국과 세계의 대표적인 문학 운동으로 자리를 잡았다. 현재까지 신비평 운동의 대표 저서로는 랜섬의 『신비평』과 함께 브룩스의 『잘 빚어진 항아리』(The Well Wrought Urn), 그리고 윔젯과 비어즐리의 『언어적 아이콘』(The Verbal Icon)이 손꼽힌다.
리차즈와 엠슨이 영국 최초의 영문학과 영문과를 창립하고, 랜섬이 신비평의 이론을 확립하면서 신비평은 본격적인 문학 운동으로 시작되었다. 과거의 문학 비평이 역사주의적이거나 인상주의적 비평이었다면, 신비평은 과학적이고 분석적인 비평을 시도했고, 문학 작가를 역사주의적으로 접근하거나 문학 작품을 인상주의적으로 접근하지 않고 보다 분석적이고 체계적인 비평으로 오로지 문학 작품을 예술적 대상으로 문학 텍스트의 “꼼꼼한 읽기”(close reading)로 다루며 문학 작품에서 예술적 미와 진리를 찾으려 했다. 이러한 시도는 인간의 감수성을 문학적 감수성으로 이해하려는 노력이며, 오로지 문학 작품만을 역사적 배경과 분리해서 분석하는 문학적 자율성(literary autonomy)의 기획이었다. 문학적 자율성은 문학 작품의 속성을 리듬, 운율, 이미지, 은유, 상징 등의 문학 형식적 기법으로 접근하며, 문학 작품을 과학적이고 분석적이며 체계적으로 이해해서 그 작품이 하나의 예술적 대상으로서 창조적인 유기적 통일성을 갖고 있음을 증명하는 문학적 실천이다. 이러한 문학 기획과 실천은 문학 작품의 텍스트 이외에는 어떠한 전거나 근거도 문학 비평에서 비평적으로 고려하지 않는다(“New Criticism,” Britannica, <https://www.britannica.com/art/New-Criticism>, 2025-04-17 참조).
* 「비평 주식회사」(Criticism Inc.): 신비평의 아버지 존 크로 랜섬의 1937년 논문으로서, 비평은 과학적이고 정확하며 체계적이어야 하고, 인상주의적 감상이나 역사적 방법론, 언어적 연구, 도덕론 등이 문학 비평에 영향을 끼쳐서는 안 된다고 주장했다. 그의 신비평 이론은 그의 제자들인 알렌 테이트, 클린스 브룩스, 로버트 펜 워렌 등으로 이어져 그들의 꼼꼼한 읽기(close reading) 이론으로 정립되었다.
19세기 영국인 비평가 매튜 아놀드(Mattew Arnold)의 비평이 신휴머니즘(New Humanism)의 인간의 독특한 도덕성과 자유 의지에 기초한다면, 그리고 사회주의 계열의 비평 역시 사회적 윤리와 정의에 바탕을 두고 있다면, 20세기 미국계 영국인 비평가 T. S. 엘리엇의 비평은 인본주의와 분리된 순수한 미학적 영역으로서의 비평 영역을 개척했다. 문학 작품은 미학적 대상으로서 인간의 도덕성이나 휴머니즘과도 객관적 거리를 두어야 한다는 주장이었다(Dr. S. Sreekumar, “‘CRITICISM, Inc.’ JOHN CROWE RANSOM,” Dr. Sreekumar’s English Literarure & Career Advancement, <https://sreekumarenglishliterature.blogspot.com/2017/01/criticism-inc-john-crowe-ransom.html>, (lecture notes) 2025-04-17 참조).
* 존 크로 랜섬에 대한 국내 연구 성과: 존 크로 랜섬에 대한 국내의 연구 성과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에서 다음과 같이 검색된다. 국내학술논문으로 심인보 저 「John Crowe Ransom: 현대적 감수성의 정확한 반영」, 『구미문제연구』 Vol. 2 No. 1, 부산대 구미문제연구소, 1995년. pp. 57~87 등 9편이 있다. 해외학술논문으로 Craig Abbott, “John Crowe Ransom’s Ghosts,” Papers-Bibliographic Society of America Vol. 90 No. 2, 1996. Bibliographical Society of America, pp. 217~222 등 100여 편이 있다. 단행본으로 John Crowe Ransom, Selected Letters of John Crowe Ransom, Louisiana State UP, 1985 등 90여 권이 있다. 학위논문으로 봉준수, John Crowe Ransom’s Dualism, 연세대 석사학위논문, 1986년 등 9편이 있다. 학술지로는 Kenyon College, The Kenyon Review가 있다.
* 존 크로 랜섬 서지 목록(랜섬 저서)
저서 및 편저
J. C. Ransom 저, Advert for “A Tribute from the Community of Letters”
-----, Acceptance Speech ... Poetry Winner National Book Awards
-----, A college primer of writing
-----, Armageddon
-----, American Poetry at Mid-Century
-----, Beating the Bushes: Selected Essays 1941-1970
-----, Chills and Fever
-----, Critical Essays and a Bibliography
-----, Criticism, Inc.
