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주/청양 솔치고개 앵봉단맥분기점 묵방단맥분기점 왕복-마치고개-만세봉1-만세봉2
[솔치고개-267.3봉-326.5봉-312.5봉-앵봉단맥분기점-373.1봉-묵방단맥분기점 왕복-앵봉단맥분기점-299.2봉-임도-333.5봉-281.8봉-마치고개-금두실고개-만세봉1-만세봉2-물안이고개]
○ 산행일시 : 2024. 1. 26(금), 날씨 : 흐림
○ 인원 : 나 홀로
○ 산행거리 및 소요시간 : 약 14.62Km(GPS), 6시간 13분(중식 및 휴식시간 35분포함)
○ 산행지도
○ 금북칠갑묵방/앵봉단맥
금북정맥에서 금북칠갑지맥이 분기하여 남하하면서 오른 청양군 대치면,정산면, 공주시 신풍면의 삼면봉인 馬峙(370)에서 칠갑지맥은 서남진으로 가고 남쪽으로 한줄기를 분기하여 등고선상310m(1.2) 부근에서 남쪽으로 萬歲봉(△236.2) 鶯峰산(310, 단맥)을 떨구고 동진하여 39번국도 솔치고개(터널, 170, 3/4.2)로 내려선다. △224.1봉-明德봉(330, 0.7/4.9)에서 남동쪽으로 계봉(△279.3, 단맥)을 떨구고 북진하여 96번국지도 굴티고개(210, 1.9/6.8)로 내려선다.九節산(△355.1)어깨(330)-보신이고개(210, 2.2/9)-△273.4봉-팔봉산(410, 1.5/10.5)-墨方산(△370.2, 3.5/14)-등고선상310봉(0.8/14.8)에서 두줄기로 갈라지는데, 남쪽으로 司馬산(△308.2, 여맥)으로 가는 산줄기와 동쪽으로 가는 산줄기가 있는데 산줄기의 세를 따라가는 것은 좀 더 확실하고 높은 사마산으로 가는 것이 맞지만 그 산줄기는 약15km의 봉현천이 금강을 만나는 곳으로 가는 산줄기이고 비록 조금 낮은 산줄기이지만 동쪽으로 가는 산줄기는 지방1급 하천인 장장43km를 달리는 유구천이 금강을 만나는 곳으로 가니 유구한 물줄기의 흐름에 따른다면 후자가 산줄기의 흐름상 맞는 것이다. 나는 유구천의 물줄기 흐름을 중히 여기어 후자를 이 산줄기의 흐름으로 잡고 36번국도 먹뱅이고개(50, 1.7/16.5)-△97.9봉(1.7/18.2)-공주서천간고속도로 서공주IC-돌고지 도로(50, 1.7/19.9)-옥성리 도로(30, 2.2/22.1)를 지나 공주시 우성면 옥성리 유구천이 금강을 만나는 곳(10, 0.3/22.4)에서 끝나는 약22.4km의 산줄기를 말한다.
그러므로 옛날에 종주한 금북무성지맥과 금북칠갑지맥의 일부 금북정맥의 일부 그리고 지금 답사한 금북칠갑묵방단맥의 산줄기를 이으면 약93km의 산줄기가 만들어지고 그 산줄기가 바로 유구천환종주 코스가 되는 것이다[출처: 우리산줄기이야기]
○ 산행코스
06:45 서울고속터미널에서 공주종합버스터미널, 08:40시외버스로 정산정류소하차, 09:10버스가 도착하기전, 출발하여 택시로 송학리 솔티터널입구로 이동,
-09:22 터널입구(유구방향), 우측 임도따라 오름.
※열흘전(1.16), 묵방산-팔봉산-구절산-명덕봉을 역으로 진행한후 솔티재에서 탈출하여 남은구간 분기봉/ 이어서 앵봉단맥을 이어가기 위해 다시찾음.
-09:28 솔티고개, 배낭정리 및 장비 갖추고 좌측 절개지로 치고오름.
-09:40 약230m봉, 밤나무단지길 따라 우측으로 진행하며 좌측으로 송학리일대 조망.
-09:43 신창표공 가족묘 뒤로 진행후 좌회 조금지나 우측 잡목능선으로 오름.
-09:48 다시 밤나무단지 가장자리로 오르며
-09:51 좌측으로 약 20여m 벗어난 267.3m봉 답사후 되돌아,
-09:54 우측으로 청흥리/삼청동일대 조망하며 올라선 봉, 좌측으로 꺽어감.
-09:59 멧돼지목욕탕 지나 내려선 안부, 성황당 흔적 돌무더기, 우측아래 대형축사.
-10:04 우측은 벌목지, 가장자리로 오르며 우측으로 금북정맥 국사봉, 칠갑지맥으로 이어지는 산군 조망.
-10:15 약326m봉, 우측으로 꺽어 진행후 326.5m봉, 좌측으로 진행.
