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자론 - 신동준
도덕경 버젼 비교를 통한 노자 주해서
정치학 접근의 노자 주해서
들어가는 글 제1부 인물론 제1편 생장론(生長論) 제2편 사상론(思想論) 제1장 노자사상의 특징 제2장 노자사상의 구성 제1절 도덕주의(道德主義) 제2절 제도주의(帝道主義) 제3절 덕치주의(德治主義) 제3장 노자사상의 전개 제2부 노자론 제1편 편제론(編制論) 제2편 주석론(註釋論) 1. 상편 도경(道經) 1장 체도(體道: 도를 체득함) 2장 양신(養身: 몸을 기름) 3장 안민(安民: 백성을 편히 함) 4장 무원(無源: 근원이 없음) 5장 허용(虛用: 빔의 운용) 6장 성상(成象: 형상을 이룸) 7장 도광(韜光: 빛을 감춤) 8장 이성(易性: 쉬운 본성) 9장 운이(運夷: 고르게 함) 10장 능위(能爲: 능히 함) 11장 무용(無用: 무의 이용) 12장 검욕(檢欲: 정욕을 검속함) 13장 염치(猒恥: 수치를 막음) 14장 찬현(贊玄: 현묘함을 기림) 15장 현덕(顯德: 덕을 드러냄) 16장 귀근(歸根: 뿌리로 돌아감) 17장 순풍(淳風: 순박한 풍속) 18장 속박(俗薄: 풍속이 각박해짐) 19장 환순(還淳: 순박으로 돌아감) 20장 이속(異俗: 세속과 다름) 21장 허심(虛心: 마음을 비움) 22장 익겸(益謙: 겸손을 더함) 23장 허무(虛無: 무로 비움) 24장 고은(苦恩: 은덕을 어렵게 함) 25장 상원(象元: 본원을 본받음) 26장 중덕(重德: 덕을 무겁게 함) 27장 교용(巧用: 교묘한 활용) 28장 반박(反樸: 질박으로 돌아감) 29장 무위(無爲: 작위를 하지 않음) 30장 검무(儉武: 무력을 간소화함) 31장 언무(偃武: 무력을 그침) 32장 성덕(聖德: 성인의 덕) 33장 변덕(辯德: 덕을 분별함) 34장 임성(任成: 성취에 맡김) 35장 인덕(仁德: 어진 덕) 36장 미명(微明: 은미한 밝음) 37장 위정(爲政: 정사를 행함) 2. 하편 덕경(德經) 38장 논덕(論德: 덕을 논함) 39장 법본(法本: 근본을 본받음) 40장 거용(去用: 쓰임을 버림) 41장 동이(同異: 같고 다름) 42장 도화(道化: 도에 교화됨) 43장 편용(徧用: 두루 사용함) 44장 입계(立戒: 경계를 세움) 45장 홍덕(洪德: 커다란 덕) 46장 검욕(儉欲: 검소한 욕망) 47장 감원(鑒遠: 멀리 내다 봄) 48...