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덕경 본문 제49장 해설- 선자오선지 불선자오역선지 善者吾善之 不善者吾亦善之
聖人無常心, 以百姓心爲心,善者吾善之. 不善者吾亦善之. 德善矣.信者吾信
성인무상심, 이백성심위심,선자오선지, 불선자오역선지. 덕선의.신자오신
之, 不信者吾亦信之. 德信矣.聖人在天下, 歙歙爲天下渾其心. 百姓皆注其
지. 불신자오역신지. 덕신의.성인재천하, 흡첩위천하혼기심. 백성개주기
耳目 聖人皆孩之.
이목 성인개해지.
* 本文 第 四十九章 = 성인은 (*어느 일방적인 것만 의) 떳떳한 마음이란 것을 갖고 계심이 없다 백성들의 마음가짐으로써 마음을 삼는다 착한 것을 보면 내자신도 그를 착하게 여기고 착하지 못하다 하는 것 또한 착하게 여겨주는 것이 선함의 덕성스러움이라 하리라 미더움 것이 있다면 나 자신도 그를 미더웁게 여기고 미덥지 못한 것이라도 내 또한 미더운 것으로 봐주는 게 미더움의 덕목이라 할 것이다 성인이 천하를 대하실제 감당치 못할 겸허함을 차리시면 천하도(* 성인을 우러러는 모든이의 마음= 백성들의 마음) 그 마음을 후덕스럽게 가지게 된다
(* 또는= 성인이 천하에 있어 두려운 듯이 여기샤 그 마음 독실함을 위함에) 이를 백성들의 모든 귀와 눈이 인식하게 하시니 성인 께서 아이들을 가르치듯 함이시다 * 성인께서 천하의 분란의 존재를 보시고 미연에 파탄을 방지하고 바른길로 인도키 위하여 그 마음들로 하여금 희석 시켜 독실함을 위하시다
* 성인은 그래야만 한다는, 또는 그것만이 진리인냥 고수해야한다는 상심이 없어 백성들의 마음씀씀이를 갖고선 그 마음을 삼는다 이래서 착한 것도 그 자신도 착하게 여기고, 착하지 못한 것도 역시 자신을 타산지적이나 그 世鏡(세경)에 비친 거울 귀감으로 여기게끔 하여선 좋은 것으로 여기게되는데 이런 것을 갖다가선 착한 것을 덕성스럽게 여긴다 하는 것이다
그리곤 신용 있는 것도 미더움으로 여기고, 미덥지 못한 것도 선함에서와 마찬가지 이치로 그 미덥게 여기는데 이것을 갖다가선 미더움을 덕성스럽게 여김이라 함 인 것이리라
성인은 천하에 있어서 놀라는 기색을 역역히 갖고서는 그 천하와 더불어 그 마음을 혼연 일체가 되게 하여선 성인이 수용하고 있는 덕성스런 여러 가지를 은연중 백성의 눈과 귀에 주입시키게 된다 이래 성인이 수용한 모든 것을 가르치게된다
그러니까 특별나게 돌출한 행동을 하는 것에 성인이 존재하는 것은 드믈 다는 것이다 세인의 평범한 일과 속에 성인의 容心(용심) 行態(행태)가 스며들어선 그 백성들로 하여금 깨닫게 하고 알게 한다는 것이리라
* 歙歙(첩첩)은 자신의 진면목을 드러내지 않고 하는 행위를 황망한 모습으로 그리는 것을 말하는 것이니 그 내라 내세우지 않으면서도 백성에게 귀감이 될만한 것을 스며들게 한다는 그런 의미 를 그리는 형용사라 할 것이다 , 그러니까 겸양한 행동을 지어선 자세를 낮추곤 그 좋은 점들을 받아들이는 자들로 하여금 스스로 얻은 냥 우쭐하게 진취적인 모습을 짓게 한다는 것이니 , 스승역할을 하였으면서도 스승이라 하는 모습을 짓지 않는 것과 같다할 것이다 , 속으론 저들을 포용하는 기특하게 여기는 마음을 갖고 있다는 것이라 , 그만큼 그릇이 크다는 것인데 , 어떻게 사시적으로 또 재어본다면 선을 가장한 독선으로도 보인다 할 것이나 그 너그러운 자세를 恒(항)有(유)하고 있는지라 개의치 않는 모습을 그리 손가락 질 하지 못한다 할 것이다
