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수성구 대덕산(600m) - 감태봉(578m) - 용지봉(634m)
일시 : 2025년 3월26일 수요일
가는길 : 네비게이션에 대구광역시 수성구 대흥동, 대구체육공원 암벽등반장을 쳐서 찾아감.
산행코스 : 대구체육공원 암벽등반장(옛 자동차극장) - 철탑능선 – 잇단 전망대 – 524m – 복명초등 갈림길 – 헬기장 – 대덕산(600m) - 삼각점봉(553m) - 청계사 갈림길 – 만보정 – 욱수정(진밭골 정상) - 감태봉 갈림길 – 감태봉(578m) - 감태봉 갈림길 - 산사면 갈림길 - 진밭재 - 474m – 586m - 백련사 갈림길 – 용지봉(634m) - 애기봉(556m) - 잇단 정자쉼터 - 법이산 봉수대(349m) – 수성못.
교통 : 대구광역시 수성구 대흥동, 대구체육공원 주차장에 차량주차. 산행후 수성못에서 택시를 타고 차량회수(택시비10,000원)
옛 자동차극장인 대구광역시 수성구 대흥동, 대구체육공원 주차장에서 가야할 대구 수성구 대덕산(600m)을 바라보며 산행을 시작합니다.
대구채육공원 주차장에서 청계사 가는 도로를 따라 대구체육공원 암벽등반장을 돌아 대구 수성구 대덕산(600m)을 향해 철탑 뒤 산길로 오릅니다.
대구체육공원 암벽등반장 뒤 철탑 뒤쪽으로 오르는 등산로는 초반부터 가파르게 올라갑니다.
오름길의 해발 300m 대에는 화사한 연분홍 진달래가 만개하고 있습니다.
해발고도를 높여가는 오름길에 첫 번째 전망대(해발 430m)에 서면, 오른쪽으로 멀리 대구 팔공산(1193m) 주능선이 펼쳐집니다.
첫 번째 전망대 뒤쪽으로는 산행을 출발한 대구체육공원과 대구스타디움이 내려다 보이고, 위로는 대구 수성구 유건산(452m)이 가까이 조망됩니다.
이어진 오름길은 첫 번째 전망대와 비슷한 조망을 보여주는 두 번째 전망바위(해발 465m)를 지납니다.
한차례, 대구광역시 수성구 삼덕동 갈림길(해발 524m)을 지난 오름길은 대덕산(600m)을 향해 가파르게 올라갑니다.
가파른 오름길은 이정표 뚜렷한 대구시 수성구 범물동 복명초등학교 갈림길을 지납니다.
복명초등학교 갈림길(해발 580m) : 복명초등학교2.6km - 대덕산 정상0.2km - 대구스타디움2.5km
복명초등학교 갈림길을 지나 헬기장에 이르면, 1998년 6월25일 "우리의 인내와 땀을 이곳에 모으다"라고 적힌 방공포병학교 전우탑이 있습니다.
방공포병학교 전우탑이 있는 헬기장을 지나면, 이내 두 개의 정상석이 있는 대구 수성구 대덕산(600m) 정상입니다.
대구 수성구 대덕산(600m)을 내려선 걸음은 앞에 우뚝한 587m 봉을 바라보며 능선을 이어갑니다.
이어진 낙엽가득한 청정의 능선은 큼직한 바위가 일주문처럼 서 있는 587m 봉을 지납니다.
587m 봉 이정표 : 대덕산 정상0.92km - 만보정1.15km
587m 봉을 내려서면 능선은 넓은 방화로 능선으로 운치있게 이어집니다.
넓은 방화로 능선은 삼각점과 이정표, 벤치쉼터가 있는 진밭골 산림욕장510m 갈림길인 삼각점봉(553m)을 지납니다.
삼각점봉(553m) : 만보정590m - 진밭골 산림욕장510m - 대덕산 정상1.48km
삼각점봉(553m)을 지난 내림길은 "생각을 담는 길"인 청계사 갈림길을 지나 만보정0.2km 방향으로 가파르게 올라갑니다.
