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사 직책 영문명 / 영어 이름의 의미 / Jack / manger 여물통, 구유 *
I. 회사 직책 영문명
會長 회장 Chairman & CEO
副會長 부회장 Vice Chairman & CEO
社長 사장 President & COO
副社長 부사장 Senior Executive Vice President
專務理事 전무이사, 전무 Senior Managing Director & CFO
常務理事 상무이사, 상무 Managing Director
理事 이사, 이사 대우 Director
監事 감사 Auditor General
顧問 고문, 자문 Advisor
部長 부장 General Manager
本部長 본부장, 부장 Director
部長 代理 부장 대리 Deputy General Manager
次長 차장 Deputy General Manger
室長 실장 General manager
課長 과장 Manager
課長 代理 과장 대리 Deputy manager
代理 대리 Assistant manager
係長 계장 Chief
主任 주임 Assistant manager
主任技士 주임기사 staff engineer
技士 기사 Engineer
首席硏究員 수석연구원 Principal Research Engineer
責任硏究員 책임연구원 Senior Research Engineer
先任硏究員 선임연구원 Research Engineer
傳任硏究員 전임연구원 Associate Research Engineer
主任硏究員 주임연구원 Assistant Research Engineer
常任顧問 상임고문 Executive Advisor
專門委員 전문위원 Research Fellow
法務 법무팀 Law Dept.
戰略企劃 전략기획팀 Plan Dept.
海外事業 해외 사업팀 International Development Dept.
II. 영어 이름의 의미
=> 고대의 직업 명칭이 오늘날에 와서 姓으로 정착됨.
Smith : 대장장이,금속 세공인 Capenter : 목수
Talor : 재봉사 Miller : 방앗간 주인
Peter : 바위 Robert : 붉은 수염
Thomas: 쌍둥이 Charles : 남자다운
John : 신이 준 자 Richard : 대단히 강한
Paul : 키가 작은 Wiliam : 빛나는 투구
David : 사랑스러운 Susan : 백합
Magarette : 진주 Catherin : 청순한
Mary : 소망하던 아이 Elizabeth : 신의 숭배자
Helen : 빛,등불
III. Jack :
=> Jack은 John의 애칭으로 John과 마찬가지로 '아무개'이죠
Every Jack has his Jill.(짚신도 제 짝이 있다.)
=> 모든 잭은 질이라는 여자 친구가 있다니까 '짚신도 제 짝이 있다'죠.
Jack and Jill 갑돌이와 갑순이 / 선남선녀(善男善女) / 장삼이사(張三李四)
=> 옛 동요에 많이 나오는 어린이 이름이라서 아동 관련 업체나 기관에 Jack and Jill이라는 이름이 많아요.
-
Jack-in-the-box
상자 속에 스프링 달린 인형이 들어 있어 뚜껑을 열면 튀어나오는 장난감이죠.
-
A Jack of all trades and master of none.
모든 일에 능통한 사람 치고 한 가지 일을 제대로 하는 사람은 없다.
=> trade는 상업 trade mark가 상표인 거 아시죠.
모든 일을 잘 하는 사람을 a jack of trade라고 합니다.
Mr. Kim is a Jack of all trade.
김씨는 만능 재주꾼.
-
All work and no play makes Jack a doll boy.
일만하고 놀 줄 모르면 사람이 둔해진다. 아시는 표현이죠?
미국 사람들은 특히 범생이(dork)를 싫어하는 것 같아요.
-
Jack Would be a gentleman if he had money.
Jack은 '뱃사람'이라는 의미로 쓰이기도 한답니다.
따라서 돈만 있으면 뱃사람도 신사가 될 수 있다.
'돈이면 다 된다'(Money talks)의 의미죠.
-
I'm all right Jack.
Jack은 아무개죠. 그래서 “아무개나 상관없다.” 라는 의미로 쓰인답니다.
