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아주도 어린 것은 나물로 무쳐서 먹는다. 명아주 역시 개비름, 쇠비름들과 같이 잡초라고 대우 받지 못하고 자란다.
그런관계인지 논밭에 있는 것을 뽑아 놓으면 잘 죽지도 않는다.
이런 풀이 우리들의 식생활에 식료품으로 이용될 수 있으니 얼마나 다행스러운 일인가 !
나물로 먹기도 하지만 건강을 지키는데도 많은 도움을 주고 있다. 사람들은 이렇게 말한다. 요즘처럼 모든 것이 발달한
세상에 아픈 곳이 있으면 약방에 가서 약을 사 먹으면 되지 언제 그런 원료풀을 먹겠느냐고 하지만 우리는 치료 목적보
다는 예방차원에서 유용하게 쓰이는 자연적인 재료에 대하여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관심이 없고 실천이 없으면 발전이
없다. 유용한 자연은 보고이기 때문이다.
명아주는 우리 나라의 토종인 명아주를 제외하고는 모두 귀화식물들이다. 그 종류가 매우 많다. 그 많은 종류 중에서
우리들의 주변에서 많이 볼 수 있는 몇 종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명아주, 흰명아주, 좀명아주, 취명아주에 대하여.
1. 명아주
⊙ 명아주과의 한해살이풀로 키는 1-2m 정도 자라며‘는장이’라고도 부른다.

⊙ 우리 나라에 자생한 토종으로 어린 잎은 가운데에 붉은색이 돈다.
⊙ 잎은 어긋나고 세모꼴의 달걀 모양으로 가장자리에 물결 모양 톱니가 있다.
⊙ 꽃은 양성으로 황록색이고 이삭꽃차례로 달리는데 전체적으로 원추꽃차례가 된다.
⊙ 어린순은 나물로 먹고 생즙은 일사병과 독충에 물렸을 때 쓴다.
⊙ 줄기에 녹색줄이 있고 모두 자라면 지팡이를 만드는데 쓴다.
2. 흰명아주
⊙ 명아주과의 한해살이풀로 키는 1m 정도 자라고 흰는쟁이' 라고도 부른다.

⊙ 어린잎은 약간 길쭉하다. 그러나 좀명아주처럼 길지는 않다.
⊙ 귀화식물로 잎 양면에 흰가루가 많고 잎눈과 줄기에도 흰가루가 많다.
⊙ 꽃은 이삭 모양 꽃차례가 발달하여 전체적으로 원추꽃차례로 형성된다.
⊙ 잎은 어긋나고 잎자루가 길며 세모꼴의 달걀 모양이며 가장자리에 물결 모양 깊은 톱니가 있다.
⊙ 가장 밑의 톱니는 열편과 같거나 비슷하고 잎자루가 있다.
⊙ 줄기에 녹색줄이 있으며 지팡이를 만드는데 사용한다.
3. 좀명아주
⊙ 명아주과의 한해살이풀로 30-60cm 정도 자란다.
⊙ 귀화식물로 우리 나라에서 가장 흔하게 보이는 명아주이다.
⊙ 일찍 꽃을 피운다.
⊙ 잎은 어긋나고 삼각꼴 긴 타원형으로 끝이 둔하고 셋으로 갈라진다.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톱니가 있다.
⊙ 잎 모양은 흰명아주보다 훨씬 작고 길쭉하다.
⊙ 줄기가 곧게 자라며 가지를 많이 친다.
4. 취명아주
⊙ 명아주과의 한해살이풀로 15-30cm 정도 자란다.

⊙ 줄기가 비스듬히 자란다. 다육질이고 전체에 털이 없다.
⊙ 귀화식물로 잎가장자리에 깊은 물결 모양 톱니가 있다.
⊙ 잎은 어긋나고 표면은 녹색, 뒷면은 분백색이다. 잎자루는 5-20mm 정도이다.
⊙ 가지가 많고 잎은 약간 육질이다.
⊙ 날개를 펼치듯 줄기가 양쪽으로 뻗어있다.
명아주의 효능



명아주를 개비름이라고도 하며 식물중 자력을 가장 많이 가지고 있다.
생것에는-1000에 가까운 자력이있고, 말린 나물이나
청려장-780의 자력수가 있다. 어린순은 나물로 하고 생즙은 일사병과 독충에
물렸을 때 쓴다. 많이 먹으면 피부병을 일으킨다.
◆ 장염
명아주 온포기 12 ~ 15g을 1회분으로 달여 하루 2 ~ 3회씩 4 ~ 5일 복용한다.
◆ 치조농루
명아주 말린 잎과 다시마를 각각 검게 구워서(타지 않을 정도로 구워 가루낸다)
같은 분량 씩 섞어 잇몸에 바르고 맛사지를 한다. 양치질할 때 사용해도 좋다.
◆ 설사
온포기 12~1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2~3회 복용한다.
◆ 습진
온포기를 삶아서 그 물에 5회 이상 환부를 닦는다.
