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동구 신지 둘레길 - 매여봉(408.3m) - 초례산(635.7m)
일시 : 2025년 2월22일 토요일
가는길 : 네비게이션에 대구광역시 동구 각산동, 나불지 주차장을 쳐서 찾아감.
산행코스 : 나불지 주차장 - 각산비나리공원 - 각산성당 - 신지 둘레길 - 신지능선 - 155m - 산불감시초소(226.4m) - 312m - 매여봉(408.3m) - 나불지3.0km 갈림길 - 전망바위(435m) - 혁신도시 갈림길 - 임도(435m) - 동곡지 갈림길 - 매여동 버스종점 갈림길 - 초례산(635.7m) - 왔던길 되짚어 - 나불지3.0km 갈림길 - 편한바위슬랩 - 잇단 체육시설 - 신천골 갈림길 - 나불지 주차장.
교통 : 대구광역시 동구 각산동, 나불지 공영주차장에 차량주차. 원점회귀 산행.
대구광역시 동구 각산동, 나불지 공영주차장(초례산 정상5.0km)에서 산행을 시작합니다.
나불지 공영주차장에서 나불지 제방으로 올라, 제방길을 지나 신서혁신도시를 바라보며 각산성당과 신지로 향합니다.
나불지 제방길을 내려와 신서혁신도시 주택지를 지난 걸음은 각산비나리공원의 저류지 뒤로 보이는 각산성당으로 향합니다.
대구시 동구 각산동의 유래는 원래 이 지역에 소 뿔처럼 생긴 바위가 있어서 이 바위를 소방우, 소바우 또는 한자식으로 우암동이라 불렀답니다.
구한말 현감 송헌면이 이곳의 지명이 자신의 조상인 우암 송시열의 호와 같다고 하여 각산동이라 고쳐 불렀다고 합니다.
각산성당 앞을 지난 걸음은 대구혁신도시 "서한이다음 2차아파트" 정문에서 옛 "각산새못"이였던 신지에 이릅니다.
신지 포토죤에서 왼쪽, 각산성당을 바라보며 신지 둘레길을 한바퀴 돌아봅니다.
신지 둘레길이 각산성당 앞에 이르면, 신지 상류쪽으로는 대구 동구 요령봉(492m)과 능천산(369m)이 신지 뒤로 조망됩니다.
신지는 초례산 자락의 거친 비탈지를 개간해 밭농사를 지으며 농업용수 부족 어려움을 겪을 때 동구관내 소작 조합결성 후 농업용수를 담수하는 저수지로 조성했답니다.
약 1.5km 거리의 신지 둘레길은 어느새 지나온 각산성당과 대구혁신도시 "서한이다음 2차아파트"를 봅니다.
대구 동구 신지는 대구혁신도시 주민들의 휴식공간을 위한 생태공원으로 산책로와 정자쉼터 등 도시 속 자연명소로 보존 관리되고 있답니다.
활처럼 휘어진 신지 제방길을 돌면, 신지 너머로 대구 동구 능천산(369m) - 매여봉(408.3m) - 초례산(635.7m) 능선이 조망됩니다.
신지 둘레길이 낮은 언덕 위의 정자쉼터를 내려서 추억의 시계탑을 지나면, 신지 둘레길은 방향을 바꾸어 수상데크 산책로로 이어집니다.
신지 둘레길의 수상데크 산책로는 물위를 걷는 듯 시원스레 이어집니다.
초례산(635.7m) 남서쪽 산자락에는 신지, 나불지, 신서지, 동곡지 등의 크고 작은 저수지가 있는데, 그중 신지가 가장 큰 규모입니다.
신지 둘레길을 한바퀴 돌아온 걸음은, 수상데크 산책로가 끝나는 지점에서 임도를 따라 올라 신지능선으로 올라갑니다.
신지능선에 접어들면, 청정한 낙엽의 능선이 대구 동구 매여봉(408.3m)과 초례산(635.7m)을 향해 아름답게 이어집니다.
