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48년 6월 13일 일본 소설가 다자이 오사무太宰治가 스스로 삶을 마감했다. 불과 39세 나이였던 그는 내연녀와 함께 물로 뛰어들었다. 단편 〈달려라 메로스〉, 장편 〈사양〉과 더불어 자신의 대표작으로 일컬어지는 장편 〈인간 실격〉발표로 한창 각광을 받고 있던 시점이어서 더욱 충격이 컸다.
체호프의 〈벚꽃 동산〉이 준 감동에 취해 집필한 것으로 알려지는 〈사양〉은 상류층 집안의 몰락 과정을 보여준다. 이 소설 발표 이후 사양이라는 어휘가 일반에 관용적으로 쓰이게 되었다. ‘사양 산업’ 등의 사양斜陽이 바로 그것이다. 해陽가 기울어졌다斜, 즉 몰락 시점이 얼마 남지 않았다는 뜻이다.
〈사양〉에는 패전 후에도 여전히 귀족의식에 빠져있는 결핵 환자 어머니, 어머니를 돌보는 딸 가즈코, 전쟁에 징집되어 갔다가 살아 돌아온 마약 중독 아들 나오지, 나오지의 스승인 우에하라가 등장한다. 이들 넷은 하나같이 우울한 일상에 갇혀 있다.
〈벚꽃 동산〉의 큰딸 바랴가 로빠힌에게 막연한 애정을 가지고 있듯이, 〈사양〉의 가즈코도 우에히라에 대한 동경에 젖어 있다. 다만 바랴와 로빠힌 사이가 미묘한 감정 교차만 오가다가 끝나는 데 반해, 가즈코는 아기를 가지게 된다. 그 사이 어머니는 병사하고 동생 나오지는 자살한다.
〈인간 실격〉과 〈사양〉의 캄캄한 분위기와 달리 〈달려라 메로스〉는 줄곧 교과서에 실려 있을 만큼 밝다. 왕은 걸핏하면 사람을 죽이는 폭군이다. 목동 메로스가 왕 처단을 결심한다. 물론 암살 기도는 실패로 끝나고 메로스는 사형 처분을 기다린다.
메로스가 여동생 결혼식을 위해 사흘만 풀어달라고 왕에게 요청한다. 인질로 자신의 벗을 맡겨둔다는 것이 조건이다. 홍수와 산적의 방해를 뚫고 메르스가 기한 내에 돌아오고, 그것을 본 뒤 왕도 크게 뉘우쳐 선량한 임금으로 바뀐다.
일반 백성을 흔히 양민良民이라 했다. 양은 선량善良이다. 격양가擊壤歌를 부르는 백성들은 반상反上행위를 배척한다. 제몫이 아니면 도모하지 않는다는 뜻이다. 메르스와 그의 벗 세리눈티우스 같은 인간형이 존재하는 것도 그 때문이다.
다만 디오니스 국왕의 환골탈태는 희귀 사례이다. 그 덕분에 그는 소설에 등용되었다. 현실의 권력자들은 꽃다운 이름을 영원에 남기려면, 즉 유방백세流芳百世의 인물로 역사에 기억되려면 어떻게 처신해야 하는지 잘 생각해 보아야 할 것이다. 자칫하다가는 본인은 '인간 실격' 판정을 받고, 후손들은 고개를 들지 못하고 살게 될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