◆ 옴에
온포기를 달여서 그 물에 4~5회 탕욕한다.
◆ 이질
온포기 12~1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3~4회 복용한다.
◆ 중풍
온포기 12~1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10일 이상 복용한다.
◆ 천식
온포기 12~1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1주일 정도 복용한다.
◆ 충치
온포기 12~1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2~3회 복용한다.
◆ 치통
온포기 12~1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4~5회 복용한다.
◆ 화농증(곪은데)
온포기 20g을 달여 마신다.
◆ 피부병
벌 독충에 쏘였을때, 벤 상처에 씻은 생잎을 짖이겨 즙을 바른다.
◆ 모기, 풀에 쓸려 가려울때
잎을 손으로 비벼 즙을 바른다.
◆ 명아주대를 말려서 모깃불로 쓰면 좋다.
잎만 따서 그늘에 말렸다가 된장국이나 나물로 볶아 먹는다. 어린잎에 붉은
부분이 없는 것을 흰명아주(C. album)라고 한다. 명아주를 섭취하면 심장지수가
높아지고 건강해진다. 먹거나 명아주 지팡이만 만져도 심장마비에 좋다.
◆ 명아주의 개요
◆ 과명, 다른 이름 :
명아주과, 명아주속 .홍심려, 학정초, 연지채,능쟁이, 도트라지
◆ 분포지역 :
한국, 일본, 중국, 북동부
◆ 특 징 성장환경:
잎은 호생이며 잎자루가 있으며 삼각상 난형임 가장자리에 물결모양의
톱니가 있음 일년생초 양지 들이나 산에 잘 자란다 어린 잎은 홍자색의
가루가 붙어있음 줄기는 곧으며 가지를친다 높이 1m 안팎. 줄기에 녹색
줄이있고 잎은 어긋나며 중심부에 붉은 색이도는 가루같은 돌기가 있다.
◆ 식용방법 :
어린잎은 무쳐 먹는다. 全草(전초)를 藜(여)라 하며 약용한다.
어린 전초를 5-6월 花穗(화수)가 나기 전
채취하여 햇볕에 말리거나 신선한 것 그대로 사용한다. ◆ 성분 :
전초에 精油(정유)가 함유되어 있다. 잎의 脂質(지질) 중 68%는 중성
지방으로palmitic acid, carnauba 酸(산), olein 酸(산), sitosterol,
nonacosane, oleyl alchol, 납 등이 함유되어 있다. 뿌리에는 betaine,
아미노산, sterol, 油脂(유지) 등이 함유되어
있으며, 종자에는 5.54-14.86%의 기름이 함유되어 있다. ◆ 약효 :
止瀉(지사), 健胃(건위), 强壯藥(강장약)으로 淸熱(청열), 利濕(이습),
살충의 효능이 있다.
이질, 下痢(하리), 습진, 痒疹(양진), 독충에 의한 咬傷(교상)을 치료한다.
◆ 주의 ;
생즙은 일사병과 많이 먹으면 피부병을 일으킴 ◆ 용법/용량 :
15-30g을 달여 복용한다. <외용> 煎液(전액)으로 김을 쐬면서 씻거나
또는 짓찧어서 붙이거나 煎液(전액)으로 환부를 씻는다.
◆ 개 화 기~설명 :
홍심려(紅心藜),학정초(鶴頂草),연지채,붉은 잎명아주,는쟁이,붉은잎
능쟁이 등으로 불리는 명아주과의 1년생 초본이다.
전국의 원야지 초원및 대개는 텃밭 등지에 흔히 자생하는데 가운데의
속잎이 붉은색이 나기 때문에 붉은잎능쟁이라 한다. 6~8월에 황록색 꽃이
피어 8월에 종자가 익는다. 약용으로 쓰이며 어린 잎은 나물로 먹는데
가을에 줄기로 지팡이를 만들기도 한다.
밭이나 빈터에 자라는 한해살이풀로. 1-2m높이로 곧게 자라는 둥근
줄기는 세로로 녹색줄이 있으며 가지가 많이 갈라진다.
잎은 어긋나며 세모진 달걀형으로 가장자리에 물결모양의 톱니가 있다.
어릴때는 줄기중심부와 잎 뒷면에 붉은 빛이 돈다.
6-8월에 줄기끝의 원추꽃차례에 조그만 황록색 꽃이 촘촘이 모여핀다.
봄에 나는 어린 순은 데쳐서 나물로 먹고 생즙은 일사병과 독충에
물렸을 때 쓴다. 크게 자란 명아주 줄기는 단단하고 가벼워 지팡이를
만들기도 하는데 이를 "청려장(靑藜杖)이라하여 노인들이 좋아한다.
어린줄기의 중심부가 흰빛이 도는 것을 흰명아주라고 한다.
명아주를 여(藜)라고도한다.청려장할때 려(藜)가 바로이 여(藜)를 말한다.
