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은 흐지부지된 사안이지만 강남수서에서 고철을 출발시키는 별도노선계획에 대해서 상당수 사람들은 그것의 의미를 시흥역이북의 과밀해소방안으로들 생각합니다.
하지만 과연 그 방법이 적절한 발상일까요?
우선 수요를 보아서 기존 서울이나 용산역등 중심가로 몰리는 간선철도수요절대량을 과연 강남 수서로 분산하기에 적절한지부터 따져볼문제입니다.
강남수서출발노선의 수요가 서울역이나 용산역의 기존수요를 분담하는 것에 중점을 둘지 아니면 서울역/용산역과는 별도의 새로운 수요를 받아들이는데 중점을 둘지에 대해서 따져볼문제인데 제가 보는 견해는 후자입니다.
전자가 타당하려고 한다면 강남권지역사람들이 KTX를 이용하고자 시내중심가로 몰려드는 수요가 전체 서울/용산역 간선철도수요자들중 상당수를 차지해야 합니다.
그런데 자세하게 통계를 내 보지 않아서 단언하기는 어려우나 강남권사람들이 철도를 이용하고자 서울역이나 용산역으로 오는 경우 대개는 일반열차보다는 고철일것이 분명합니다.
그리고 얼마나 많은 강남권사람들이 고철이용을 하는지에 대해서 통계가 없어서 모르겠스나 아주 대대적으로 기존 서울 용산역의 수요를 반분할정도의 효과까지는 아닐것이라고 봅니다.
거기다가 수서출발역이 일반열차의 시종착기능을 포함하는 것이 아닌 이상은 여전히 서울역/용산역은 고철과 일반열차를 포괄하는 엄청난 수요감당에서 자유로울수가 없습니다.
그 다음에 수서출발노선의 코스문제도 따져보아야 하는데 그렇게 출발하면 중간에 광교산및 청계산을 관통하는 터널이 필수입니다.
그렇다면 건설비용도 만만치 않고 또 한가지 주목해야 할 사항은 그렇게 코스를 만든다면 향남분기점을 중간에 놓고 천안이남과 수서출발역을 삼각형구도로 놓고 볼적에 수서출발은 기존 서울역출발에 비해서 남서향으로 골곡을 그리는 형국이 되어버립니다.
그러니 여러가지 상황을 종합한다면 고철 수서출발노선은 그리 바람직한 대안은 아니라고 판단됩니다.
그렇다면 다른 대안을 생각해야 하는데 차라리 고철의 강남출발노선을 따로 만드는 것보다는 중부내륙선의 준고속화가 타당하다고 봅니다. 그리고 기점은 수서가 아닌 상일동 중부고속도로근처로 하고.
그리하여 중부내륙선은 시속200킬로급이 가능한 직선구간을 태반으로 하여 건설한다면 서울 강남출발하여 경부고철본선 김천부근에서 합류케 하여도 그 코스가 기존 경부축보다 길이가 좀 짧으므로 천안 대전을 경유해오는 KTX보다 시간적으로 밀리지 않을 것입니다.
물론 이 구간은 KTX와 TTX를 모두 운행합니다.
고속도로의 경우만 보아도 기존 경부고속도로보다 중부내륙고속도로를 경유하는 것이 시간상 더 효과적인 상황이 나타났습니다.
또 상일동을 기점으로 하면 남으로는 영남권방향 간선코스이지만 향후 북으로도 한강을 건너 경원선간선방향으로 연계가 가능합니다. 또 그렇게 추후 간선망을 확충해야 할것이고.
수서기점으로 하면 남으로 내려가는 것만 가능할뿐 북으로 올라가려면 복잡하게 지하화를 하여 시흥역이북보다 더 비용들도 고난도한 난공사를 감당할수밖에 없습니다.
첫댓글 저는 조금 생각이 다릅니다. 말씀대로 강남권 사람들이 고철타러 서울,용산역을 가기보단 고속터미널로 가겠죠. 하지만 고철을 타러 오는사람들이 대중교통(지하철,버스를 타고 역으로 간다는 점과 시내 접근성을 고려하면 수서가 적당합니다. 양재보다도 수서가 낫습니다. 그 이유를 들자하면, 서울역과 용산역 이용 사각지역이 강남, 송파, 강동구가 되겠습니다. 3호선이 향후 5호선 오금역과, 8호선 가락시장과 환승이 된다는 점. 분당선이 통과한다는 걸 고려하면 상일동보다 훨씬 포괄적인 지역에 접근성을 노릴수 있습니다. 상일동에 지어지면, 강남구나 서초구 사람들이 고철을 외면하고 버스를 계속 더 좋아하는건 똑같을 겁니다.
수서고철역이 서울,용산역의 수요를 절반만큼 뺏어오지 않겠지만, 많은 버스수요를 뺏어올것입니다. 그리고 지금 이상황에서 김천까지 거의 새로운 노선을 지어버리는 것이 수서에서 북으로 뻗는 노선을 짓는것보다 훨씬 돈이 많이 들겁니다(수많은 터널교각등등). 똑같은 돈이라면, 서울 시내에 지하로 노선을 뚫어 접근성이 더 높도로 강북 깊숙히 새역을 짓는게 더 낫지 않을까요?
수서로 할시의 장점은 대략 송파신도시의 인구유입으로 인한 역세권보장+ 부지문제의 경우 기존의 그린벨트 활용.(준공후 복원을 전제.)+서초.강남.강동.하남의 철도소외지역의 철도보급과 신선을 뚫지않아도 다이아운용서 어느정도 자유로워질수있다는 특징을 들수가있겠군요.단점은 역시 민원.-_-;;