[*흡사 질박한 촌노가 영리하게 생긴 손주 녀석을 얼르는데 놀라는 쉬늉을 하여가면서 같이 어우러져 지내는 모습이라 할 것이다 ]
* 일편은 두려워 하는 의미도 있다는 것인데 성인은 천하 인민이 고난과, 역경, 방황, 갈,등 찌든 삶, 등 이런 것들로 인하여 잘 삶을 영위하지 못할가 근심하신다는 것이라 그래선 그 좋게 인도하려는 모습이 그렇게 놀라는 모습 첩첩으로 보인다는 것이다
蘇註 소주
虛空無形 因萬物之形以爲形 在方爲方 在圓爲圓 如使空自有形 則何以形
허공무형 인만물지형이위형 재방위방 재원위원 여사공자유형 즉하이형
萬物哉 是以聖人無心 因百姓之心以爲心 無善不善 皆善之 無信不信 皆
만물재 시이성인무심 인백성지심이위심 무선불선 개선지 무신불신 개
信之 善不善在彼 吾之所以善之者未嘗 也 可謂德善矣 信不信在彼 而吾
신지 선불선재피 오지소이선지자미상유야 가위덕선의 신불신재피 이오
之所以信者未嘗變也 可謂德信矣 不然善善而棄不善 信信而棄不信 豈所
지소이신자미상변야 가위덕신의 불연선선이기불선 신신이기불신 기소
謂常善救人 故無棄人哉 天下善惡信僞 方各自是以相非相賊 不知所定 聖
위상선구인 고무기인재 천하선악신위 방각자시이상비상적 불지소정 성
人憂之 故歙歙爲天下渾其心 無善惡 無信僞 皆以一待之 彼方注其耳目以
인우지 고첩첩위천하혼기심 무선악 무신위 개이일대지 피방주기이목이
觀聖人之予奪 而吾一以영兒遇之 於善無所喜 於惡無所嫉 夫是以善者不
관성인지여탈 이오일이영아우지 어선무소희 어악무소질 부시이선자불
矜 惡者不焉 釋然皆化 而天下始定矣.
긍 오자불온 석연개화 이천하시정의.
* 소씨 주석하대. 허공이 형체 없으나 만물의 형체로 인하여서 형체를 삼는다 모난게 있음 모남을 삼고 둥근게 있음 둥글음을 삼는다 만일 허공으로 하여금 자신의 형체를 가지게 할 것 같으면 뭣 때문에 만물의 형체를 쓸것인가? 이래서 성인은 마음이 없다 (* 譯者附言= 마음이 없다는 것은 유독 어느 한가지만의 형상이 성인의 형상이 아니란 뜻임) 백성들의 마음으로 인하여 마음을 삼는다 (*모습의) 착함 없음과 (*행위의) 착하지 아니한 것 까지도 모두 착하게 여긴다 (*모습의) 미덥지 못함과 (*행위의) 미덥지못한 것 까지도 모두 믿을만 한 것으로 여긴다 착함과 착하지 못함이 저쪽에 있지만 내쪽에서는 착할려 하는바를 일찍이 변하지 않았다는 것을 갖다 바로 착함의 덕성스러움이라 한다 미덥고 미덥지 아니함이 저쪽에 있어도 내쪽에선 미더울려 하는 것을 일찍이 변하지 않았는 것을 갖다 믿어움의 덕성스러움이라 하리라
