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음이 작기보다 속에 많은 생각이 있어서 잘 표현 하지 못하기 때문에 가정에서 보다 학교에서 성공경험을 통해 자신감을 갖도록 해줘야한다. 어머니의 칭찬보다 교사의 칭찬이 훨씬 힘을 주므로 작은 것이라도 찾아 칭찬해서 조금씩 성장하도록 도와주자
다른 사람들이 나를 안좋게 보고 이상하게 볼까 하는 두려움이 크므로 성공 경험을 쌓아가는 방법 밖에 없다.
보모의 기질을 물려받은 경우가 많은데 부모는 오랜 시간 극복해왔지만 아이는 두려움이 많은 경우
새로운 것 익숙하지 않은 것(장소, 음식 등)을 꺼리는 유형
발표나 익숙하고 자신없는 것을 두려워 피하는 아이(실수할까 누가 공격할까 잘못할까, 놀릴까 등)
위험이나 모험을 선호하는 유형과 회피하는 유전자의 차이
모험을 선호하는 사람은 전쟁에서 죽을 가능성이 많지만 성취가 높고
위험 회피형은 전쟁에서 살아남을 가능성이 많으나 성취가 낮고
불안이 높은 여학생의 경우 성적이 높음
모험을 하지 않고 조심스러움, 결정을 할 때 시간을 두고 신중한 결정을 함, 매사 사려깊고 신중함, 내향적이어도 창의성이 부족하지 않고 창의성이 높은 경우가 많음(아인슈타인, 빌게이츠 스티브 잡스, 예술적인 부분에 성취가 높음)
외향적인 아이가 깊이 생각하지 않은 사이에 내향적인 아이는 깊이 신중하게 다방면에서 생각하므로 장점이 많음
외향적인 사람은 많은 사람을 사귀지만 깊이 사귀지 않은 반면 인간관계가 깊지는 않지만 깊이 사귐
부모가 부정적으로 바라보는 시선이 위축되고 자신감을 상실하도록 만드나 부모가 긍정적인 시선으로 보면 긍정적으로 발달함
소심한 아이는 시간을 두고 기다려 주어야 한다.
부정적인 말로 위축시키거나 자신감을 잃게 하면 어두운 성격, 두려움을 갖게 됨
잘하게 될 수 있고 자신의 두려운 감정을 부모에게 말하면서 변화할 수 있는 힘을 길러줄 수 있어야 함
부모 자신이 겪은 일을 들려주되 별일 아니라고 하여 이해하지 못하는 느낌을 주지 않고 다를 수는 있지만 도움이 될지도 모른다고 전제하고 이야기를 들려줌
부모는 변하할 수 있다는 것을 알지만 아이는 변화하고 가능하게 된다는 것을 이해하지 못함
어렸을 때 모습을 보여주면서 시간이 지나면서 자능해진다는 것을 이야기해주고 못하는 것을 기록해 두었다가 가능해지면 그것을 이용해서 믿음을 심어줌
내성적인 아이는 긴장을 많이 하고 있으므로 이완하고 에너지를 발산할 수 있는 놀이를 많이해주는 것이 좋다.
태권도는 내향적인 아이가 외향적인 아이로 변하지는 않으나 도움은 된다
자연에서 노래를 부르거나 소리즈리기, 슬픈 것을 보고 실컷 울기, 심호흡을 많이 시킴
심호흡은 누워서 무릎을 살짝 구부린 채로 횡경막이 음압으로 내려가면서 숨을 쉬는 복식호흡
늑간근 호흡은 긴장시킴
복식호흡 1분만하면 긴장이풀어짐
큰 시도에 앞서 만만한 작은 시도부터 시작해서 성공 경험을 많이 쌓아주도록 한다.
발표시 아이 옆에서 선생님께 작게라도 이야기ㅡ하면 정확하다고 칭찬 하고 써서 발표하도록 ......
교사는 내향적인 강점을 기르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가장 중요한 것은 부모가 아이의 기질을 인정하고 잘 이끌어줄 방법을 생각해봐야 한다.
시간이 가면서 변할 수 있다는 것을 이야기 하고 인형으로 역할극하면서 인사연습 시키는 방법 등으로 연습
낯선 사람을 만날 때는 늘 좋은 일이 생긴다는 느낌을 갖도록 맛있는 것을 사주는 등 즐거운 기억이 따라오도록
그리고 뭔가 성공적인 경험을 하면 칭찬으로 보상
아이를 야단치기보다 섬세하게 관찰하고 작은 변화라도 찾아서 칭찬
낙관적인 태도로 아이를 끌고 가도록 한다.
인지적 접근보다 행동적 접근으로(말로 가르치기 보다 인사연습을 시키는 방법 등 행동으로 지도)
선택적 함묵증: 친한 친구를 만들어 집에서 놀게 하다가 학교에서도 가능하도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