청계사 갈림길(해발 505m) : 청계사1.1km - 진밭길0.5km - 대덕산 정상1.7km - 만보정0.2km
청계사 갈림길에서 잠시 가파르게 오르면, 산불감시초소가 있는 대구시 수성구 시지동 만보산책로의 정상인 만보정 정자쉼터 갈림길에 이르러 잠시 쉬어갑니다.
만보정 정자쉼터 갈림길(해발 515m) : 유건산 정상3.3km - 진밭골(청소년수련원)1.16km - 대덕산 정상2.07km
만보정 정자쉼터 갈림길에서 진밭골(청소년수련원)1.16km 방향의 넓은 능선을 이어가면, 진밭골 정상인 욱수정 정자쉼터 갈림길에서 용지봉3.0km 방향으로 직진합니다.
욱수정 정자쉼터 갈림길(해발 440m) : 용지봉3.0km - 욱수지3.8km - 진밭골0.6km - 만보정0.5km, 월드컵경기장4.1km
욱수정 정자쉼터 갈림길에서 잇단 산사면 갈림길을 무시하고 능선을 고수해 오르면, 감태봉(578m) 바로 아래의 용지봉 갈림길에서 감태봉을 둘러보고 오기로 합니다.
감태봉 바로 아래 용지봉 갈림길 : 용지봉2.72km - 욱수정0.97km - 성암산5.0km
삼각점과 산불감시 카메라탑이 있는 감태봉(578m)은 몇 해전 산불이 났는지 민둥산이 되어 시야가 탁 트여 있습니다.
감태봉 왼쪽으로 경산시계길인 병풍산(568m) - 동학산(603m) - 상원산(674m) 능선을 봅니다.
감태봉(578m) 정상에서 대구광역시 달성군 가창면 냉천리 뒤로는 대구 최정산(905m)이 시원스레 조망됩니다.
감태봉(578m) 정상에서 가야할 뾰족한 봉우리인 대구 수성구 용지봉(634m)을 봅니다.
용지봉 왼쪽으로는 대구 청룡산(794m) - 산성산(653.4m) - 앞산(658.7m)까지 조망됩니다.
감태봉(578m) 정상에서 지나온 대덕산(600m) 뒤로 대구 팔공산(1193m) 주능선을 바라보며, 용지봉 갈림길로 되돌아 갑니다.
용지봉 갈림길로 되돌아온 걸음은, 뾰족하게 솟은 용지봉을 바라보며 가파르게 내려갑니다.
가파른 내림길은 한차례 산사면 갈림길 안부를 지나, 퇴비 무더기와 이정표 뚜렷한 진밭재를 지납니다.
진밭재(해발 460m) : 용지봉2.5km - 감태봉0.8km, 성암산 - 진밭골 입구0.25km
진밭재를 지나 용지봉(634m)을 향한 능선은 통나무 벤치쉼터와 사유지 철망울타리 구간과 아름드리 참나무들이 사열하는 능선을 지나 586m 봉으로 오릅니다.
586m 봉에 오른 걸음은 바로 앞의 대구 수성구 용지봉(634m)을 바라보며 백련사 갈림길 안부로 내려갑니다.
백련사 갈림길 안부 : 백련사0.8km - 진밭골 - 용지봉0.3km
백련사 갈림길 안부를 지난 오름길은 가파른 목책계단 오름길로 이어지며, 한차례 두성아파트1.3km 갈림길을 지나 대구 수성구 용지봉(634m) 정상에 이릅니다.
용지봉(634m)은 대구광역시 수성구 범물동에 있는 산이며 대구시 달성군 가창면 행정리와 경계를 이룹니다.
옛날 큰 홍수가 나서 용 한 마리가 앉을 공간만 남고 모두 물에 잠겨 침수되지 않은 부분이 용의 뿔처럼 생겼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랍니다.
헬기장이며 전망데크가 있는 용지봉(634m) 정상에서 휘돌아온 대구 수성구 대덕산(600m) 쪽을 봅니다.
또한, 용지봉(634m) 돌탑 뒤로는 감태봉(578m)에서 지나온 능선과 진밭골 마을이 조망됩니다.
용지봉(634m) 정상에서 수성못5km 방향으로 내려선 첫 번째 정자쉼터인 용지정에서 멋진 조망을 감상하며 점심시간을 보내고 갑니다.
