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덕경 본문 제43장 해설 -있고 없음은 물과 바람을 보라
天下之至柔, 馳騁天下之至堅, 無有入於無間.
천하지지유, 치빙천하지지견, 무유입어무간.
吾是以知無爲之有益. 不言之敎, 無爲之益, 天下希及之.
오시이지무위지유익. 불언지교, 무위지익, 천하희급지.
* 本文 第 四十三章 = 천하의 지극히 부드러움으로 천하의 지극히 견고함을 몰아 재켜서 없고 있음의 사이 없음에 들어간다(*즉 아주 빈틈없다는 뜻임 * 예를 들어 그 사람에게 부탁하면 틀림없이 처리한다 = 이런 뜻임=사리에 부합함에 다른 무슨 허술한 틈의 여지가 없다는 뜻이다 ) 내 이래서 하염없다는 게 유익함이 있는 줄 안다 말하는 가르침이 아닌 하염업는 유익함 천하에 (*여향을) 밋침이 드믈리라(드믈다 할 것인가?)= *譯者附言=요는 영향을 미치길 천하를 덮는데도 알아보는자 드믈다는 뜻이리라
* 천하의 지극한 유연함으로 천하의 지극한 견강 함을 몰아서는 틈 벌어짐 들게 함 둠이 없게 한다 [서로간에 새 벌려놓지 않게 한다는 뜻도 되고, 소위 친화를 도모한다는 말씀도 되고, 그 반대, {* 있고 없는,} 드넓은 속에 들어가선 횡횡천하 한다는 말도 된다 할 것이라 그러니까 마구 휘젓고 다니어도 걸리는 장애가 없게 한다는 그런 의미도 된다 할 것이다
내 이래서 함없는 것이 유익한 것인 줄 안다 말씀치 아니하는 교육 하염없는 유익함 천하에 희미하게 미친다 [그러니까 속속들이 퍼져선 그 미치는 영향 느낌을 그렇게 확연히 감각적으로 깨닷지 못하는 가운데서도 그 덕화는 퍼지고 스며든다는 것을 지금 여기서 말하고 있다 ] 希及之(희급지) 라는 뜻은 그렇게 희미하게 속속들이 스며들고 퍼진다는 것을 말하는 것이라 할 것이다
蘇註소주
以堅御堅 不折則碎 以柔御堅 柔亦不靡堅亦不病 求之於物 則水是也 以
이견어견 불절즉쇄 이유어견 유역불미견역불병 구지어물 즉수시야 이
有入有 不相受 以無入有 無未嘗勞 有未嘗覺 求之於物 則鬼神是也 是
유입유 한불상수 이무입유 무미상노 유미상각 구지어물 즉귀신시야 시
以聖人唯能無爲 故能役使衆强 出入 有
이성인유능무위 고능역사중강 출입군유
* 소씨주석하대. 견고 함으로써 견고 함을 몰아 재킴 꺽어지지 않음 부서진다 부드러움으로써 견고함을 몰아재킴 부드러움 역시 물크러지지않고 견고함 또한 병들지 않는다 물질에서 찾아 볼것같으면 물(*水)이 이러하다 존재함으로써 존재하는것에 들여 밀려하면 거부해서 방어막이 생겨있는것같아서 서로 받아들이질 못한다 없음으로써(*형체없는걸 뜻함) 존재하는것에 들여밀면(*譯者附言=즉 저쪽의 성질이나 의미가 이쪽에 없는걸 이쪽에 들여밀면) 맛보려는 노력이 아니 없으나 맛보는듯해도(*譯者附言=마치 무당이 신내림하는걸 보듯이) 깨우치지 못하는게 있다 (*譯者附言=사물이나 사물 아닌 것이나 로 논할순 없지만 사물같은 것으로 봐서) 사물에서 찾을 것 같으면 귀신이 이러하다 이래서 성인은 오직 하염없음을 잘하는지라 그러므로 모든 강양한 것으로 하여금 잘 역사케(*일하는 것) 해서 모든 존재의 무리들을 드고나게 한다
呂註 여주
天下之柔 馳騁天下之至堅 觀於物則水是也 無有入於無間 觀於物則 氣是
천하지유 치빙천하지지견 관어물즉수시야 무유입어무간 관어물즉 기시
也 水以其柔弱 故幾於道 然而不能無形者也 而猶攻堅强者莫之能先 氣以
야 수이기유약 고기어도 연이불능무형자야 이유공견강자막지능선 기이
其無質 故合於神 然而不能無氣者也 猶能入於無間 而 以無形之至柔 太
기무질 고합어신 연이불능무기자야 유능입어무간 이황이무형지지유 태
易之未見氣 於以馳騁天下之至堅 而入於無間 則孰不爲之動 而亦何入而
역지미견기 어이치빙천하지지견 이입어무간 즉숙불위지동 이역하입이
不自得哉 故曰 吾是以知無爲之有益也 而不言之敎 無爲之益 天下希及之
불자득재 고왈 오시이지무위지유익야 이불언지교 무위지익 천하희급지
是亦不知反其宗而已矣.