장 망지(忘知: 앎을 잃음) 49장 임덕(任德: 덕에 맡김) 50장 귀생(貴生: 생을 귀하게 여김) 51장 양덕(養德: 덕을 기름) 52장 귀원(歸元: 본원으로 돌아감) 53장 익증(益證: 증거를 더함) 54장 수관(修觀: 도의 공능을 봄) 55장 현부(玄符: 현묘한 길조) 56장 현덕(玄德: 현묘한 덕) 57장 자연(自然: 스스로 그러함) 58장 순화(順化: 순순히 교화됨) 59장 수도(守道: 도를 지킴) 60장 거위(居位: 자리에 머묾) 61장 겸덕(謙德: 겸양의 덕) 62장 위도(爲道: 도를 행함) 63장 은시(恩始: 은혜가 시작됨) 64장 수미(守微: 미세함을 지킴) 65장 순덕(淳德: 순박한 덕) 66장 후기(後己: 자신을 뒤로 함) 67장 삼보(三寶: 세 가지 보물) 68장 배천(配天: 하늘에 짝함) 69장 현용(玄用: 현묘한 용병) 70장 지난(知難: 지인의 어려움) 71장 지병(知病: 알지 못함을 앎) 72장 애기(愛己: 자신을 아낌) 73장 임위(任爲: 하늘에 맡김) 74장 제혹(制惑: 미혹을 제어함) 75장 탐손(貪損: 탐욕을 덜어냄) 76장 계강(戒强: 강함을 경계함) 77장 천도(天道: 하늘의 도) 78장 임신(任信: 믿고 맡김) 79장 임계(任契: 계약에 맡김) 80장 독립(獨立: 홀로 섬) 81장 현질(顯質: 질박을 드러냄) 저자후기 춘추시대연표 참고문헌
출판사서평
노자와 공자가 활약한 춘추시대는 동양정치사상사에서 가장 중요한 시기로 꼽히는 시기이다. 이 시기는 주나라가 동쪽 낙양으로 천도함으로써 소위 동주(東周)가 시작된 기원전 770년을 시작으로 전국7웅이 등장하는 기원전 403년까지의 약 3백60여 년에 걸친 기간을 말한다. 춘추시대 초기만 하더라도 주왕실은 비록 쇠미하기는 했으나 그래도 권위를 유지할 수 있었다. 대략 170여 개에 달하는 제후국이 주왕실을 있었고 이들을 이끄는 패자(覇者)들이 차례로 나타나 주나라 왕실을 중심으로 한 천하의 질서를 유지해 나갔다. 예나 지금이나 가장 이상적인 통치는 노자의 ‘제도’에 입각한 진정한 의미의 ‘덕치’임은 말할 나위가 없다. 그러나 어느 시대 어느 나라에서도 이런 이상적인 통치가 실현된 적은 없었다. 통치는 본질적으로 힘을 전제로 존재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통치가 비록 힘을 토대로 한 것이기는 하나 결코 이상을 포기할 수는 없다. 유가와 법가에 전개된 치도논쟁은 기본적으로 ‘치천하’의 논쟁이 아닌 ‘치국’의 논쟁이었다. 양가 모두 ‘치천하’를 내세웠음에도 불구하고 사실은 ‘치국’수준에 머물렀다. 이는 노자가 말한 ‘제도’와 ‘덕치’의 의미를 제대로 파악치 못한 결과로 볼 수 있다. 21세기는 분열과 대립의 역사를 마감하고 화해와 공존공영의 나아가야만 한다. 이러한 당위론의 관점에서 볼 때 노자의 통치사상은 오늘날 더욱 부각될 수밖에 없다. 치자와 피치자의 2분법적 구분을 거부하며 우주만물의 운행이치와 인간세상의 통치를 ‘무위지치’로 회통시킨 노자의 통치사상은 이에 대한 적절한 해답을 제시해 줄 것이다. 노자의 통치사상에 대한 집중적인 탐사가 절실히 요구되는 시점이 아닐 수 없다.
