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3월 19일 화요일(甲辰년 丁卯월 壬午일)
乾
□壬丁甲
□午卯辰
乙甲癸壬辛庚己戊
亥戌酉申未午巳辰
오늘은 아침부터 구름이 끼고 바람이 불며 으스스했다. 이런 날은 감기 걸리기 쉽다. 물론 날씨(천간)는 지역이나 시간(지지)에 따라 변하니 다른 지역 날씨는 다를 수 있다. 그리고 내가 있는 이 지역도 낮이 되면서 바람이 더욱 강하게 불고 몇 방울의 비를 뿌렸다. 퇴근 때 보니 차에 먼지만 잔뜩 묻혀 놓았다.
천간과 지지를 아느냐고 물으면 모두 안다고 한다. 말해보라고 하면 甲乙丙丁...이나 子丑寅卯...를 말한다. 질문의 의도는 천간과 지지의 개념을 말해보라는 것이다. 천간은 하늘의 운동을 나타내고, 지지는 땅의 운동을 나타낸다. 하늘과 땅의 운동이 다른가? 그렇다. 왜? 지축의 기울기 때문이다. 하늘은 오행 운동을 하는데 지구는 사계절 운동을 한다. 그러나 명리를 공부하는 사람 대부분은 지구에도 오행을 적용하려고 애쓴다. 시작부터 엇박자가 나는 것이다. 우주선을 쏘아 올릴 때 각도가 0.1도라도 틀리면 후에 어떻게 될까? 각도 0.1도는 아주 작은 것이니 무시해도 되는 것일까?
‘나비효과(butterfly effect)’란 말이 있다. 브라질에서 생긴 나비의 날갯짓이 미국 텍사스에서 토네이도를 일으킨다는 비유이다. 정치권이나 연예인들 보면 사소한 실수 하나가 태풍과 같은 결과를 가져오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기본의 중요성을 수백 번 수천 번 반복하고 있는데 잘 먹혀들지 않는다. 한국인의 빨리빨리 문화 때문이다.
하늘의 오행은 음양으로 나뉘어 열 개의 천간이 되고, 땅의 사계절은 3단계로 나뉘어 열두 개의 지지가 된다. 오행 하면 무조건 천간을 생각해야 한다. 오행의 상생상극에서 나오는 것이 십신이다. 그래서 십신은 천간끼리 관계이다. 십신을 천간과 지지로 이으면 안 된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음양, 오행, 사계절, 천간, 지지, 십신은 명리학의 출발점이다. 여기에서 잘못되면 후에 어떤 결과가 나올까? 10년을 공부해도 답이 없는 명리학이 바로 나비효과의 결과이다. 명리학을 공부하고 있다면 현재 나의 명리학 공부를 점검해 볼 시기이다. 무조건 앞으로만 나아갈 일이 아니다.
乾
□壬丁甲
□午卯辰
乙甲癸壬辛庚己戊
亥戌酉申未午巳辰
연간 甲木이 월지 卯에서 제왕이니 식신격이다. 월지 卯가 장성살이니 연지 辰은 망신살이고 일지 午는 연살(도화살)이다. 子午卯酉를 대충 도화살이라고 하고 寅申巳亥를 역마살이라고 하는 사람들이 있는데 장난하는 것도 아니고 웃기는 것도 아니다. 그렇게 설명하는 사람은 피해야 한다. 재미로 하는 농담이면 몰라도 명리를 공부하는 사람은 그래서는 안 된다. 모든 지지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장성살도 되고 지살도 되고 화개살도 된다. 몇 초만 생각하면 알 수 있는 사실 아닌가? 학문하는 사람은 그대로 믿지 말고 생각하고 판단해야 한다.
****
적천수 자평진전 난강망 등 명리학 3대 보서(寶書)라는 책을 새로운 명리학 이론에 근거해서 재해석 해 본다.
****
又有印而兼透官煞者 或合煞 或有制 皆為貴格。
또 인수격에 관살이 투출한 경우가 있다. 합살(合殺)하거나 관살을 제(制)하면 모두 귀격이다.
해설) 천간과 지지 속성을 구분하지 않고 십신으로만 팔자를 분석하는 것은 옳지 않다. 같은 십신이라도 천간에 따라 모두 다른 현상으로 나타나기 때문이다. 같은 직장에 다니는 사람이라도 성향은 모두 다르다. 인수격에 관살혼잡이 되어 있다면 합(合)을 하던지 제(制)해야 귀하다고 한다. 운의 흐름에 따라 정관을 쓸 때가 있고 편관을 쓸 때가 있는 것을 모르기 때문에 이런 말을 한다. 장롱 속에 여름옷과 겨울옷이 있을 때 계절에 맞춰 맞는 옷을 입으면 탈이 없다. 여름에 겨울옷을 입고 겨울에 여름옷을 입고 탈이 생기면 팔자 혼잡 때문이라고 둘러댄다.
