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Q는
square 의 약자로 '평방제곱'을 의미합니다. 즉, SQ 단위는 도체의 단면적을 Square mm로 나타내는 도체 SIZE의
표시이다.
즉 소선구성이 20/0.18의 도체일 경우 지름이 0.18mm의 소선이 20가닥 꼬여 있는 상태이므로
소선 하나의 단면적은 (0.18/2)2× π가 되고 연선 된 도체의 단면적은 (0.18/2)2× π× 20)이
된다 이 값을 계산하면 약 0.5㎟,즉 0.5mm 이며 통상적으로 0.5SQ로 표시됩니다.
그리고 2C, 3C 하는것은 전선의 가닥 수를 말하는겁니다.2core, 3core 로 2코어, 3코어 등으로 전선의 가닥수를 이야기
합니다.
아래자료는 참고자료이니 살펴 보시기 바랍니다.
<참고> 전선관련용어
감
쇄 량
송전단에서 인가된 전력이 수신단에
달할때까지 회로 저항에 의해 약해지며 이때의 손실을 감쇄량이라하고 송전단에 주어진 전력과 수신단에 이를 전력과의 비율을 상용대수의 10배로
나타낸것을 데시벨(dB)이라하고 통화손실의 단위로 이용한다.
공칭단면적
도체의 굵기를 표시하는 것으로 도체의
계산 단면적을 절상 또는 절하하여 부른다.
공 칭 전 압
전선로를 대표하는 선간전압을
이른다.
단
선
도체가 한 가닥의 소선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말한다.
대
연
절연된 선심 2가닥을 꼬아 주는
것
도
전 율
금속의 전기를 통해줄 수 있는 정도를
말하며 금속의 도전도를 고유저항의 역수로 나타낸 것이며 바꿔 말하면 표준 연동성의 전기저항을 20℃, 단면적 1㎟, 길이
1m에 대하여 0.017241Ω으로 이와 동일조건에 있어서의 전기저항의 비를 백분율로 나타낸
것.
도
체
전선에 전류를 흘리기 위한 금속부분을
말한다. 가장 많이 사용되는 재질은 구리이고, 다음으로 알루미늄이 많이
사용된다.
복 합 연 선
일정규모 이상의 도체를 구성하기 위해
1차로 동심연선 또는 집합 연선된 선을 2가닥 이상을 다시 연선한 것이다.
선
심
도체에 절연물을 피복한 것을 이르며
단심은 1개의 선심으로 구성된 전선이고, 다심은 2개 이상의 선심으로 구성된 전선을
말한다.
소
선
도체를 형성하는 한 가닥의 선을
말한다.
쉬 스, 자 켓
케이블을 기계적으로 보강하여 절연체
손상이 가지 않도록 한 최외층 피복체를 말한다
연
선
소선을 2가닥 이상으로 꼬아서 형성된
도체를 말하며, 동심원상의 구조를 동심연선, 여러 가닥의 가는 선을 일괄하여 동일방향으로 꼰 것을 집합 연선이라
한다.
연 방
향
꼬임의 방향을 말하며, 아래 그림과
같이 우연(S연)과 좌(Z연)이 있다.
유 전
손
유전체 손실이라고도 하며, 일반적으로
유전물이 극히 작으며 전기가 잘 통하지 않는 물질을 유전체라 한다. 이 유전체에 교류전압이 가해질 때 유전체의 내부에서 소비되는
전력을 유전체손이라 한다. 고주파 또는 고전압용 전선의 절연재료는 유전손이 적은 것을 써야
한다.
전
선
전선이란 전기를 전달하기 위한 선으로
나선, 절연전선, 전력케이블, 통신케이블 등의 총칭이다.
전
압
두 지점사이의 전위차를 나타내며,
폐회로를 구성시 전기가 흐르게 되는 원인이 된다. 국내에서 사용되는 주요전압은 100V, 200V, 3300V, 6600V, 33KV,
66KV, 154KV, 345KV 등이며, AC 600V이하를 저압, AC 7000V이하를 고압, AC 7000V 이상을 특별고압이라고
한고, 154KV 이상을 초고압이라 한다.
전 송 특 성
전류 또는 전파를 이용하여 신호를
보낼 경우 혼선되어 들리거나(누화), 손실이 많거나(감쇄) 하는것을 적게 하여 가장 유효하게 보내도록 그 회로나 장치를 갖추지 않으면 안되는
성질의 것을 말한다
전 파 속 도
펄스신호의 전송속도를 말하며 절연체의
종류에 따라 다르다. 절연체의 ...
첫댓글 퍼온것임 케이블 계산시 참고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