-10:18 송전탑 No2, 좌측으로
-10:24 312.5m봉, 우측으로 꺽어 내려감, 길주의
-10:39 약 285봉을 지나 안부, 다시 약275봉을 넘으며 좌측으로 내려서 된비알 오름.
-10:49 앵봉단맥분기점, 아무표시 없고 우측으로 내려감.
-11:00 살짝 내려서 다시 된비알 올라선 봉 좌회, 내려섰다 373.1m봉, 되돌아 우측으로 내려서며 우측으로 특용작물재배 비닐망 울타리 따라감.
-11:12 둔덕에서 좌측으로 지독한 잡목지대 뚫고 내려선 안부.
-11:17 다시 넓은길 잠시 올라, 우측 잡목지대 능선으로 진행후 칠갑지맥길 합류, 좌회
-11:20 명덕단맥분기봉 385.4m, 준희/반바지님 코팅지, 되돌아 지나온길 잡목숲 다시 헤치고 가려니 짜증,
-11:47 앵봉단맥분기봉 복귀, 산꾼님시그널 우측으로 진행.
-11:51 약330m봉 좌측 묵묘로 내려서 편안한 능선길 진행.
-12:01 좌측으로 벗어난 299.2m봉 답사후 되돌아, 우측 잡목길로
-12:07 조금지나 안부, 서낭당흔적 돌무더기, 올라서며 예전에 산불난곳 지독한 잡목을 헤치고 잠시 진행하다 좌측으로 꺽어 내려감, 길주의
-12:15 작은바위 봉, 잠시 간식후,
-12:28 약260봉을 3개 오르내리며 송전탑 국가지점번호 다바 4804 2748, 좌회
-12:34 안부, 서낭당흔적 돌무더기
-12:39 세석깔린 임도, 대박리 범골에서 원마치로 넘는길, 건너 산으로 오름길 발 밑으로 36번도로 칠갑산터널이 지남.
-12:50 333.5m봉.
-13:02 둔덕봉 작은바위들 지나 잡목지대, 이곳도 예전에 산불난곳, 우측 숲사이로 칠갑산과 지맥능선 조망.
-13:08 둔덕갈림길, 우측으로 내려감, 좌측길 주의
-13:20 안부, 서낭당흔적 돌무더기
-13:25 281.8m봉, 좌측으로 벌목지, 정산면일대 조망하며 중식 및 반주하며 휴식 35분.
-14:06 216.8m봉, 내려서며 골파인 안부.
-14:13 올라선 둔덕에서 좌측 창원황공 부부묘지로 내려서 다시 둔덕에서 좌측 묘지로 내려 망부석 묘지군으로 내려감.
-14:24 36번국도, 마치고개, 좌측 천장삼거리 교통표지와 우측에 천장휴게소. 좌측 횡단보도표지와 →알프스마을 2Km 우측 수렛길로 오름.
-14:34 좌측 밤나무단지 울타리따라 올라선 둔덕, 우측으로 진행하며 뒤돌아 내려온길, 우측에 천장휴게소, 멀리 칠갑지맥산군, 진행할 만세봉을 조망하며,
-14:38 우측에 172.2m봉, 좌측으로 내려감.
-14:41 금두실고개, 골파인 안부 임도, 건너 오름.
-14:44 송전탑 다바 4914 2405 지나 좌측에 넓은 묘지군길, 직진으로 진행후, 우측으로 길없는 된비알 치고 오름.
-14:53 올라선 좌측은 밤나무단지, 우측으로 진행하며 좌측으로 정산면일대 조망.
-14:57 송전탑 다바 4944 2374
-15:01 만세봉(萬歲峰) 236.2m 삼각점(판독불), 길 우측숲에 있음.
-15:07 약 235봉, 작은바위들, 우측 파묘터로 내려감.
-15:19 넓은묘지, 우측으로 넓은들녘과 칠갑산등 조망
-15:22 임도 우측으로 조경수재배, 좌측 고개로 올라 삼거리 불전함 우측으로 진행.
-15:26 작은 만세봉 175.1m, 작은바위, 그물망울타리 넘어 내려서 묘지 우측으로 그물망울타리따라 내려감, 군데군데 나무로 막아놓음.
-15:32 내려서며 건너편에 애경아파트를 보며 우측으로
-15:35 물안이고개, 39번국도, 좌측 애경아파트앞 버스정류장, 산행종료.
※배낭장비등 정리하고 시간여유있어 아파트 좌측 농로길따라 정산면버스정류소 도착하자마자 900번버스로 공주로 이동, 곧바로 500번버스로 환승, 조치원역 무궁화열차로 귀경.
※이번 산행은 지난번 묵방단맥 남은구간과 앵봉단맥을 이어가기 위해 산행에 나섰는데, 앵봉단맥분기점에서 373.1봉을 지나 묵방단맥 분기점까지는 산불난지역으로 지독한 잡목숲과 앵봉단맥 접속이후에도 산불지역이 있어 진행에 약간의 어려움따랐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