시역불지반기종이이의.
* 여씨 주석하대. 천하의 지극히 부드러움으로서 천하의 지극히 견고함을 몰아 재킴을 사물에서 살펴 볼것같으면 물(水)이 이러하다 있고 없음에 틈없음에 들어감을 사물에서 살펴 볼 것 같으면 공기가 이러하다 물은 그 유약함을 쓰는지라 그런 까닭에 길에 영향을 밋침이(*길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얼마나 된다 할것인가? 그러 하여도 형체 없이 하는데는 잘할수 없다 하지만 오히려 견강함을 치는것엔 이만 잘하는게 없다 기운이란 것은 그 바탕 없음을 쓰는지라
그런까닭에 신성함에 합한다 그러여도 기운 없이하는데는 능숙치 못하다 하지만 오히려 틈없음엔 잘 들어 갈수 있다 그런데 하물며 형체 없는 지극한 부드러움 씀에 큰 쉬움 기운만 한것만 보지 못했다(*쉽게푸러서=기운이란거은 그바탕이 없는지라 그런까닭에 신성함에 합한다 그러해도 기운없이 하는데는 잘못하지만 틈없는데도 잘 들어갈수 있으니 하물며 형체없는 지극한 부드러움 기운 만큼 큰 쉬운걸 보지 못했다 할것인데) 이를갖고 천하의 지극히 견고 함을 몰아 재켜 틈없음에 들여밀수 있다 할 것 같으면 무엇인들 하지못할 움직임이 있을것이며 또 어딘엔들 들어가서라도 스스로를 얻지 못한다 할것인가?
그러므로 말하길 내 이래서 하염없는 유익한게 말치 아니한 가르침인줄 안다 (*내 이래서 하염없는게 유익한줄 알아서 말치 아니한 가르침......) 하염없는 유익함 천하에 (영향을) 밋침을 (아는이) 드믈다 함인것이니 이또한 그 근본 祖宗(조종)으로 돌아옴을 몰라서 그럴 따름이라 할것이리라 (*譯者 附言=또는 천하에 영향을 밋침이 드믈다로 풀면 길의 이치가 어려워 깨닷는이가 드믈어 그래서 無爲의 有益함 그영향을 밋치는게 천하에 드믈다로 풀수 있음 = 이뜻은 희박한 논리다 )
朴註박주
天下之物莫堅於木石 而水能潤之 風能燥之 以至柔而馳騁至堅也 無有無
천하지물막견어목석 이수능윤지 풍능조지 이지유이치빙지견야 무유무
形也 無間無 也 柔至於無形 堅至於無 則皆其至者 夫唯至柔然後 方
형야 무간무하야 유지어무형 견지어무하 즉개기지자 부유지유연후 방
可以入於至堅 無爲柔之道也 是以知無爲之有益也 我好靜而民自正 我無
가이입어지견 무위유지도야 시이지무위지유익야 아호정이민자정 아무
爲而物自化 然則能入於萬物 而馳騁之者 莫如無爲 故曰不言之敎 無爲之
위이물자화 연즉능입어만물 이치빙지자 막여무위 고왈불언지교 무위지
益天下希及之矣
익천하희급지의
* 박씨 주석 하대. 천하의 사물이 나무와 돌만큼 견고한게 없고 바람은 잘 젖어 들게하고 바람은 잘 건조 시킨다 물과 바람이 지극히 부드러움으로써 목석같은 지극히 견고함을 몰아재킨다 있고 없다는건 형체 없다는 뜻이다(*이것은 그아래문장과 연이은 말로써 즉 이렇다 * 즉 빈틈없음에 들어감을 씀에 존재함이 없다 즉 있음이없다는 뜻인데 譯者는 있고 없음에 빈틈없음에 들어간다로 풀이했음) 無間(무간)이란 갈라진 틈이 없다는 뜻이다
부드러움이 형체 없는데 이르고 견고한게 갈라진 틈없음에 이르면 모두 그 각자 극한 경계에 다달은 것이다 대저 크게 지극한 부드러움이 된연후에 바야흐로 바르게지극한 견고함에 들어감을 쓴다 하염없는 부드러움의 길 이래서 하염없는 유익함이 되는줄 알수 있다 내가 안존 함을 좋아 해서 백성이 절로 바르어지고 내 함이 없어도 사물은 저절로 (*본받아 화락함으로) 변화한다 그렇다면 만물에 잘들어가서 몰아재키는자는 하염없음만 같음이없는지라 그러므로 말하길 말치 아니한 가르침 하염없는 유익함 천하에 미치는게(*아는이) 드믈다 함인 것이다 *譯者附言=所以 알아보지 못하게끔 스며들어 있다는 뜻이니 그것을 누구인 들 제대로 깨달을것인가 이런 뜻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