그렇치 않담 착함이 착하다고 해서 착하지 아니한 것을 버리고 미더움이 미더웁다해서 미덥지 못한 것을 버리게 되니 그러고선 어찌 이른바 떳떳한 착함이 사람을 구원 한다 할것이며 그러한 이치 사람을 버림이없다 할것인가? (*역자부언= 이기적이고 저잘난체 하는모습은 즉 독선이란뜻....= 모든 부정적인 요소를긍적적인 요소로 돌아서게 하고 감하시키는데 덕성스럼의 진가가 있다는 뜻임) 천하에 선악과 참과 거짓이 바야흐로 이로부터 모양을 지어서 모양 아닌 것을 해적시 여겨 정할바를 알지못해 성인이 근심하시는지라 그런 까닭에 첩첩히 두려운 모습을 지으시어 천하를 위하시길 그마음들을 희석시키어 독실하게 하심인 것이다
(* 역자부언= 흑백 양단의 복수전을 벌일까봐 성인께서 근심하샤 미연에 환난을 막을려는 방책에 하나로 희석 시킨다로 볼수있으나 소위 마음에 밝지못한 찌꺼기가 남은 번역자가 지금 편견을갖고 성인에 글을 번역 하고 있다 = 이글이 이렇게 번역됨 성인의 모습이 간사의 극치요 자존 망대한걸로도 볼수 있으나 이또한 편견임) 선악의 구분도 없고 참과 거짓의 식별도 없이 모두 한가지로 대접해선 저들로 하여금 바야흐로 그눈과 귀로 느끼게해서 성인의 주고 빼앗음을 관찰케 해서 내- 어린 아해(*영아가 이해 득실에 오염되지않고 천성을 그대로 간직한 순진무구 천진난만 순수한 성체란 뜻이다 즉 인간이 그런 본연에 모습으로 돌아갈 것을 노담은 제창하고 있다) 를 만난것처럼(*壹=同) 여기게함 착하다고 깃거워 할것도 없고 나쁘다고 질시할것도 없다
무릇 이래서 선한것이라해서 즐기지도 않고 악한것이라해서 성내지 않음 모든게 그렇게 잘풀려 아름다움으로 화하여 져서 천하 비로소 잘 정하게 된다 할 것이다
呂註여주
人心其神矣乎 操則存 舍則亡 出入無時 莫知其鄕 操存舍亡 則無常體之
인심기신의호 조즉존 사즉망 출입무시 막지기향 조존사망 즉무상체지
可測 出入無時 則非今昔之可求 莫知其鄕 則非方所之可得 神則若是 人
가측 출입무시 즉비금석지가구 막지기향 즉비방소지가득 신즉약시 인
心亦然 聖人先得 我心之盡者也 故無常心而以百姓心爲心 猶之鑑也 無常
심역연 성인선득 아심지진자야 고무상심이이백성심위심 유지감야 무상
形以所應之形爲形而已 聖人之視己心也如此 則其視百姓心亦若是而已 則
형이소응지형위형이이 성인지시기심야여차 즉기시백성심역약시이이 즉
善不善 信不信 亦何常之有哉 故善者吾善之 不善者吾亦善之 知其心之善
선불선 신불신 역하상지유재 고선자오선지 불선자오역선지 지기심지선
不善無常 而以德善之故也 信者吾信之 不信者吾亦信之 知其心之信不信
불선무상 이이덕선지고야 신자오신지 불신자오역신지 지기심지신불신
亦無常 而以德信之故也 物得以生之謂德 形體保神各有儀則之謂性 性修
역무상 이이덕신지고야 물득이생지위덕 형체보신각유의즉지위성 성수
反德 德至同於初 則德者性之所自出 而無不善不信明矣 聖人之在天下 歙
반덕 덕지동어초 즉덕자성지소자출 이무불선불신명의 성인지재천하 첩
歙然不已 爲百姓渾其心 渾其心也者 使善信者不以自異 而不善不信者不
첩연불이 위백성혼기심 혼기심야자 사선신자불이자리 이불선불신자불
自棄故也 百姓皆注其耳目 唯聖人之爲視聽 而聖人皆孩之 孩之也者 遇之
자기고야 백성개주기이목 유성인지위시청 이성인개해지 해지야자 우지
以慈待之以厚 雖有不善不信 猶善而信之 知其心之無常猶己而已矣.
이자대지이후 수유불선불신 유선이신지 지기심지무상유기이이의.
