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구광역전철 개요 ◆
1, 대구와 경북간의 간선교통망을 철로로 연결
2. 기존의 서로간의 교류가 자가차 이외에는 시외버스 정도로 차량혼잡시 도심 접근성이 어 려움
3, 대구광역권 연계가 더딘 이유를 들수 있다
사업구간
1단계 : 구미-대구-동대구-경산구간 [59.6Km]
2단계 : 동대구-영천 대구선 이용
3단계 : 경부선 구간 구미-김천 연장, 경산-청도-밀양 연장 , 대구선 구간 영천-경주-포항 연장
사업내용
대구권 김천-구미-대구-경산-청도-밀양 , 동대구-영천-경주-(포항) 간에 광역전철망 구축
1단계 사업기간 2008년~2012년까지
1단계 사업비 480억원
1단계구간 역사범위 - 괄호안은 신설추진역들
구미-(원평)-사곡-(북삼)-약목-왜관-(왜관공단)-(사수)-(상리)-(평리)-(비산)-(달성)-대구-동대구-(효목)-고모-(사월)-경산 구간
굵은 글씨들른 아직 미정이고 추후 검토예정역들임
각 역사 역세권 범위 및 성격
1 구미역 - 역세권 인구 58,809명
기존 구미역사 및 고속철과 연계가능
구미의 중심가
2 원평역 - 역세권 인구 33,648명
구미 대표적 주가지역 시외버스터미널과 연계 가능
구미시청이 있음
3 사곡역 - 역세권인구 18,970명
기존 경부선역 주변에 주거지가 많음
4 북삼역 - 역세권 인구 16,016명
칠곡의 대표적 주거지역 대규모 택지개발 계획이 있음
5 약목역 - 역세권 인구 7,929명
기존역사를 활용하고 약목주민들의 편의 도모
6 왜관역 - 역세권 인구 18,182명
칠곡군의 중심지역 기존 역사를 활용 충분한 역세권 인구
7 왜관공단 - 역세권 인구 6,587명
주변에 대규모 왜관공단이 조성되어 출퇴근시 용이함
뭐 개인적 견해긴 하나 칠곡군 문의결과 검토사항이라함
8 연화역 - 기존 간이역
9 지천역 - 기존 간이역
10사수역 - 역세권 인구 추후 26,783명
대구시가 계획중인 금호강 북쪽의 금호 사수지구임
기존 경부선은 지나가지 않으나 선을 우회해서라도 건설하는 것이
승객 확보에 유리한 지역
기존 계획에는 아직 미포함
이것도 개인적 견해긴 하나 돈든다고 난항을 보이긴 했으나 검토해보다고함
11 상리역 - 역세권 인구 13,562명
도심과 좀 떨어져 있는 곳이라 접근성 미미함
대구시와 빠른 접근성 용이
기본 계획에는 아직 미포함
12 서대구역 - 역세권수요 15,780명정도
주변 서대구공단 수요가 많을것 같음 그리고 추후 시외버스정류장등
환승이 가능하도록 추후 계획이 있으므로
주변 역세권인구보다도 승객수는 더 많을것으로 보임
13 평리역 - 역세권 인구 62,414명
대규모 주거지역이 있어 승객 확보에 용이
북부정류장도 가까운 곳이자 대구의 중심 도로중하나
추후 4호선 건설시 환승예정
주변 공단 출퇴근자에게도 편리함을 추구
14 비산역 - 역세권 인구 31,573명
주변 주거지 및 지역상권 형성지역
기본계획에는 추진중이나 아직 확실치 않은 역임
평리와 달성의 중간 쯤 위치라 주변 주거지역도 있고
대구의 또다른 도시철도 역할을 할것임
15 북비산역 - 역세권인구 24,560명
비산과 달성사이로 광역전철도 도시철도 역활을 하는데
역하나 더 들어서서 충분한 수요 창출을 위해서
16 달성역 - 역세권 인구 41,575명
3호선 환승 및 서문시장과 달성공원 접근성 용이
서문시장은 대구 경북의 대표적 도매시장
환승역이 늘어 나므로 해서 각 철도망의 승객유입 용이
17 대구역 - 역세권 인구 34,906명
기존 대구역을 활용 1호선과 기존 국철의 환승 용이 지역거점 역할을 할 곳
대구역은 영남의 대표적 번화가인 동성로와 가까워
타지 사람들의 대구도심 접근성에서 중요한역
18 동대구역 - 역세권 인구 72,718명
동대구역세권 개발 계획과 연계 및 대구의 관문으로 교통의 요지로 개발
기존 고속철과 일반철도 지하철 1호선 추후 예정인 모노레일노선과 주변의 고소버스와
시외버스와의 연계로 확실한 남부지방의 교통의 요지로 클 가능성이 많음
19 효목역 - 역세권 인구 66,886명