낮은 능선은 한차례 과수원 안부 갈림길을 지나 묘지가 있는 155m 봉을 지납니다.
155m 봉을 지난 능선은 한차례 안부를 지나 가파르게 올라가는데, 능선은 산악오토바이가 활개를 쳐 깊은 골이 파였습니다.
가파른 오름길은 산불감시초소가 있는 226.4m 봉을 지납니다.
산불감시초소가 있는 226.4m 봉 왼쪽으로는 대구 동구 요령봉(492m) - 능천산(369m)이 가까이 조망됩니다.
산불감시초소가 있는 226.4m 봉을 내려서면, 능선 오른쪽으로 가야할 매여봉(408.3m)이 나무사이로 조망됩니다.
산불감시초소가 있는 226.4m 봉을 지난 능선은, 작은 오르내림으로 울창한 숲길을 지납니다.
서서히 고도를 높인 능선이 312m 봉에 이르면, 능선은 오른쪽으로 90도 꺽어 이어집니다.
312m 봉을 내려선 능선은 울창한 리기다소나무가 쭉쭉 뻗은 숲의 안부를 지납니다.
울창한 숲의 안부를 지난 오름길은, 산악오토바이가 깊은 골을 파놓은 가파른 능선을 올라갑니다.
가파른 능선은 삼각점(대구434, 1982재설)과 정상 표지판이 있는 대구 동구 매여봉(408.3m) 정상을 지납니다.
대구 동구 매여봉(408.3m)을 내려서면, 앞의 전망바위 능선 뒤로, 환성산(807m) - 낙타봉(658m) - 초례산(635.7m)이 보이기 시작합니다.
대구 동구 매여봉(408.3m)을 내려선 능선이 안부 갈림길에 이르면, 능선은 반질반질한 등산로로 오늘 첫 번째 이정표를 만납니다.
능선을 고수한 오름길은 "나불지3.0km 갈림길"에서 원점회귀를 위해 초례산(635.7m)을 갔다가 이곳으로 되돌아오기로 합니다.
나불지3.0km 갈림길 : 나불지3.0km - 초례봉2.22km - 각산지2.3km
나불지3.0km 갈림길에서 능선을 고수한 오름길은, 등산로 왼쪽으로 조금 비껴있는 전망바위(해발 435m)를 둘러보기로 합니다.
전망바위(해발 435m) 왼쪽으로는, 지나온 대구 동구 매여봉(408.3m) 오른쪽으로 대구공항 활주로가 조망됩니다.
전망바위(해발 435m) 가운데로는 대구광역시 동구 매여동 뒤로 능천산(369m) - 요령봉(492m) - 대암봉(464m) 능선이 바로 앞에 조망됩니다.
전망바위(해발 435m) 오른쪽으로는 대구광역시 동구 매여동, 매여동 버스종점 뒤로 대구 팔공산(1193m) 주능선이 펼쳐집니다.
전망바위(해발 435m)를 지난 능선은 울창한 소나무숲 속의 큼직한 바위지대 능선으로 이어집니다.
바위지대 능선 : 초례산 정상1.8km - 나불지3.3km, 신서지2.9km
바위지대 능선 왼쪽 나무사이로는 환성산(807m) - 낙타봉(658m) - 초례산(635.7m) 능선이 환상적으로 조망됩니다.
바위지대 능선을 지난 오름길은 혁신도시2.6km 갈림길(해발 445m)을 지납니다.
혁신도시2.6km 갈림길 : 혁신도시2.6km - 초례산1.6km - 나불지3.5km
혁신도시2.6km 갈림길을 지나 살짝 내려서면, 대구 동구 초례산(635.7m)에 새로이 생긴 임도(해발 435m)를 가로질러 바로 능선으로 올라갑니다.
임도 왼쪽 방향은 대구시 동구 매여동 경북대 학술림으로 내려가고, 오른쪽 방향은 경북 경산시 하양읍 숙천동으로 내려가는 것 같습니다.