용지봉(634m) 정상 이정표 : 수성못5km, 파동3km
용지정 정자쉼터에서 가야할 애기봉(556m) 능선 뒤로는 대구 최정산(905m) - 청룡산(794m) - 산성산(653.4m) - 앞산(658.7m)이 가까이 조망됩니다.
내려가야할 애기봉(556m) 뒤로는 완만하게 이어지는 법이산 봉수대(349m) 능선 오른쪽으로 수성못이 조망됩니다.
용지정 정자쉼터를 내려선 능선은 다시 아름드리 참나무들의 사열에 감탄합니다.
이어지는 능선이 애기봉(556m) 철탑 아래를 지나면, 철탑 왼쪽으로 대구광역시 달성군 가창면 냉천리 벌판이 펼쳐집니다.
이어, 애기봉(556m) 정상을 내려서면, 바로 앞의 대구 최정산(905m)과 청룡산(794m), 산성산(653.4m) 사이에 푸르른 가창댐이 아름답게 조망됩니다.
애기봉(556m)을 내려선 능선은 산불감시초소가 있는 등용정 정자쉼터(해발 515m)를 지나, 가창교 갈림길을 지납니다.
가창교 갈림길 : 가창교1.8km - 수성유원지3.8km - 용지봉1.2km
등용교 정자쉼터를 지난 뚜렷한 능선은, 어느새 체육시설이 있는 청음정 정자쉼터 갈림길(해발 385m)을 지납니다.
체육시설 갈림길 : 수성유원지3.3km - 용지봉1.7km - 가창정수장1.6km - 용지체육공원1.5km, 범물배수지1.0km
체육시설 갈림길을 지나 해발 300m 대 능선을 지나니, 다시 화사한 진달래가 보이기 시작합니다.
해발 300m 대 오름길 능선은 굵직한 바위지대를 지나며 잇단 전망대를 지납니다.
오른쪽으로 트인 굵직한 바위전망대(394m)에 서면, 바로 아래 대구광역시 수성구 범물동 아파트 단지들이 내려다 보입니다.
대구시 수성구 용지봉(634m) 능선은 완만한 경사의 능선길을 편안하게 걸으며 주변 도심지를 조망할 수 있는 산행지입니다.
해발 300m 대 봉우리들로 이어지는 능선은 목련아파트 갈림길인 법이정 정자쉼터를 지납니다.
법이정 정자쉼터(370m) : 목련아파트0.8km - 수성유원지2.2km - 용지봉2.8km
이어지는 해발 300m 대 능선이 체육시설이 있는 370m 봉을 내려서면, 왼쪽으로 트인 전망바위에서 앞산터널로 향한 고가도로를 봅니다.
체육시설봉(370m) : 수성유원지1.8km - 용지봉3.2km - 지산배수지1.0km
체육시설봉(370m)을 내려선 내림길은 진달래 화사하게 피는 봉수정 정자쉼터를 지납니다.
봉수정 정자쉼터를 지나 능선을 고수한 오름길은 문화재 발굴작업 중인 대구 법이산 봉수대를 지납니다.
대구 법이산 봉수대 뒷쪽에는 삼각점(대구491, 2007재설)이 있는 실제 법이산(349m) 정상입니다.
대구 법이산 봉수대(349m)를 내려서면, "사진 찍기 좋은 명소" 라는 봉수대 모형 전망대(해발 215m)가 있습니다.
"사진 찍기 좋은 명소" 라는 봉수대 모형 전망대(해발 215m)에 올라서면, 대구광역시 수성구 두산동, 수성못이 아름답게 내려다 보입니다.
"사진 찍기 좋은 명소" 라는 봉수대 모형 전망대(해발 215m)를 지난 내림길은, 이내 어린 벚꽃이 만발한 "국조단군성전" 갈림길을 지나 수성못으로 직진합니다.
대구시 수성구 용지봉(634m) 능선의 마지막 돌탑 갈림길에서는 오른쪽 수성호수로 내려갑니다.
마지막 돌탑 갈림길 : 수성호수 - 코오롱하늘채 - 용지봉
이어진 뚜렷한 내림길은 도로를 건너, 대구광역시 수성구 두산동 수성못에서 약 6시간의 산행을 마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