헌재도 '민주당 4심제' 찬성 의견... "법원이 헌재 결정 따르게 해야"
김희래 기자
입력 2025.05.16. 22:14업데이트 2025.05.16. 22:28
헌법재판소가 ‘재판소원 제도’ 도입을 골자로 한 더불어민주당의 헌재법 개정안에 대해
찬성하는 의견을 밝히고, 개정안의 구체적인 수정 방안도 제안했다.
16일 법조계에 따르면,
헌재는 법 개정안과 관련해 전날 국회 법제사법위원회에 “국민의 충실한 기본권 보호를 위해
재판소원 제도 도입이 필요하다”는 내용의 의견서를 제출했다.
재판소원은 법원의 재판 결과에 대해 헌법소원이 가능하게 하는 제도다.
헌재는 의견서에서
“독일·대만·스페인·체코·튀르키예 등 해외에서도 재판소원을 인정하고 있다”는 설명도 담았다.
헌재는 지난 2013, 2017년에도 재판소원 도입을 주장하는 의견을 국회에 제출한 바 있다.
현행 헌재법 제68조는 ‘법원의 재판’을 헌법소원 대상에서 제외하고 있다.
이번 개정안은 ‘법원의 재판을 제외하고’라는 문구를 삭제했다.
이 법이 통과할 경우 대법원 확정 판결에 대해서도 헌재가 위헌 여부를 가려
다시 재판하라고 요구할 수 있게 된다.
헌재는 구체적인 개정안의 수정 방안도 제시했다.
헌재는 의견서를 통해 ‘헌법소원 남발’을 막기 위해
“확정 판결이 난 사건 중 중요한 헌법적 쟁점이 있는 때에 한해
헌법소원을 허용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또 “명문 규정을 둬서 헌법소원 절차에서 가처분을 허용할 필요가 있다”고도 했다.
법원 판결로 유죄가 확정됐더라도, 헌재 결정이 나오기 전까지 유죄 선고의 효력을 정지시킬 수
있도록 하자는 것이다.
특히 헌재는
“개정안에 헌재 결정의 기속력을 명확히 해 법원이 헌재의 결정을 따르도록 해야 한다”고도 했다.
헌재가 판결을 취소하고 사건을 법원에 환송할 경우,
법원은 헌재 결정의 취지에 따라 다시 재판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럴 경우 최종 판결 기능은 대법원이 아닌 사실상 헌재가 갖게 된다.
다만 헌재는 “법원의 사법권 행사에 대해 헌법소원을 허용할지 여부는 원칙적으로
입법부(국회)가 결정할 사항”이라고 덧붙였다.
#, 그러나 이 법안을 발의한 이유가 이재명 한사람을 위한 꼼수법안이라는
것이다.
관련 기사
한변 "민주당, 확정적 범죄자가 법관 상대 적반하장…반헌법적 폭주"
보수 변호사 단체인 ‘한반도 인권과 통일을 위한 변호사모임’(한변)은 16일
“대법원이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의 공직선거법 2심 무죄판결...
대선 핫이슈 된 '사법부 흔들기'... 李 "대법 깨끗해야" 金 "범죄자가 협박"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후보가 15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를 향해 “세계 역사상 유례없는 독재자”라고 했다.
민주당이 전날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민주, 李 재판 정지부터 면소까지 강행… 입법의 사유화
더불어민주당의 압박으로 이달 15일로 예정됐던 이재명 대선 후보의 공직선거법 사건 파기환송심 공판 기일 등이
대선 이후로 연기됐지만, 민주당은 ...
첫댓글 지금 민주당이 노리는것은 오로지 이재명이란 범죄전무가의 사법리스크를 면죄부 주려는 꼼수전략이라는것이죠"
아~주 위험천만한 입법(개정안)입거든요'
.그들이 말하는대로 따저보면 전국 모든 교도소에 수감중인 재수자듫을 모두 석방해야한다는
결온이라는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