역세권 유동인구가 다수 및 향우 정비 사업 예정임
대구 동쪽의 대표적 주거지 연세권 인구 두 번째 추후 4호선과 환승예정
20 고모역 - 기존역 주변개발과 추후 대구선 광역전철 환승역 가능성 용이
21 사동역 - 신설역 주변 개발이 있다는 얘기가 있어 역간격상 하나 쯤 있어야 하는역임
22 사월역 - 역세권 인구 70,651명
대구와 경산의 경계 시가지 인구 다수
시지,경산정평,옥산지구가 개발 및 기존 도심이라 이용객 상승 예상
23 경산역 - 역세권 인구 54,956명
경산의 철도 관문인 곳 기존 역사 활용
대구시 계획도 20개역이 넘는다고 했습니다 ^^
2단계 구간 구상
동대구-고모-청천-하양-금호-영천 구간
하양-금호-영천간은 추후 2개 역사 신설 예정
그리고 추후 경주나 포항까지 운행 예정
청천에서 1호선과 환승예정
타당성
○ 구미~왜관~대구~경산 구간의 광역전철 운영 시 2011년에 37만인·통행/일의 수요가 발생하여 수요가 충분한 것으로 나타났고, 경제성 분석 결과 B/C(비용편익분석)가 2.42로 산출되어 경제적 타당성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각도시의 연계성 (1단계 구간)
구미 - 대구가 갖춰 놓은 여러 교육 문화 업무 서비스를 가까이 즐길 수가 있다
기존의 경산까지의 3시간 거리를 1시간 반으로 줄일수 있음
구미의 기업들이 환영 대구까지 오는 통근차들을 대체 할수 있다
경산 - 말이 경북이지 대구시나 마찬가지인 도시 일단 대구도심과의 접근성이 용이하고
이를 계기로 대구지하철이 서서히 연장되고 환승도 가능하면서
대학생 수요를 상당히 끌어 올수 있는 계기가 된다 - 대구선 포함
경산역은 추후 철도승차가 서서히 줄어 들것으로 보인다
대구 - 공단 및 기업들이들이 많은 구미를 아주 빠르게 갈수 있고
대구시내에서도 지하철 환승덕에
대구는 인천처럼 또 다른 지하철 노선을 하나 더 갖게 되는 것이다
대학가가 많은 경산과도 아주 가까워 진다
대구사람들이 근교로 나갈 때 굳이 자가차가 없이도
언제든지 편리하게 싼 운임으로 갈수 있게 된다
정부의 제기 사항
물류수송증가로 경부선 장거리 열차 운행 시 지장 초래
고속 철도 증가로 차량기지 부족 현상
간선열차 운행 지장 최소화를 위한 대피선 문제
구체적 사업 분석 요구
승강장이나 신설역등으로 인해 추가 비용 발생
대구시의 검토 의견
충분한 용량 경부선 대구쪽은 지금과 같이 충분한 선로량 확보 가능(총 246회 이용가능)
경북쪽은 중앙선과 유사(총 150회 이용가능)
선로 용량 충분
고모역과 동대구역 차량기지로 충분
기존 역사는 이미 대피선 설치 됨 신설역사는 대피선을 고려한 개발 유도
1일 36만명 수요 예측 (KOTI 국가교통망 DB활용 2011년 기준)
경제성 분석 B/C=3.4로 차량 비용이 들어가더라도 경제성이 있다고 판단
대구권 경제 통합에 가장 큰 역할을 기대
대구광역철도의 사업의 이유 및 기대사항
대구권 도시들의 교류 화합 경제통합
하나의 광역권역으로 발전 도모
공공교통의 중심의 교통혁명 예고
철도 정비로 인한 자원 절약
경부선 대구간의 고속철 2단계 사업 후 남은 선로 용량 활용
가까워지는 대구광역권 형성 경제적 비용 절감 효과
완행과 급행 체계 마련 등
http://www.daegu.go.kr/UserFiles/File/국제지식산업도시_대구/10대/광역전철망%20구축.ppt
첫댓글 링크된 자료의 내용중 아쉬운 것은 동대구역 환승(1호선)과 사월역 환승(2호선)이 빠진 것이 아쉽네요. 1단계중 신설역은 좀더 있어야 할것 같네요...
개인적으로는 향후 열차 운행 등급을 보통, 쾌속, 신쾌속 3가지로 세분화해야 한다는 생각이 듭니다. 보통은 구미-경산 에서 끊고 나머지 쾌속, 신쾌속 정도만 구미, 경산 을 넘어다니게 하는 정도면 괜찮을것 같습니다. 정부의 입장을 보니 몇가지 제외하고는 아스팔트 냄새에 중독된 환자의 모습을 보는것 같아 씁쓸합니다. -_-
일단 하양개통이후엔 '경산행' '하양행' 배차비율 맞추는게 관건일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