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 부품주가 월요일 떨어진 원인이 이거구요.
조금 추이를 봐야할듯합니다
철강주 악재는 방금 나왔는데요. 정말 이건 웃긴일입니다. 관세철회 하루만에 선재에 대한 반덤핑 관세부과 뉴스입니다
반도체부품주의 경우는 사실 더 저가매수의 기회가 될듯하구요
철강주는 타격이 좀 있긴하겠으나 워낙 중소형 철강주들은 저평가 상태라서요
악재 자체가 기업의 본연의 가치를 훼손하진 않죠
다만 저런 제재가 실질적으로 어떤 타격을 줄지에 대해서는 좀더 면밀한 검토가 필요해보입니다
[머니투데이 임동욱 기자] [美 로펌 '하겐스버먼', D램 3社 반독점법 위반혐의 제소.."D램 공급 제한해 가격 올려" 주장]
글로벌 메모리 반도체
기업들이 불법적으로 D램 가격을 끌어 올렸다는 이유로 미국 내에서 집단 소송이 제기됐다.
소송을 제기한 미국 대형 로펌 측은 과거
반도체 가격
담합 사건을 언급하며 '제2의 승리'를 자신하고 있지만, 업계는 '과거와 상황이 다르다'며 반박하고 있다.
◇美
로펌 "D램 3사, 공급 제한해 가격 올려"
미국 대형 로펌 하겐스버먼은 27일 오후(현지시각) 보도자료에서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마이크론을 미국 캘리포니아 북부 지방 법원에 반독점법 위반 혐의로 제소했다고 밝혔다. 이어 2016년 7월1일부터 올해
2월1일까지 미국에서 스마트폰이나 컴퓨터를 산 누구나 별도 비용 없이소송에 참여할 수 있다고 소개했다.
하겐스버먼은 "2017년
중반 기준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마이크론은 D램 시장의 96%를 차지했다"며 "이들은 D램 공급을 제한하기로 해 메모리 반도체의 가격을 끌어
올렸고, 이 결과 2016년부터 2017년까지 D램 가격은 130% 치솟았다"고 주장했다. 이 결과 2016년 1분기부터 2017년 3분기까지
이들 세 업체의 수익이 2배 이상 뛰었다고 강조했다.
스티브 버먼 하겐스버먼 파트너는 "이들은 규칙에 따라 플레이하는 대신, 더
많은 이익을 얻기 위해 고객들의 목을 조르고 시장을 쥐어짰다"고 비판했다. 이어 "우리는 앞서 유사한 소송에서 D램 판매자에게 3억 달러의
배상금을 받아낸 바 있다"며 "이번에도 소비자가 승리할 것"이라고 말했다.
◇'과거의 악몽' 재현되나
앞서 지난 2002년 6년 미 법무부(DOJ)는 델 등 PC 제조업체들의 조사 의뢰로 삼성전자를 포함한 전세계 D램 업체들에 대한
담합협의를 조사하기 시작했다. 삼성전자, 하이닉스, 마이크론, 인피니온 등 한국, 미국, 독일 국적의 4개 D램 제조업체가 미국에서 6개 미국
PC제조사들에게제품을 공급하면서 가격을 합의했다는 혐의였다.
이듬해 12월 마이크론의 프리바겐(죄를 인정하고 수사에 협조를 전제로
사면 또는 감형받는 제도)으로 조사에 속도가 붙었고, 결국 2005년 4월 하이닉스가 1억8500만달러의 벌금을, 같은 해 11월 삼성전자가
3억 달러의 벌금을 부과받았다. 당시 해당 업체 일부 임원들은 징역형으로연방교도소에 수감되는 고초를 겪었다.
당시 하겐스버먼은
형사처벌이 확정된 뒤 소비자 집단 소송을 벌여 반도체 업체들에게 3억 달러의 민사 배상금을 받아냈다.
◇업계 "불법적
가격조작은 없다"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 국내 D램 업체들은 우선 하겐스버먼이 제기한 이번 소송의 진의를 파악하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아직 소장을 전달받지 못해 정확한 사안을 파악하지 못한 만큼, 공식적인 입장표명은 미루고 있다.
그러나 과거
가격 담합
사건과는 최근 상황이 판이하게 다른 만큼, 철저히 '시장 원칙'에 따른 가격 움직임이었음을 밝혀내 결백을 밝히겠다는 모습이다.