임도를 가로지른 오름길은 뚜렷한 등산로 이정표를 따라 가파른 능선을 고수합니다.
가파른 오름길 뒤 쉼터에 이르면, 나무사이로 가야할 초례산(635.7m)이 나무사이로 조망됩니다.
이어진 오름길은 눈길을 사로잡는 아름드리 멋들어진 참나무가 있는 동곡지 갈림길을 지납니다.
동곡지 갈림길 : 동곡지(안심역 방면)3.1km - 나불지4.4km - 초례산 정상0.7km
동곡지 갈림길을 지나면, 대구 동구의 작은 마테호른이라 불리는 초례산(635.7m) 정상부가 우뚝 솟아있습니다.
이어진 오름길이 바위지대에 이르면, 초례산(635.7m) 최단거리 등산로인 대구시 동구 매여동 버스종점 갈림길을 지납니다.
매여동 버스종점 갈림길 : 매여동 버스종점2.4km, 경북대학교 학술림2.2km - 초례산 정상0.2km - 나불지4.9km, 신서지4.4km, 동곡지3.6km
매여동 버스종점 갈림길을 지나, 초례산(635.7m) 정상부를 향한 오름길은 가파른 바위지대로 이어집니다.
잠시 가파른 오름길은 사방 전망이 뛰어나고, 옛부터 많은 전설을 안고 있는 대구 동구 초례산(635.7m) 정상에 이릅니다.
대구 동구 초례산(635.7m)은 안심에서 제일 높은 산이며 초례산 산정에는 바위가 나란히 두개가 서 있습니다.
큰 바위 앞에는 편편한 또 다른 바위가 있으며 그곳에서 초례(전통 혼례)를 올리면 아들을 낳는다는 설이 있습니다.
초례산(635.7m) 정상에서 경북 경산시 하양읍 쪽을 바라보면, 하양 장군산(312m) 능선 뒤로 하양 무학산(588m)까지 조망됩니다.
초례산(635.7m) 정상에서 대구시 동구 매여동 버스종점 쪽을 바라보면, 매여동 뒤로 능천산(369m) - 요령봉(492m) - 대암봉(464m) 능선이 펼쳐집니다.
초례산(635.7m) 정상에서 북쪽으로는 낙타봉(658m) - 환성산(807m) 능선 뒤로 대구 팔공산(1193m) 주능선이 펼쳐집니다.
초례산(635.7m) 정상에서 원점회귀를 위해, 올라왔던 능선을 되짚어 나불지3.0km 갈림길로 되돌아갑니다.
Y자 능선 갈림길에서 오른쪽 능선이 올라왔던 매여봉(408.3m) 능선이고, 왼쪽 능선이 동곡지 방향 능선입니다.
나불지3.0km 갈림길로 되돌아가는 걸음은, 어느새 초례산 임도를 가로질러 갑니다.
되짚어 내려선 걸음이 나불지3.0km 갈림길에서 나불지 방향으로 내려서면, 편안한 로프 바위슬랩지대를 내려갑니다.
나불지를 향한 내림길이 1990년 발생한 산불 복원지를 내려서면 시야가 조금 트입니다.
나불지를 향한 내림길이 정자쉼터가 있는 체육시설을 지나면 임도 수준의 등산로가 이어집니다.
정자쉼터 체육시설 : 나불지1.8km, 신서지1.4km - 초례산 정상3.3km
정자쉼터 체육시설을 지나 임도 수준의 등산로를 따른 내림길은, 다시 체육시설과 화장실을 지나 신천골 갈림길을 지납니다.
신천골 갈림길 : 신천골0.1km - 초례산3.8km - 나불지1.5km - 대구일과학고0.4km
신천골 갈림길을 지난 산길은 잇단 갈림길을 지나고, 편안한 산책로 수준의 산길은 대구 동구 각산동 나불지로 약 5시간의 산행으로 원점회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