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장화홍련전
[줄거리]
한글본의 경개는 다음과 같다.
세종조에 평안도 철산에 배무룡이라는 좌수가 있었는데, 그의 부인이 선녀로부터 꽃송이를 받는 태몽을 꾸고 장화를 낳고, 이태 후 홍련을 낳았다. 홍련이 다섯 살 때에 부인이 죽어, 좌수는 후사를 얻기 위하여 허씨에게 재취하였다. 허씨는 용모가 추하고 심성이 사나웠으나 곧 삼형제를 낳았다. 허씨는 소생이 생긴 뒤 전실의 딸들을 학대하기 시작하였다.
장화가 정혼을 하게 되자, 혼수를 많이 장만하라는 좌수의 말에 재물이 축날 것이 아까워 장화를 죽이기로 흉계를 꾸며, 큰 쥐를 취하여 장화의 이불 속에 넣었다가 꺼내어 좌수에게 보이고 장화가 부정을 저질러 낙태하였다고 속여, 아들 장쇠를 시켜 못에 빠뜨려 죽였다. 그 순간 범이 나와 장쇠의 두 귀와 한 팔, 한 다리를 잘라가 장쇠는 병신이 되었다. 이에 계모는 홍련을 더욱 학대하고 죽이려 하였다. 홍련은 장쇠에게서 장화가 죽은 것을 알았고, 또 꿈에 장화가 현몽하여 원사한 사실을 알고, 장화가 죽은 못을 찾아가 물에 뛰어들어 죽었다.
그로부터 그 못에는 주야로 곡성이 났으며, 원사한 두 자매가 원정을 호소하려고 부사에게 가면 부사는 놀라서 죽었다. 이런 변고로 부사로 올 사람이 없었는데, 마침 정동우라는 사람이 자원하여 부사로 부임하였다. 도임 초야에 장화 . 홍련이 나타나 원사한 시말과 설원해주기를 간청하였다. 이튿날 부사는 좌수 부부를 문초한바, 장화는 낙태하여 투신자살하였고, 홍련은 행실이 부정하더니 야음을 틈타 가출하고 종무소식이며, 장화의 낙태물이라고 증거물을 제시하는 것을 본바 낙태물인 것 같아서, 좌수 부부를 훈방하였다. 그날 밤 꿈에 두 소저가 나타나 계모가 제시한 낙태물의 배를 갈라 보면 알 것이라 하고 사라졌다.
이튿날 부사는 다시 그 낙태물을 살피고 배를 갈라 본즉 쥐똥이 나왔다. 이에 부사는 계모를 능지처참하고 장쇠는 교수형에 처하였으며, 좌수는 훈방하였다. 그리고 못에 가서 자매의 시신을 건져 안장하고 비를 세워 혼령을 위로하였더니, 그날 밤 꿈에 두 자매가 다시 나타나 설원해준 일을 사례하며, 앞으로 승직할 것이라 하였다. 그 뒤 그 말대로 부사는 승직하여 통제사에 이르렀다. 한편, 배좌수는 윤씨를 삼취로 맞았는데, 꿈에 두 딸이 나타나 상제가 전세에 못다한 부녀의 연분을 다시 이으라고 하였다는 말을 전하고, 윤씨부인은 꿈에 상제로부터 꽃 두송이를 받은 태몽을 꾸고 쌍동녀를 낳아 꿈을 생각해서 장화와 홍련이라 이름하였다 두 자매가 장성하여 평양의 부호 이연호의 쌍둥이와 혼인하여, 유자생녀하고 복록을 누리며 잘살았다.
[핵심정리]
작가 : 미상
형식 : 가정 소설
주제 : 권선징악, 계모의 전처 소생 학대의 비리와 그에 따른 결과를 보여주어 후세인에 대한 권계를 시도.
시점 : 전지적 작가 시점
의의 : 계모형 가정 소설의 표본
[근원 설화]
1. 계모설화 - 콩쥐팥쥐
1) 배좌수의 처 장씨가 두 딸을 낳고 갑자기 세상을 떠남.
2) 못생긴 허씨가 후처로 들어와 아들 셋을 낳는다.
3) 배좌수가 두 딸을 끔직히 사랑하자 허씨는 딸을 모해(謀害)함.
4) 껍질을 벗긴 쥐를 잠든 딸의 이불 속에 밀어 넣고는 딸이 부정을 저질렀으니 가문을 위해 없애 버려야 한다고 배좌수를 설득한 허씨는 아들을 시켜 장화를 죽임. 홍련도 못에 빠져 자결함.
2. 신원(伸寃) 설화 - 아랑의 설화
5) 장화 홍련의 혼백이 밤마다 나타나 철산 부사가 죽음
6) 정동우가 철산 부사를 자원하여 원귀의 이야기를 듣고 사건을 해결함.
