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리 퀴리 부인은 라듐을 발견해서 노벨상을 2번이나 받은 것으로 우리에게도 익숙한 인물입니다.
그런데 마리 퀴리 부인이 아모르 빈치트 옴니아, 즉 사랑이 모든 것을 극복하게 만들거라는 이야기를
하며 노벨상보다 사랑을 중시했다는 사실은 위인전에 나와있지 않다.
마리 퀴리 부인은 폴란드에서 프랑스로 이민 온 이주민으로1895년 결혼 피에르 퀴르와 결혼했다.
하지만 남편은 결혼 후 10년이 지난 1906년 4월 19일 마차에 깔려 급사했다. 그 후에도 여전히 연구에 몰두했는데 그러다 남편 피에르 퀴르의 제자인 폴 랑주뱅과 사랑에 빠진다.
문제는 폴 랑주뱅은 유부남이었다는 것이다.
남편이 죽기 전 마리 퀴리 부인은 남편과 함께 연구로 1903년 노벨상을 받았다. 1911년에는 남편이 죽은 후 혼자만의 연구로 노벨화학상을 받았다.
◆ 랑주뱅과 그의 아내
이 때 퀴리 부인과 사랑하는 사이였던 랑주뱅의 아내가 자신의 남편과 마리 퀴리가 불륜 관계라고 언론에 폭로한다.
여론은 마리 퀴리 부인이 부도덕하다고 비난하고 나섰고 노벨상을 수여하는 스웨덴 왕립 과학 아카데미는 노벨상을 취소해야 하는 지에 대한 문제를 논의하기까지 이른다.
과학적 업적으로 받은 상을 불륜이라는 이유로 취소하는 것도 우스운 것이지만 이런 논의가 가능했던 것은 당시 과학계의 보수성 때문이다.
마리 퀴리 부인은 남자가 아닌 여자였고, 프랑스인이 아닌 이민자였던 것이다. 이 두가지 요소가 그녀에 대한 여론과 과학자들의 비난을 만들어냈다.
이런 엄청난 비난에 시달림에도 마리 퀴리 부인은 랑주뱅과의 사랑에 집착했다.
노벨상이 취소되더라도 랑주뱅과 함께 할 수 있다면 상관없었던 것입니다.
하여간 이런 마리 퀴리 부인과는 달리 세상의 관심과 비난에 당황한 랑주뱅은 결국 아내에게 돌아가고 만다.
이러한 일련의 사건을 겪으면서 마리 퀴리 부인은 자살시도까지 하게되고 건강도 급속히 나빠졌다.
마음을 다 잡은 그녀는 연구에 몰두하고 이 일은 그녀를 죽음으로 치닫게 합니다. 방사능에 많이 노출되었기 때문입니다.
결국 1934년 7월 4일 마리 퀴리 부인은 백혈명으로 사망한다.
러시아의 지배를 받고 있던 폴란드라는 유럽의 변방에서 태어나 프랑스로 어렵게 이민을 온 그녀 마리.
열심히 공부했고 열심히 연구해서 노벨상을 받은, 열정적인 사랑으로 두 번의 사랑을 한 그녀.
마리 퀴리 부인처럼 열정적인 삶을 살 수 있을까요?
◆ 퀴리 부부와 장녀 이렌 졸리오 퀴리
마리 퀴리는 폴란드에서 출생하였으나 당시의 사회상이 학교나 사회에서 남녀차별이 심했다.
여학교를 졸업하고 학업을 지속하고 싶었지만, 가정경제가 어려워 가정교사 생활을 하며 학비를 마련하였고, 여자는 대학교 입학이 제한된 조국 폴란드를 떠나 프랑스로 유학길에 오른다.
프랑스 소르본 대학에서 수학과 물리학을 전공한 마리 퀴리는 인생의 동반자 피에르 퀴리와 결혼하게 된다.
퀴리 부인으로 1903년 라듐(화합물)을 발견하여 남편과 함께 노벨 물리학상을 공동 수상하였다.
퀴리 부부와 같이 연구활동을 했던 연구원들은 연구실험실이 실험기구만 없으면 헛간과 다름없을 정도였다고 회고했을 정도로 실험 환경은 열악했었다.
그러나 퀴리 부부의 과학에 대한 순수한 열정과 노력은 열악한 실험실이 걸림돌이 될 수 없었다.
◆ 퀴리 부인과 그녀의 딸 이렌 졸리오 퀴리
피에르 퀴리와의 사이에서 두 딸을 두고 행복한 결혼생활과 연구생활을 하던 중 1906년 남편이 교통사고로 사망하게 된다.
