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 사전 올해의 단어는 ‘Lockdown’...
먹방도 10대 단어에 뽑혀 2020.11.10 김명진 기자
영국의 사전 출판사 콜린스가 올해의 단어로
‘락다운'(Lockdown·봉쇄 조치)을 꼽았다고 BBC가 10일 보도했다.
‘먹방(먹는 방송)’의 한국어 발음을 알파벳으로 적은 ‘먹방(Mukbang)’도
올해 사용 빈도가 크게 늘어나 상위 10대 단어에 선정됐다.
영국에서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 제2 봉쇄조치 시행 첫날인 지난 5일
맨체스터 시내 거리가 텅 비어 있다. /로이터 연합뉴스
콜린스는 2020년을 대표하는 단어로 락다운을 꼽으면서
“전 세계적으로 코로나 바이러스가 대유행하며 수십억명의 사람들이
공유한 경험을 압축한 단어”라고 설명했다고 BBC가 보도했다.
콜린스는 락다운의 정의(定意)에 대해 “여행이나 사회적 상호작용,
공공장소에 접근하는 데 대한 엄격한 제한을 두는 것”이라고 풀이했다.
이 회사는 자사 데이터베이스인 콜린스 코퍼스에 집계된 락다운이라는
단어의 등록 횟수가 작년 4000건에서 올해 25만개 이상으로 늘었다고 했다.
콜린스가 선정한 올해 10대 단어엔 코로나 바이러스 사태와 관련된 것들이 많았다.
‘펄로(Furlough·휴가 또는 일시해고)’,
‘키 워커(Key worker·필수 노동자)’,
‘셀프-아이솔레이트(Self-isolate·자가격리)’,
‘소셜 디스턴싱(Social distancing·
사회적 거리두기)’,
‘코로나바이러스(Coronavirus)’ 등이다.
헬렌 뉴스테드 콜린스 컨설턴트는 “언어는 우리 주변의 세계를 반영한다"며
“2020년은 글로벌 팬데믹에 지배된 해”라고 했다. 이어 “'락다운'은 우리가
일하고 공부하고 쇼핑하고 사교하는 방식에 영향을 미쳤다”며
"현재 많은 나라가 제2의 ‘락다운’에 들어간 상황에서 기뻐할 만한 것은
아니지만 아마도 올해를 함축한 단어일 것”이라고 설명했다.
콜린스는 특히 한국어에서 유래한 ‘먹방’을 “시청자의 즐거움을 위해
많은 양의 음식을 먹는 동영상이나 웹캐스트”라고 정의했다. 이는 ‘태권도
’(Taekwondo)와 함께 영어의 몇 안되는 한국어 외래어 중 하나라고 설명했다.
이 외에도 콜린스는 올해 미국에서 시작된 ‘흑인 생명도 소중하다
(Black Lives Matter·BLM)’ 캠페인의 축약어인 ‘BLM’, 영국 해리 왕자와
메건 마클 왕자비가 왕실에서 독립한 것을 ‘브렉시트(Brexit)’에 빗댄
‘메그시트(Megxit)’, 영상 기반 소셜미디어 틱톡을 이용하는 사람을 뜻하는
‘틱톡커’(TikToker)' 등도 올해를 상징하는 단어로 선정했다.
-------------------------------------------------------
100자평
형남민
2020.11.11 05:05:54
"콜린스는 락다운의 정의(定意)에 대해"(?) 뜻을 명확히 밝혀 규정함은 '정의(定意)'가 아니라 '정의(定義)'이다.
답글작성
2020.11.11 04:02:05
'定意'가 아니라 '定義'. 기자의 한자 실력이 왜 이러나?
백창열
2020.11.10 23:15:51
기사의 출처입니다. https://blog.collinsdictionary.com/language-lovers/the-year-of-lockdown/ 인터넷 시대에 왜 이런 링크를 본문에 실어주지 않는지 이해가 안가네요. 그리고 콜린스의 블로그를 보고 직접 기사를 내도 될텐데. 블로그를 보고 낸 외신을 보고 다시 그것을 인용한 것인지 아쉽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