-----, Eliot’s Gerontion
-----, God Without Thunder
-----, Grace after Meat
-----, Grace after meat. With an introd. by Robert Graves. 1924
-----, John Crowe Ransom Selected Poems
-----, Poems about God
-----, Poems and Essays
-----, Selected Poems
-----, Selected Poems Revised Edition
J. C. Ransom 편, Selected Poems of Thomas Hardy
J. C. Ransom 저, The Complete Poems Of John Crowe Ransom
-----, THE CONCRETE UNIVERSAL: OBSERATIONS ON THE UNDERSTANDING OF POETRY
J. C. Ransom 편, The Kenyon Critics: Studies in Modern Literature From the Kenyon Review
-----, The Kenyon Review Spring 1941
-----, The Kenyon Review, Volume VIII, No. 3: Summer, 1946
-----, The Kenyon Review, V10, No. 2, Spring, 1948
-----, The Kenyon Review; Autumn 1949
-----, The Kenyon Review Summer 1952
-----, The Kenyon Review, Autumn 1952
-----, The Kenyon Review Volume 15, No. 3, Summer, 1953
-----, The Kenyon Review, Vol XVI, No 2, Spring 1954
-----, The Kenyon Review, Vol.XVI, No.3, Summer 1954
-----, The Kenyon Review Summer 1955
J. C. Ransom 저, The New Criticism
-----, The World’s Body
-----, Topics for Freshman Writing; Twenty Topics for Writing With Appropriate Material for Study
-----, Two Gentlemen in Bonds
공저 및 공편
J. C. Ransom 시, Elsbeth Liebowitz 삽화, Twigs Bent Under God: New and Selected Poems
J. C. Ransom 저, Ben Mazer 편, The Collected Poems of John Crowe Ransom
J. C. Ransom, Cleanth Brooks 공저, On Shakespeare’s Language & Criticism and Literary History
J. C. Ransom, Elder Olson 공저, A Symposium on Formalist Criticism from papers delivered on February 11 and 12, 1965
J. C. Ransom 저, Giovanni Giudici 역, Le donne e i cavalieri
J. C. Ransom 저, Jason Peters 편, Land!: The Case for an Agrarian Economy
J. C. Ransom 저, Thomas Daniel Young 편, Selected Letters of John Crowe Ransom
기고
Conrad Aiken, T.S. Eliot, Amy Lowell, Edna St. Vincent Millay 공편, American Poetry 1925
Donald Davidson, Allen Tate, J. C. Ransom 공저, The Fugitive: April, 1922-December, 1925
Donald Davidson, William Yandell Elliott, James Marshall Frank, Stanley Johnson 공편, Fugitives: An Anthology of Verse
Edmund Wilson, Norman Foerster, J. C. Ransom, W.H. Auden 공저, The Intent of the Critic
Elder Olson, Kenneth Burke, John Crowe Ransom, Eliseo Vivas 기고, Über Formalismus. Diskussion eines ästhetischen Begriffs
Frank Lentricchia, Andrew DuBois 공편, J. C. Ransom, Cleanth Brooks 기고, Close Reading: The Reader
Gerry Goldberg, Stephen Storoschuk, Fred Corbett 공편, Clifford Dyment 기고, Nighttouch: Journeying Into the Realms of Nightmare
Merrill Moore, Edward Gorey, Louis Untermeyer, J. C. Ransom 공저, Case Record from a Sonnetorium
Thomas Hardy 저, J. C. Ransom 편, Selected poems of Thomas Hardy (“Books by John Crowe Ransom,” Goodreads, <https://www.goodreads.com/author/list/70922.John_Crowe_Ransom?page=3&per_page=30>, 2025-04-17 참조)
* 참고 자료: 「존 크로 랜섬」, 『위키백과』, 2025-04-14; “John Crowe Ransom”, Britannica Kids, 2025-04-14; “John Crowe Ransom,” Wikipedia, 2025-04-15; “John Crowe Ransom,” Poetry Foundation, <https://www.poetryfoundation.org/poets/john-crowe-ransom>, 2025-04-17; “John Crowe Ransom,” Britannica, <https://www. britannica.com/biography/John-Crowe-Ransom>, 2025-04-17); “New Criticism,” Britannica, <https://www.britannica.com/ art/New-Criticism>, 2025-04-17; Dr. S. Sreekumar, “‘CRITICISM, Inc.’ JOHN CROWE RANSOM,” Dr. Sreekumar’s English Literarure & Career Advancement, <https://sreekumarenglishliterature. blogspot.com/2017/01/criticism-inc-john-crowe-ransom.html>, (lecture notes) 2025-04-17; “John Crowe Ransom 1888–1974,” Poets.org, <https://poets.org/poet/john-crowe-ransom>, 2025- 04-17; “Ransom Family Papers 1833-1957,” Dept. of State Tennessee State Library and Archives, Nashville, Tennessee 참조. <끝> <2025년 4월 18일, 나종혁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