퀴리 부인은 소르본 대학교에서 최초의 여성 교수가 되어 학생들을 가르쳤으며 라듐(분리)과 폴로늄으로 1911년에는 노벨 화학상을 (단독)수상하였다. 마리 퀴리는 여성 최초의 노벨상 수상자이기도 하고 최다 수상자이기도 하다.
◆ 노벨상을 공동 수상한 이렌 졸리오 퀴리 부부
여성 최초의 노벨상 수상자, 부부 노벨상 수상자, 딸 이렌과 사위 장 프레데리코 졸리오는 인공방사성 원고를 최초로 발견하여 노벨 화학상을 공동 수상하여 2대(代)가 연속 노벨상 수상으로 노벨상 최다 수상 집안의 영광된 기록을 가지고 있다.
그녀가 현실적인 문제와 시대적 한계에 굴복하지 않고 헌신적이고 선구자적인 과학활동 보여줌으로써 이후 많은 과학자, 특히 여성 과학자들에게 본보기가 되었다.
순수 정통 과학자로서 마리 퀴리는 자신이 발견한 라듐에 대한 소유권을 포기하고 향후 더 많은 연구와 과학기술 개발에 쓰이기를 희망하며 연구소에 소유권을 기증하였고 퀴리 부부가 노벨상을 수상하자 프랑스 정부가 최고 훈장(레종 도뇌르)을 주겠다고 하자 부부는 훈장을 사양하고 연구할 수 있는 실험실 하나를 부탁했을 정도였다.
◆ 랑주뱅과 아인슈타인
◆ 1911년 실험실의 퀴리 부부.
두 사람은 1903년 노벨물리학상을 함께 받았다. 특히 마리 퀴리는 남편이 사고로 죽은 뒤에도 연구를 계속해 1911년 두 번째 노벨상을 받았다.
마리 퀴리 부인에게 노벨상을 영광을 안겨준 라듐과 폴로늄은 그녀의 건강을 해치는 치명적인 독으로 작용했다.
당시만 해도 방사성 물질인 라듐과 폴로늄이 인체에 해로운 성분이라는 과학적 지식이 부족했던 시기라 연구에 몰두한 퀴리 부인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건강이 악화 됐고 결국 방사능으로 말미암은 골수암, 백혈병 등으로 사망하였다.
마리 퀴리는 그녀 사후 61년 만인 1995년에 남편 피에르 퀴리의 유해와 함께 프랑스 판테온으로 이장하게 된다.
프랑스 위인들을 합사해 온 국립묘지 판테온에 여성이 자신의 업적으로 묻힌 것이 프랑스 역사상 최초의 일이었다.
마리 퀴리가 연구하며 기록한 노트에서는 아직도 방사성 성분이 검출되고 있으며 현재도 그녀의 유품인 가구, 책과 노트 등도 안전 보호장구를 착용한 상태에서 만져볼 수 있다고 한다.
마리 퀴리 부인이 발견한 방사성 물질 폴로늄(Polonium, Po 원자번호 84번)은 그녀의 조국 폴란드를 잊지 않기 위해 폴란드를 따서 만든 이름이다.
방사능(radioactivity)이란 말을 처음 사용한 것도 퀴리 부인이다.
퀴리 부인과 양옆의 두 딸들
◆ 1927년 솔베이 의회. 역사상 가장 영향력있는 과학자들
아이슈타인, 하이젠 베르크(1932년 노벨 물리학상), 슈뢰딩거(1944년 노벨 물리학상), 퀴리 부인(1911년 노벨 화학상), 파울리(1918년 노벨 물리학상), 브래그(1915년 물리학상), 보어(1922 노벨 물리학상), 콤프 턴(1927년 노벨 물리학상)
라듐과 폴로늄을 최초 발견한 퀴리는1934년 7월 그동안 실험에 의한 방사능 노출로 백혈병에 걸려 생을 마감한다.
가족들이 서로 맺어져 하나가 되어 있다는 것이 정말 이 세상에서의 유일한 행복이다.
마리 스쿼도프스카 퀴리(Maria Skłodowska-Curie)
첫댓글 생긴것은 남편과 닮았는데 성격도 비슷한 신사이기에 퀴리 부인이 사랑에 빠진것이 아닌가 해요
차가운 여성인줄 알았는데 자살시도까지 하는 열정적 사랑도 했군요
이 글이 말하고자 하는 결론이 무언지 모르겠네요.
방사능이 참 무서운것이군요
저는 그걸 이제야압니다.
항상좋은계시물고맙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