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규엽 희망가
국내에선 1921년에 발표되어 1930년대에 크게 유행한 대중가요의 고전. 원곡은 1850년 영국 춤곡을 바탕으로 미국인 제레미아 인갈스의 찬송 모음집에 수록된 찬송가다. 이 노래가 1910년에 일본에 전래되어 미스미 스즈코 라는 여교사가 이 곡에 사고로 죽은 같은 학교의 여학생들을 추모하는 본인의 자작시를 붙여서 '새하얀 후지산의 뿌리 라는 진혼가로 바꾸었고, 그들의 추모식 때 그 학교 학생 4명이 불렀다.
국내에는 1910년에 기독교 신자 임학천이 아래에 적혀저 있는 가사로 작사를 하여 <이 풍진 세상을>이란 제목으로 박채선, 이류색 두 민요 가수가 1921년에 발표를 하였다. 여러 악보집에 여러가지 제목으로 실려 소개되었다. 이를 당시 여러 악사나 창가 가수, 민요 가수들이 불러 대중가요로 보급되었고 '탕자자탄가' 등의 원래의 비탄조의 제목들도 '희망가'로 바뀌게 된다. 특히 1930년 국내 최초의 대중가수 채규엽(蔡奎燁)의 레코드로 대중적으로 널리 알려졌다.
사실 이 노래는 통합된 제목이 없었다. 그리하여 가사 앞 구절을 따서 <이 풍진 세상을> 등으로 불리다 <희망가>로 불리게 된 것. 한 마디로 민중가요라고 볼 수 있다. 가사 또한 위 링크에 있는데 1930년대에 유행한 노래이기에 노래 가사 또한 참으로 암울하다. 나라 없는 민족의 설움을 노래했다고 보면 된다. 제목은 희망가지만 노래는 우울하고 비탄적인 분위기이고 가사 내용도 다분히 식민지 시대의 암울한 사회를 반영하여 슬픈 느낌이 난다. 그러나 듣는 방향에 따라선 단순한 비탄과 절망이 아닌, 세속을 초월한 진짜 행복과 희망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물음을 던지는 철학이 담긴 노래로 들릴 수도 있다. 해방 후에도 1970-80년대 꾸준히 유행했다. 찬송가에서 유래해서 그런 건지, 복음성가로도 있다. '서로 사랑하자'라는 곡으로, "이 풍진 세상을 만났으니 우리 할 일이 무엇인가~"로 시작한다.
대한민국 최초 대중가수 채규엽(蔡奎燁)
출생 : 1906년 함경남도
사망 : 1949년 함경남도
활동 : 1930년 ~ 1949년
채규엽 '희망가' 가사
이 풍진 세상을 만났으니
너의 희망이 무엇이냐
부귀와 영화를 누렸으면
희망이 족할까
푸른 하늘 밝은 달 아래
곰곰이 생각하니
세상만사가 춘몽 중에
또다시 꿈 같도다
이 풍진 세상을 만났으니
너의 희망이 무엇이냐
부귀와 영화를 누렸으면
희망이 족할까
담소화락에 엄벙덤벙
주색잡기에 침몰하랴
세상만사를 잊었으면
희망이 족할까
첫댓글
강인님
참 애쓰셨습니다
귀하디 귀한곡을
찿아 올리셨네요 우리 음방 아니면 들을수 없지요
감사히 듣고 갑니다
좋은오늘 되세요
금송 선배님!
감사합니다.
건강하시고 행복한 좋은 하루 되세요.^^
젊은 애들한테 희망을 물으면~
부모님이 다 해주니 없다고한답니다,
올려준 옛날 음 들으면서 밤마중합니다,
강인님 행복한 밤맞이하세요~^(^
색동이님!
감사합니다.
건강하시고 행복한 좋은 하루 되세요.^^
처음 들어 보는 귀한 곡 올려 주신 강인님
이런 곡도 있었구나 알게 되는 노래 들으며
강인님께 고마운 마음 전 합니다.
건강과 함께 좋은 날들 보내십시요.
솔체 회장님!
감사합니다.
건강하시고 행복한 좋은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