이들 3개 업체가
불법적으로 가격을 조작했다는 혐의에 대해서도 업계는 고개를 젓는다.
D램 업체 관계자는 "시장 수요가 폭발적으로 늘어나는 가운데
공급이 이를 못 받혀주면서 D램 가격이 상승한 것"이라며 "우리도 더 생산하고싶었지만 추가로 가동할 수 있는 시설이 없어 답답했다"고 말했다.
실제로 지난해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메모리 생산라인의 가동률은 100%를 기록했다. 24시간 3교대로 생산라인을 돌리고 있지만,
D램 수요는여전히 공급을 초과하는 상황이다. 10나노급 D램 등 메모리 반도체 시장 내 기술장벽 및 난이도가 높아진 것도 시장 공급을 제약하는
요인이다.
업계는 이번 소송이 미국 정부가 아닌 민간 로펌이 주도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한다. 업계 관계자는 "일단 통상 이슈는
아닌 것으로 판단된다"며 "최근 D램 기업들의 수익성이 크게 높아졌는데, 이를 노리고 집단소송을 통해 수익을 올리려는 로펌이 소송을 걸었을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다.
올해 1분기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반도체 사업 영업이익률은 각각 55.6%, 50.1%에 달했고,
마이크론도 최근 분기 영업이익률이 49.3%를 기록했다.
美무역위 "한국산 철강선재 美업계에 피해"…반덤핑 관세 부과(종합)
232조 철강 고율관세 면제 하루만에 또 '관세폭탄'…관세율
41.1%
(워싱턴=연합뉴스) 이승우 특파원 = 미국국제무역위원회(USITC)는 1일(현지시간) 한국산 탄소ㆍ합금강
선재(carbon and alloy steel wire rod) 제품이 미국의 철강 업계에 피해를 주고 있다고 최종 판정했다.
이로써
포스코를 비롯한 우리나라 철강업체들이 미국에 수출하는 탄소강 선재와 합금강 선재 제품에 41.1%의 반덤핑 관세가 부과된다.
무역위는
이날 성명에서 한국과 함께 이탈리아, 터키, 스페인, 영국 등 모두 5개국의 탄소ㆍ합금강 선재 수입품에 대한 반덤핑ㆍ상계관세 조사의 최종
단계에서 인정 결정을 내렸다고 밝혔다.
업계 전문가들에 따르면 우리 철강업체들은 과거 사례에 따라 미 당국을 상대로 재심을 요청할 것으로
보인다.
영국 제품에 가장 높은 147.63%의 반덤핑 관세가 매겨지고, 스페인과 이탈리아는 각각 11.08~32.64%,
12.41~18.89%가 부과된다. 터키 제품에 대한 관세 부과율은 4.74%~7.94%로 가장 낮았다.
무역위의 이 같은 조치는 전날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한국산 철강 제품에 대해 고율의 추가 관세를 부과하는 무역확장법 232조 시행을면제하기로 최종 승인한 지 하루 만에 나온
것이다.
업계에서는 미국 정부가 이처럼 개별 판정을 통해 철강 제품에 반덤핑 관세를 부과하는 것이 무역확장법 232조의 철강 제품 적용을
둘러싼 협상 자체를 무의미하게 만든다는 불만이 나오고 있다.
앞서 미 상무부는 지난 3월 20일 한국을 포함한 이들 5개국의 탄소ㆍ합금강
선재에 대한 반덤핑ㆍ상계관세 조사 결과 이들 나라의 철강업체들이 정부에서 불법 보조금을 받거나 미국 내에서 덤핑 판매를 하고 있다는 판단을
내리고 이를 무역위에 통보한 바 있다.
상무부는 재작년 3월 미국 철강업체들의 청원을 받아들여 한국 등 10개국이 수출한 선재에 대한
반덤핑조사에 착수했다. 이는 트럼프 행정부 출범 이후 한국산 수출품에 대한 첫 반덤핑 조사 사례였다.
선재는 압연 강재 중에서 조강에
속하는 제품으로 단면이 둥글고 코일 모양으로 감겨 있다.
우리 정부에 따르면 대미 선재 수출물량은 2015년 11만6천901M/T(메트릭
톤), 5천906만 달러에서 2016년 9만2천504M/T, 4천560만 달러로줄었다.
leslie@yna.co.kr
(끝)
첫댓글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