* 여씨 주석하대. 사람에 마음이 그신성함이야 말할나위리요? 서두르면 존재하고 노아버리면 없어지니 나고 듦에 시기가 정해진게 없어 그 고향이(*또는 향하는곳) 어딘지를 알지못하게 끔 한다 서두르면 존재하고 노아버림 없어진다함은 몸은 헤아림을 바르게 할만한 떳떳함이없다는 뜻이고 나고 듦이 시기가 없다는 것은 예나 지금을 바르게 찾지 못한다는 뜻이요 그 고향이어딘지를 알수 없게끔 한다는 것은 방위나 처소를 옳게 얻지 않았다는 뜻이니 귀신이 곧 이같다 할 것이다
사람에 마음이 또한 그렇다 할것이고 성인은 나보다 앞서 내마음 닥아옴을 얻고 계시는지라 그런 까닭에 원래 그무슨 항구한 마음이란게 없으시고 백성의 마음으로써 마음을 삼으시어 거울로 여기심이라 떳떳한 형체가 없음으로써 적응해 오는바의 형체로써 형체를 삼으실 따름이다 성인이 자신을 보는 마음이 이같으면 그 백성을 보는마음도 이같을 따름이리니 곧 착함과 착하지 아니함과 미더움과 미더움 아님이 역시 무슨 떳떳한 존재가 있을것인가?
그런 까닭에 선한것도 내 선한 것으로 여기고 착하지 아니한것도 내역시 착한 것으로 여김 그마음의 선과 불선이 떳떳함 얻음인줄 앎음이라서 착함을 덕성스럽게 여기는 원리(*故=연고, 이유)가 되는 것이다 진실된것도 자신이 진실한 것으로 여기고 진실치 못한것도 그생긴바대로 역시 내자신이 진실하게 대하면 그마음의 진실과 진실치 못함이 역시 떳떳함 없음인줄 앎이 되는 것이라서 진실함을 덕성스럽게 여기는 사유(*故)가 되는 것이다 사물이 삶을 영위 할수있게 되는걸 갖다 덕성스러움이라하고 형체가 신성함을 보전하여 각각 의연한 모습을 가지면 본성을 가졌다 한다 본성을 딲고 덕으로 돌아가 덕이 처음과 같음에 이르면 곧 덕이란 것은 본성에서 절로 우러나오는바라서 착하지 아니함이없고 참될려 아니해도 밝아지리라
성인이 천하에 있어 첩첩히 두려운 모습을 지으심을 그렇게 말지않음은 백성으로 하여금 그마음을 희석시켜 돈후하게 함에 있음이라 그 마음을 후덕 스럽게 하는 것은 착함과 믿어움 것으로 하여금 스스로(*저마다) 다르지 않게 하여서 착하지 않고 미덥지 못한자로 하여금 스스로를 포기치 않게 하려는 목적(*故=여기서의 연고는 목적임)이 있는지라 백성들로 하여금 귀와 눈으로 감지케(*주입시킴) 함인것이니 오직 성인의 듣고 본게되고 성인의 모든 아이처럼 되게한다 어린 아이를 대할적엔 자애스러움으로써 만나고 후덕스러움으로서 대해서 비록 착하지 못하고 미덥지 못할만한게 있더라도 오히려 착하게 여기고 미덥게 여겨선 그마음의 떳떳함 없음을 알아서 자신의 몸처럼 여길 따름이리라
朴註 박주
無常心言可左可右 無成心也 以百姓心爲心 言人各自有其心 吾亦各隨其
무상심언가좌가우 무성심야 이백성심위심 언인각자유기심 오역각수기
心而爲心 無分別彼此善惡之意也 善者善之不善 亦善之 則彼善不善皆善
심이위심 무분별피차선악지의야 선자선지불선 역선지 즉피선불선개선
我矣 信者信之不信亦信之 則彼信不信皆信我矣 能以百姓心爲心 則其效
아의 신자신지불신역신지 즉피신불신개신아의 능이백성심위심 즉기효
如此 所謂同於德 德亦樂得之同於失 失亦樂得之者是也 是以聖人歙歙 爲
여차 소위동어덕 덕역락득지동어실 실역락득지자시야 시이성인첩첩 위
天下渾其心 去取好惡不形於色 而人無賢愚 皆注其耳目 歸向於我 所謂望
