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오페라하우스 부지는 단지 전체가 개발예정지로서 새로운 도심의 질서를 부여하고 있다. 과거 삶의 애환이 담긴 생존을 위한 장소에서 삶을 누리며 즐기는 장소로서 시민에게 환원되는 변화 속에서 대구오페라하우스는 휴식과 이벤트를 제공하는 구심적 공간이 된다. 여기에 자유로운 건축 표현은 환경조형물이 아닌 건축물 그 자체가 하나의 오브제로 역할을 한다.
아닌 건축물 그 자체가 하나의 오브제로 역할을 한다.오 페라를 담는 공간은 공연 예술이 빛을 발하도록 리듬과 운율을 느낄 수 있는 곳이며, 작가의 메시지를 관객이 보면서 이해할 수 있는 회화적 장소이다. 그러한 어휘의 시각적 전이는 리듬감과 내재질서를 오브제 속에 유입시키는 일련의 작업 결과이다.
2. 건축
공연예술을 위한 공간은 관객과 공연자의 상호교감을 통한 최상의 연출이 가능하도록 음향적 요소와 시각적 디자인이 병행되어야 한다. 대구오페라하우스는 말발굽형(Horseshoe-Shaped)의 평면과 1,490개의 객석 규모, 프로시니엄(Proscenium/무대전면)의 규모 및 시야확보를 위한 발코니의 구성이 정통 오페라 공연에 필요한 기능을 충족시키고 있다.
대구오페라하우스는 주로 듣는 공연을 위주로 하는 콘서트 홀이 아닌 오페라와 같이 청각과 시각을 동원하여 보고, 듣는 예술 장르를 만족시킬 수 있는 전문공연장으로서 건축공간 및 무대장치의 효율적 운영 및 관리를 통해 뮤지컬, 발레, 무용, 브로드웨이 쇼, 라이브콘서트, 가극, 악극, 연극공연 및 영화상영 등이 가능하다.
3. 무대시설
- 무대 디자인 협력: FDA(Fisher-Joshua Dachs Associaes, Inc.)/New York, U.S.A
프로시니엄의 크기는 10.5m×15m이며 객석의 크기와 관객의 가시거리에 기초하여 최적의 관람을 위한 규모로서 대규모 오페라 공연도 수용 가능하다.
무대의 기계장치는 공연연출용 막(Curtain)들과 배경막, 조명장치, 무대바닥 리프트장치를 구비하였으며, 좌ㆍ우측 무대와 후(後)무대는 공연의 특성과 규모에 따라 연출과 확장이 가능한 장치와 공간으로 설치되었다. 오케스트라 피트는 공연의 규모와 음악에 따라 최대 110명(평상시70인)의 4관 편성이 가능한 규모이며, 필요에 따라 무대를 확장하거나 객석으로 전환이 가능하다.
4. 객석
- 객석 Design 협력: FDA(Fisher/Joshua Dachs Associaes, Inc.)/New York
객석수는 오페라 공연시 공연자의 육성이 모든 객석에 고루 전달될 수 있는 1,500석 규모(오페라감상의 음향적 적정규모 1,300~1,500석)로 시각적 가시거리 한도 내에 모든 객석을 배치함으로써 오페라뿐만 아니라 보고, 듣는 공연을 수용하는 전문공연장 기능에 충실하였으며, 음향적으로 적정한 홀의 용적(W:25m×L:34m×H:15.48m)과 객석 규모를 갖추어 후면객석과 측면 발코니객석에서의 관람시야와 음향적인 요구를 충족하도록 하였다.(참고-시드니 오페라하우스 : 1,547석, 대구오페라하우스: 1,490석)
5. 음향시설
- 음향 디자인 협력: JHA(Jaffe Holden Scarborough Acoustics,Inc.)/Washington, U.S.A
대구오페라하우스는 음향 및 시각적 공연 전문 홀로서 오페라 공연시 최적의 음향효과가 연출되도록 계획되었으며 직접음과 간접음의 차이가 0.02초, 잔향시간은 1.2~1.6초로 되어 있다. 공연장의 최적의 효율을 위하여 오페라공연 뿐만 아니라 각종 공연에 대응 가능한 시스템 및 마감재로 구성되어 공연에 따라 음의 흡음율과 반사율을 조정하기 위하여 천정 돔(Dome) 부분에 48개의 롤 스크린(Roll Screen) 및 각층 벽체에 흡음 커텐을 설치하여 공연기획자의 의도에 따라 잔향시간 조정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 참고: 이탈리아 오페라 최적 잔향시간 : 1.2 ~ 1.4초 바그너/스트라우스/푸치니의 오페라 최적 잔향시간 : 1.6초 브로드웨이 뮤지컬 최적 잔향시간 : 1.2 ~ 1.4초
또 오페라, 뮤지컬, 연극 등에 사용되는 효과음 생성 및 음향상태 정밀조정, 녹음 및 재생이 가능한 음향시스템이 설치되어 있으며, 무대 전면 관객을 위해 전면 스피커와 애이프론(Apron) 스피커도 설치되어 있다.
6. 조명 및 영상시설
- 조명 디자인 협력: FMRS (Fisher Marantz Stone)/NEW York, U.S.A.
공연을 위한 필수 조건인 무대 상·하부 조명 및 무대 전면 조명의 완벽한 공연 지원과 여러 형태의 공연에 대응하기 위한 확장성과 가변성을 바탕으로 조명계획을 수립하였으며, 무대조명과 더불어 오페라 공연장으로서 품격에 맞는 객석 내부 조명과 로비 및 홀의 조명을 계획하였다. 더불어, 공연장의 특성에 따라 시설의 이용시간이 대체로 야간인 점을 고려하여 대구오페라하우스의 건축적 특성과 이미지를 살릴 수 있는 건물 내·외부의 건축환경 조명을 계획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