(장화가 낳았다는 핏덩이를 가져오게 하여 배를 가르게 하는 판결)
3. 환생(還生) 설화
7) 환생을 통해 낙원으로 회귀하는 장화 홍련
8) 배좌수의 제3처 윤씨의 쌍둥이로 태어나 성장, 결혼, 행복하게 삶
[등장 인물의 성격]
대부분의 고전 소설에 등장하는 계모는 남성적 취향에 따라 각색된 미인형이다. 그런데 이 작품의 계모 허씨는 못생기고 추한 몰골의 여인으로 묘사되어 있다. 이것은 외부의 신체적 특징을 통해 그 천성이 흉악함을 미리 제시하려는 작가적 의도였을 것이다. 이에 반하여 장화, 홍련은 허씨의 극악무도한 행동에 대하여 불만이나 반감을 갖지 않았다. 허씨에게는 착한 면이 전혀 없고, 장화, 홍련에게는 나쁜 면이 전혀 없다.
[이해와 감상]
필작자 . 연대 미상의 고전소설이다. 효종연간에 전동흘이 평안도 철산부사로 가서, 배좌수의 딸 장화와 홍련이 계모의 흉계로 원통하게 죽은 사건을 처리한 실력담을 소재로 하여 쓴 한문본을 대본으로 하여 썼다. 국한문본 . 한글본으로 이루어진 유파문학으로서 공안류소설인 동시에 가정형 계모소설의 대표적인 작품이다. 한문본 및 국한문본의 경개는 좌수가 자매의 혼을 위로하는데 까지이다. 한문본은 전동흘의 철산부사 재임시에 겪은 실력담을, 그의 6대손 만택의 간청에 의하여 박인수가 1818년 섣달 초하룻날에 쓴 것이다. 이 한문본은 전동흘의 8대손 기락 등이 1865년에 편찬한 《가재사실록》과 《가재공실록》에 실려 있고, 국한문본은 《광국장군전동흘실기》에 실려 전한다. 한글필사본은 신암본과 의산본이 있으며, 한글목판본은 자암본 . 송동본 . 불란서동양어학교본 등과 신활자본으로 세창본 . 영창본을 비롯하여 동계본이 있다.
이 소설의 작자를 알 수 있는 이본은 한문본밖에 없다. 그리고 창작연대를 추정하는 데도 실담선행설과 한글본선행설이 있다. 전자는 전동흘이라는 실제 인물의 실제 이야기를 기초로 하여 한문본이 숙종 24년 또는 영조 34년에 창작되었고, 이 한문본에 근거하여 한글본이 순조, 철종 이후에 번역 또는 창작되었을 것이다. 그에 비해 후자는 가재사실록의 기록을 볼 때 순조 18년에 지어졌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장화홍련전의 소설 구조를 살펴보면 장화와 홍련이 물에 뛰어드는 것을 분기점으로 하여 전반부와 후반부로 나뉘어진다. 그리고 전자는 '계모학대형 소설'의 구조를, 후자는 '공안류 소설'의 구조를 지니고 있다. 또한 이 작품은 태몽 설화, 적강화소, 청조의 길안내 전설, 원혼의 공청출현설화, 재생환생 설화 등 여러 가지 설화를 포용하고 있다. 이로 보아 이 소설은 어떤 하나의 실담이 소설화하였다고 보기보다는 어떤 이야기가 상당한 시간을 지나면서 많은 다른 이야기와 화소들을 첨가시켜 다듬어지게 된 것으로 보인다. 즉, 작자에 의한 하나의 창작이라기보다 어떤 이야기의 골격을 중심으로 발전을 거듭한 적층문화적 성격을 지녔다고 봄이 타당하다.
이 소설에서도 고대소설의 원을 푸는 해법의 방법 속에 한계성을 발견하게 된다. '눈물의 삶, 순종, 인고의 삶'에 입각한다면 당연히 자신의 누명을 사랑을 통해 벗겨야 한다. 그러나 이 소설의 후반부 클라이막스에서는 철저한 복수의 양상을 보여준다. 물론 권선징악적 결론을 위한 장치랄 수도 있지만 고대소설이 극복하지 못한 부정적 모습의 표본이라고도 볼 수 있다. 장화홍련전의 뛰어난 점은 인물의 전형성과 인물간의 대립, 갈등 양상이 치밀하다는 점이다. 장화홍련전에 등장하는 인물은 모두가 약간씩 기형적인 성격을 소유하고 있다. 구태의연한 방법인 선인 악인의 대립을 심화시킴에 의해 흥미를 유발시키려 하지만 선인 자체도 약간의 문제성이 있다. 장화홍련은 극심한 어머니 콤플렉스의 소유자, 계모는 열등컴플렉스에 빠져 전처 소생에 대한 학대를 일삼고 자식인 장쇠까지 불행에 빠뜨린다. 배좌수는 우유부단하고 용렬한 인물이라서 갈등을 풀지 못하고 가정을 파탄으로 몰고 간다. 이와같이 장화홍련전에는 개별 인물의 왜곡된 성격 때문에 인물간에 극도의 대립을 보인다. 이 문제를 풀 사람은 배좌수밖에 없지만 그의 성격 또한 우유부단하기 때문에 중간적 존재로서의 역할을 못하고 파란으로 몰고갈 뿐이다.
장화홍련전 해설 문제.hw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