그래서 "I'm all right Jack" attitude라고 하면
'남이야 어찌되든 자기만 괜찮으면 된다'는 이기적인 태도를 말합니다.
He's got such an "I'm all right Jack" attitude.
-
Before you can say Jack Robinson
Jack Robinson이 누구냐고요? 이건 저도 모르겠네요
아무개라고 말하기도 전이니까 '아주 빨리'라는 의미죠.
They might be sold out before you can say Jack Robinson.
금방 매진될 겁니다.
-
Batman의 Michael Keaten이 주인공으로 나오는 가족 영화 Jack Frost를 아세요?
아들에게 잘 해주지 못하던 아버지가 사고를 당하게 아들 곁에 눈사람(snowman)으로 남게 된 Michael. 하지만 날씨가 따뜻해지자 눈사람은 녹기 시작하는데...
Jack Frost는 '서리', '동장군'의 의미죠.
-
jumping jack
뛰어 다니는 잭이 뭘까요? 정답은 '꼭두각시'(puppet)
-
Jack-o'-lantern
할로윈하면 떠오르는 눈코입을 뚫어 속에 촛불 켜 놓은 호박(pumpkin)입니다. 여기서 Jack은 옛 아일랜드의 구두쇠로 악마를 속여 자기 혼을 빼가지 못하게 하고 죽은 뒤 천당에 가니 구두쇠라서 쫓겨나고 지옥에 가니 영혼이 없다고 쫓겨나서 갈 곳 없어 헤매다가 순무(turnip)속을 파고 그 속에 석탄을 넣어 등불(lantern) 삼아 세상을 헤매고 다녔다나요?!
-
Union Jack 영국 연방 국기
IV. manger[méindʒǝr] 여물통, 구유
dog in the manger (버릴 것이라도 남은 못쓰게 하는) 짓궂은 사람
He's a dog in the manger.: 그는 지독한 이기주의자이다.
→ manger는 여물통을 뜻하여 소가 그 안의 건초를 먹으려는 순간 개가 여물통 안으로 뛰어들어가 먹는 것을 방해했다는데서 유래, '심술쟁이'라는 뜻도 있음.
He's a dog in the manger. : 그는 지독한 이기주의자이다.
dog는 하찮은 존재, 좋지 않은 것dmf 나타냅니다.
-
dog's life는 말 그대로 개 같은 내 인생이니까 불행한 인생을 말합니다.
I don't want to live a dog's life.
개같이 무미건조한 생활은 하고 싶지 않습니다.
-
to have a dog's chance라고 하면 개에게 주어지는 기회니까 기회가 없는 것을 말합니다.
-
a dog in the manger는 심술쟁이를 말합니다.
이솝우화에서 여물을 먹지도 못하는 개가 괜한 심술 때문에 여물통(manger)에 빠져서
당나귀가 여물을 못 먹게 하는 것에서 유래했습니다.
He is a dog in the manger.
그는 심술쟁이다.
-
to go to the dog이라고 하면 dog은 가치 없는 것을 말하므로 좋은 상태에서 나쁜 상태로 가다 즉 파멸하다
Our generation has gone to the dogs.
우리 세대는 파멸했다.
-
to treat a person like a dog이라고 하면 개처럼 사람을 다루는 것이죠.
Don't treat me like a dog. I don't deserve it.
날 개처럼 대접하지마. 난 그럴 이유가 없어.
-
A living dog is better than a dead lion.은 성경 전도서 9장 4절에 나옵니다.
산 개가 죽은 사자보다 낫다는 것이죠. 여기서도 dog가 하찮은 존재를 나타내죠.
-
Every dog has his day.(쥐구멍에도 볕들 날이 있다.)도 마찬가지입니다.
모든 개 즉 아무래 하찮은 존재라도 자신의 날이 있다. 즉 쥐구멍에도 볕들 날이 있다.