如辛亥 庚子 甲辰 乙亥 此合煞留官也。
합살류관(合殺留官)의 사주이다.
해설)
乙甲庚辛
亥辰子亥
연간과 월간에 정관과 편관이 있다. 시간에 있는 겁재 乙木이 일간을 점프해서 월간 庚金과 乙庚합하여 연간 정관만 남으니 귀한 사주라고 한다. 웃기는 설명이다.
壬子 癸卯 丙子 己亥 此官煞有制也。
이 명조는 관살을 제하고 있다.
해설)
己丙癸壬
亥子卯子
연간과 월간에 편관과 정관이 있다. 이때 시간의 己土가 일간을 점프해서 연간이나 월간 중 하나를 토극수 하니 귀해졌다고 한다. 역시 웃기는 설명이다. 壬水인지 癸水인지 모르니 대충 관살을 제(制)한다고 얼버무린다. 巳午未에서 癸水를 쓰고 亥子丑에서 壬水를 쓰면 록왕쇠로 활발하게 사용할 수 있다.
至於化印為劫 棄之以就財官
인수가 변하여 겁재가 되면 인수를 버리고 재관을 취한다.
해설) 역시 이상한 설명이다. 팔자의 글자는 변하지 않는다. 태어날 때 주어진 그대로 죽을 때까지 변하지 않는다.
如趙知府命:丙午 庚寅 丙午 癸已
예를 들면 조지부(趙知府)의 명조는 다음과 같다.
해설)
癸丙庚丙
巳午寅午
월지를 인수라고 예를 든 사주이다. 자평진전은 정인과 편인을 구분하지 않고 인수라고 하고 정재와 편재를 구분하지 않고 재성이라고 한다. 웃기는 것은 월지 인수가 寅午 반합이 되어 겁재로 변했다는 것이다. 겁재가 재극인을 하니 인수를 버리고 재관을 취한다고 설명하고 있다. 역시 돌리고 돌려 짜 맞추는 설명이다. 십신은 천간끼리 정한다는 사실도 모르는 설명이다. 연간에 비견이 있고 월간에 편재가 있고 시간에 정관이 있다. 운이 巳午未로 갈 때 癸水 정관이 록왕쇠가 되니 정관을 잘 쓰는 사주라고 하면 간단히 정리될 사주이다.
則變之又變者矣。
변하고 또 변하니 변화가 무궁한 사주라고 하겠다.
해설) 원칙이 없이 이랬다저랬다 하면서 모르면 변화가 무궁해서 말로 다 설명할 수 없다고 한다. 저울의 눈금이 정확하다면 어떤 물건이라도 무게를 잴 수 있다.
更有印透七煞 而劫財以存煞印 亦有貴格
인수격에 칠살이 투출한 경우, 겁재가 칠살을 합하고 인수가 남는다면 역시 귀격이다.
해설) 인수격에 흉신 칠살이 있으면 파격인데 겁재가 칠살을 합거하니 재성만 남아 귀격이라는 설명이다. 다음과 같은 사주 예를 들고 있다.
如庚戌 戊子 甲戌 乙亥是也。
해설)
乙甲戊庚
亥戌子戌
子월 甲木이 인수격이라고 하는 자체가 잘못되었다. 처음부터 웃긴다. 웃음을 참고 읽어보면 연간 칠살을 점프하여 시간 겁재가 乙庚 합거하니 편재만 남아 귀격이라는 말도 되지 않는 소리이다. 연간 庚金은 칠살이고, 월간 戊土는 편재이다. 그리고 시간 乙木은 겁재이다. 십신은 천간끼리 정하고 천간과 지지로 정하지 않는다. 지지는 천간의 글자를 통제하는 역할을 한다.
然此格畢竟難看 宜細詳之。
이런 사주는 분별하기 어려우니 자세히 연구해야 한다.
해설) 이렇게 어지럽게 설명해 놓고 설명하기 어려운 사주이니 잘 연구해야 한다고 말한다. 눈금이 정확한 저울이 있다면 어떤 물건이든지 무게를 잴 수 있다. 공부를 잘하는 학생은 기준(눈금)을 정밀하게 다듬는 일을 게을리하지 않는다. 어떤 문제가 나오든지 그 기준을 대면 해결되기 때문이다.
첫댓글 감사합니다!
* 천간 : 하늘의 운동 & 오행운동 & 10개의 천간
* 지지 : 땅의 운동 & 사계절 운동 (지축의 기울기) & 12개의 지지
* 십신 : 천간끼리 ~ * 12운성 : 천간 & 지지 ~ *12신살 : 지지끼리 ~~*
* 명리학의 출발점 : 음양 & 오행 & 사계절 & 천간 지지 & 십신 ~~*
* 늘 소중한 글 ~~ 감사합니다 ~~*
블랙드래곤 선생님은 글을 꼬방꼬방 잘 읽고 키 포인트 잘 찝어서 꼭 우리가 알아야 할 어록을 만들어 주네요
아조 성실한 수제자 입니다요 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