출처 : 인터넷 교보문고신동준 학오學吾 신동준申東埈은 고전을 통해 세상을 보는 눈과 사람의 길을 찾는 고전 연구가이자 역사문화 평론가다. 고전에 대한 해박한 지식과 탁월한 안목을 바탕으로 이를 현대화하는 작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그의 저서는 독자들에게 고전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심어주고 있다. 저자는 일찍이 경기고 재학시절 태동고전연구소에서 한학의 대가인 청명 임창순 선생 밑에서 사서삼경과《춘추좌전》《조선왕조실록》등의 고전을 배웠다. 서울대 정치학과와 동 대학원을 졸업한 뒤 와 등에서 10여 년 간 정치부기자로 활약했다. 1994년에 다시 모교 박사과정에 들어가 동양정치사상을 전공했고, 이후 일본의 동경대 동양문화연구소 객원연구원을 거쳐〈춘추전국시대 정치사상 비교연구〉로 모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21세기정경연구소 소장으로 있는 그는 격동하는 21세기 동북아시대를 슬기롭게 헤쳐 나가기 위해 동양고전의 지혜를 담은 한국의 비전을 꾸준히 제시하고 있으며, 서울대?고려대?외국어대 등에서 학생들에게 동아3국의 역사문화와 정치경제 사상 등을 가르치고 있다. 동양3국의 역대 사건과 인물에 관한 바른 해석을 대중화하기 위해 《월간조선》《주간동아》《주간경향》《이코노믹리뷰》 등 다양한 매체에 꾸준히 칼럼을 연재하고 있다. 2012년부터는《조선일보》주말 판 경제섹션 의 인기칼럼 ‘동양학산책’을 연재하면서, 채널A와 TV조선 및 연합뉴스Y의 시사교양 프로그램에 패널로 출연하고 있다. 저자는 지금까지《난세의 인문학》《리더라면 한비자처럼, 참모라면 마키아벨리처럼》《열국지사상열전》《정관정요, 부족함을 안다는 것》《삼국지 다음 이야기》《후흑학》《사마천의 부자경제학》《조조통치론》《인물로 읽는 중국 근대사》《팍스 시니카》《조선국왕 vs 중국황제》 《조선의 왕과 신하, 부국강병을 논하다》등 70여권에 달하는 저서를 펴냈다. 역서 및 편저로는《자치통감 삼국지》(전 2권), 《춘추좌전》(전3 권),《무경십서》(전4권),《마키아벨리 군주론》등 20여권이 있다. 학오學吾 신동준申東埈 중국학 도서 『인물로 읽는 중국 근대사』 신동준 지음, 35,000원『춘추좌전』(상) 좌구명 지음, 신동준 옮김, 각 40,000원『춘추좌전』(하) 좌구명 지음, 신동준 옮김, 각 40,000원『국어』(전면개정판) 좌구명 지음, 신동준 옮김, 40,000원『제갈량 문집』 제갈량 지음, 장주 엮음, 신동준 옮김, 29,000원『당시삼백수』 손수, 장섭 지음, 신동준 옮김, 45,000원『서경』 신동준 지음, 38,000원『시경』 공자 지음, 모형, 모장 엮음, 신동준 옮김, 45,000원『동서 인문학의 뿌리를 찾아서』 신동준 지음, 25000원『관자경제학』 신동준 지음, 25000원『동양고전 잠언 500선』 범립본, 홍자성, 장조 지음, 신동준 옮김, 15,000원『유몽영』 장조 지음, 신동준 옮김, 23,000원『관자』 관중 지음, 신동준 옮김, 75,000원『고전으로 분석한 춘추전국의 제자백가』 신동준 지음, 75,000원『묵자』 묵자 지음, 신동준 옮김, 49,000원『왜 지금 한비자인가』 신동준 지음, 25,000원『욱리자』 유기 지음, 신동준 옮김, 29,000원『명심보감』 범립본 지음, 신동준 옮김, 19,000원『채근담』 홍자성 지음, 신동준 옮김, 39,000원『상군서』 상앙 지음, 신동준 옮김, 20,000원『귀곡자』 귀곡자 지음, 신동준 옮김, 23,000원『조조의 병법 경영』 신동준 지음, 19,000원『한비자』 신동준 지음, 59,000원『장자』 신동준 지음, 49,000원『인물로 읽는 중국현대사』 신동준 지음, 25,000원『후흑학』 이종오 지음, 신동준 옮김, 25,000원『열자론』 신동준 지음, 30,000원『대학.중용론』 신동준 지음, 35,000원『주역론』 신동준 지음, 45,000원『노자론』 신동준 지음, 30,000원『순자론』 신동준 지음, 45,000원『맹자론』 신동준 지음, 35,000원『공자의 군자학』 신동준 지음, 45,000원『논어론』 신동준 지음, 35,000원『중국문명의 기원』 신동준 지음, 15,000원『조조통치론』 신동준 지음, 35,000원『전국책』 유향 지음, 신동준 옮김, 45,000원『조엽의 오월춘추』 조엽 지음, 신동준 옮김, 15,000원『삼국지 통치학』 신동준 지음, 45,000원『좌구명의 국어』 신동준 지음, 35,000원 [출처] 학오學吾 신동준申東埈 중국학 도서작성자 인간사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