천하혼기심 거취호오불형어색 이인무현우 개주기이목 귀향어아 소위망
之如雲就之如日是也 民旣歸向於我 我皆以 孩畜之父母之於孩子 又奚賢
지여운취지여일시야 민기귀향어아 아개이영해축지부모지어해자 우해현
愚善惡之分哉 所謂如保赤子是也 林氏曰善不善在彼而我常以善待之初 無
우선악지분재 소위여보적자시야 임씨왈선불선재피이아상이선대지초 무
分別之心 則善常在我 故曰 得善矣 信不信在彼 而我常以信待之初無疑聞
분별지심 즉선상재아 고왈 득선의 신불신재피 이아상이신대지초무의문
之心 則信常在我故曰得信矣
지심 즉신상재아고왈득신의
* 박씨 주석 하대. 떳떳한 마음이 없다는 것은 좌우로 왔다 갔다 일정함이 없음을 뜻한다 이룬 마음이 없어서 백성의 마음으로써 마음을 삼음은 사람이 각기 스스로 그마음의 존재함을 말함이니 내 역시 각각 그마음을 쫒아서 마음을 삼음에 저와 이의 선악을 분별함이 없다는 뜻이다 착한것도 착하게 여기고 불선한것도 역시 선하게 여긴다 저쪽의 선함과 불선함이 모두 나에겐 선한 것이 되리라 (*역자부언= 이를테면 삼인행에 모두 스승이란 뜻이요 타산지석도 나의 갈고 딲으에 도움을 주는것이라 모두가 나의 입장에선 선한 것이 된다는 것이다 = 이것이 사람의 마음 기울기 생각할 탓이라 모두를 악의 관점으로 몰면 또 그에 합당한 논리가 정립된다 할것이니
여러말 늘어놔 봐야 말작난에 불과 할수도 있으니 좋은방면으로의 수용하는자세가 중요하다는 뜻이니 너그러운 자세를 가져야만 한다 할 것이다) 신의로운 것도 신의롭게 여기고 신의롭지못한것도 신의롭게 여기면 저쪽의 신의로움과 신의롭지 못함이 모두 내게는 신의로움이되리라 잘 백성의 마음으로써 마음을 삼으면 그 효험이 이같음이라 이른바 덕을 같이함 덕 역시 얻어서 즐겁고 없애버릴것과 같이함 그없애버리는 맛또한 얻음으로 즐겁다 하는 것이 바로 이를 두고 하는 뜻일 것이다
이래서 성인은 좋게 할려는 의향을갖고 첩첩히놀라는 기색을 지으셔서 천하를 위하시대 그마음들을 희석 시켜 두텁게 하시니 버리고 취하고 좋아하고 미워함을 낱빛으로 나타내지 않으시고 사람들로 하여금 어짊과 어리석음의 분별함이 없게 하시어 모두들 그 귀와 눈으로 감지케 해서 자신에게 돌아오게 하신다 (*고도의 전략 전술과같다 할것이니 이를 간파당하면 고도의 전략 전술이라 할게 없으니 얄팍한 술책에 불과하리라) 이른바 바라건대 구름이 지나가고 해가 나옴이 바로 이렇다 할 것이다 백성들이 이미 내게 돌아옴 내겐 다들 어린 자식들과 마찬가지인지라 부모가 어린자식들을 양육시킴에 있어서 모두가 사랑하는 자식들이거늘 무슨 어짊과 어리석음과 선악의 구분의 존재가 있을것인가? 이른바 붉은아기 (*갓난아기)를 보호함과 같다함이 바로 이런 뜻이다 9
임씨 말하길 선 불선은 저쪽에 있지만 내항상 착함을 대하길 처음처럼 한결같이해서 분별할 마음이 없으면 선함이 항상 내게 있는지라 그러므로 말하길 착함을 얻음이라 말함인 것이다 미더움과 미덥지 못함 저쪽에 있지만 내항상 믿음으로 대하길 처음처럼 해서 그간에 의심내는 마음이 없으면 믿어움이 항상 내게 있는지라 그러므로 말하길 믿어움(*참=진실)을 얻음이라 함인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