여기서 his day라는 표현을 좀 보고 가면
This is my day.라고 하면 나의 날이니까 매우 운 좋은 날을 말합니다.
'오늘은 좀 별로 일진이 안 좋아'라고 하면 Today isn't my day.
-
Love me, love my dog.이라는 표현은 나를 사랑하면 내 개도 사랑하라.
즉 내가 좋으면 나의 단점까지도 좋다는 것이죠.
우리도 마누라가 이쁘면 처갓집 말뚝에다 절을 한다고 하잖아요.
-
Give a dog a bad name and hang him.(한번 누명을 쓰면 벗기 어렵다)은
개에게 나쁜 이름을 주면 개의 목을 단다는 것이니까
개가 미쳤다고 하면 동네 사람들이 모두 달려나와 개를 잡는다는
즉 한번 누명을 쓰면 벗기 어렵다는 것이죠.
dog in the manger : 심술장이
manger : 여물통
유래: 이솝우화중에서 당나귀가 여물을 먹고 있을 때 개가 자기는 먹지도 못하면서
괜한 심술 때문에 여물통에 빠져서 당나귀가 여물을 못 먹게 할 때.
즉 괜한 심술을 부릴 때.... 그럴 때 쓰임니다.
manger[méindʒǝr] 여물통, 구유
a dog in the manger를 직역하면 '여물통의 개'가 됩니다. 그런데 이 표현의 실질적인 의미는 '못먹는 감 찔러나 보자'는 식으로 짖궂게 구는 심술장이를 뜻하는 말이지요. a dog in the manger의 표현의 유래는 이솝 우화에서 찾아볼 수 있지요. 어떤 소가 여물통의 건초를 먹으려고 하니까 이를 지켜본 개가 자신은 먹을 수도 없는 것을 소는 맛있게 먹을 수 있다는 것이 샘이 났지요. 그래서 자신은 먹지도 못하는 건초가 담긴 여물통에 들어가 앉아서는 배가 고픈 소나 말이 와도 자리를 뜨지 않는 것 이었습니다. 이렇게 자신은 먹지도 않는 여물통에
들어가서 야단법석을 떠는 개의 모습이 심술장이의 모습을 대표하게 된 것이지요. 우리 주변에는 여물통을 차지하는 심술쟁이의 개의 모습 만큼이나 심술을 부리는 사람들이 여전히 많아서인지 이 비유는 영어 시험 문제에 자주 등장합니다.
manger는 '여물통' 이라는 말이지요. a dog in the manger를 직역하면 '여물통 속에 있는 개' 라는 말이 되지요. 이 의미는 '심술장이' 라는 말입니다.
이 표현의 유래는 이솝 우화에서 찾아 볼 수 있지요.
개와 소를 가지고 있는 한 농부가 있었습니다. 개로 하여금 여물로 가득찬 푹신한 여물통에서 잠을 잘 수 있도록 허락을 했지요. 그런데 하루는 배가 고픈 소가 여물을 먹으려고 여물통으로 다가가자 갑자기 개가 사납게 짖어 대면서 소를 쫓아 내버렸습니다. 이런 개의 행동에 화가 난 소는 "너는 여물을 먹을수 없으면서 먹을 수 있는 자에게 양보를 하지 않는구나." 하면서 분개했다고 합니다. 이런 우화를 배경으로 해서 a dog in the manger (여물통 속에 있는 개)가 자기에게 이익도 없으면서 다른 사람에게 피해를 입히는 심술장이라는 뜻을 갖게 된 것 입니다.
21세기 영어교육연구회 / ㈜ 파우스트 칼리지
전 화 : (02)386-4802 / (02)384-3348
이메일 : faustcollege@naver.com / ceta211@naver.com
Blog : http://blog.naver.com/ceta211 21세기 영어교육연구회
Cafe : http://cafe.daum.net/21ceta 21세기 영어교육연구회
Web-site : www.faustcollege.com (주)파우스트 칼리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