청려장을 만들려면 줄기를 잘라서는 안되고 뿌리채 뽑아야 울퉁퉁한
모양의 제대로된 청려장이 된다 명아주는 어디에서나 잘자라나
기름진 흙을 좋아하기 때문에 청려장을 만들기 위해서는 곁순을 자르고
잡초도 제거하고 지주목을 설치 해야 곧게 2m가 넘게 자랄수 있다.
명아주는 어렸을 때에는 도톰하고 넓은 잎을 많이 펴낸다.
이파리가 어느 정도 무성해지면 무척 빠른 속도로 높이 성장을 하며
이때부터 선단부와 가지 겨드랑이에 황록새 꽃을 촘촘히 피우는데
그 무게가 상당히 나간다.
이 무거운 꽃을 받쳐 주기 위해 부피 성장 즉 줄기가 굵어지는 것이다.
동시에 되도록 많은 꽃을 피우기 위해 수많은 가지를 내고 그에 따라
이파리는 점점 작아진다.
가을이 되면 명아주는 늠름한 작은 나무가되어 비로소 지팡이 재가된다
명아주 지팡이 만들기
지팡이의 1등 소재는 명아주이다. 명아주는 예로부터 부터 지팡이 재료로
사용되었고 우리나라에서는 신라시대부터 그 문화가 도입 되었다.
지팡이 소재로 채택된 이유는 가볍고 그 질이 단단하여 좋고 뿌리부위와
지상으로 성장하는 줄기부위 경계점에 용의 형상이 나타나 가공을 해두면
아름답다 하여 많은 사람들로부터 애용되었지만. 명아주 지팡이를 만드는
작업은 만만치 않다.
3월에 파종을 하고, 5월 중순부터 줄기의 모양을 만들기 위해 5~6군데
이상 지주대를 만들어 줘야 한다. 10월 초 수확을 한 뒤 줄기를 삶아 껍질과
옹이를 제거한다. 삶아서 껍질을 벗겨낸 후 약 20일간 말려 자르고 다듬어 지팡이로 만들어지고 있다.
이후 사포(페이퍼)로 다듬은 뒤 4~5차례 칠을 반복해야 하나의 지팡이가 완성되는 것이다.
1. 매년 3,4월이되면 명아주 씨앗을 뿌리고 포지화 해서
묘종을 옮겨심어 지팡이 감으로 적당하게 손질하며 가꾸어 9,10월이 되면 수확을 한다.
2. 시초에 시작을 할떼는 야생종 씨앗을 채집하여 이것을 야생종에서 인위적 栽培하여
우량 종자로 발전시켜 좋은 지팡이 감을 준비 해야한다.
3. 명아주로 지팡이를 만들면 이것은 청려장(靑藜杖)이라 하여 아주 고급 지팡이가 되며
건강용으로 또는 노리계 용으로 소중한 것을 갖게 될것이다.
4. 가공은 나무가 휘어진 것은 똑바른 곳에다 며칠 묶어놓으면 곧게 펴진다.
껍질을 벗긴 후 응달에서 최소한 10일 이상을 말려 나무 안의 수분을
가급적 많이 제거시킨다. 끈기가 있다면 적당한 곳에서 한 1년을 물에 적시면서
말리고 마르면 적셔서 내성이 강해지게 한다.
5. 확실하게 마른 다음에는 칠을 하게 되는 데 칠 전에 살짝 불에 그슬리는 것도 괜찮지만
약간 붉은 빛이 도는 황토흙을 물에 개어 나무에 골고루 바른 뒤 다시 말린다.
6. 다 말랐다 싶으면 나무에 칠하는 니스로 칠하는 데 재칠하는 것이 칠의
두께를 올리는 데 좋다. 이름이나 기념문구를 넣으려면 황토칠이 마른 뒤 먹으로
글씨를 넣고 그 위에 니스칠을 하면 된다.
7. 칠은 제1차 "락카" 칠을 한 다음 제2차 칠은 "에나멜" 칠을 하고
제3차로 "카슈"를 칠 한다.
명아주 지팡이 소재를 1차가공을 한다
1. 명아주 대를 물로 추긴뒤에 껍질을 제거하고 마디를 정리한다.
2. 소재의 생김새에 맞는 지팡이 길이를 정한다.
3. 지팡이는 단장과 나드리 지팡 (行杖)으로 구분을 하고
지팡이의 손잡비가 잘 생긴 것은 短杖으로 만들고
꾸부러진 손잡비가 없는 것은 행장으로 한다 .
4. 단장은 1200mm 이내의 길이로 하고 행장은 1200mm이상 1500mm 이내로 하면 된다.
5. 용도에 맞게 길이를 정하면 가공에 들어 간다.
가공에는 마디를 정리하고 모양에 걸맞는 문양이나 각선미를 고려하여
외관상의 미적 감각을 충분히 살려 가공한다.
6. 칼과 기타 필요한 공구로 切削作業이 끝 나면 연마작업을 한다.
7. 연마는 제1차 연마를 하고 제2차 연마를 한다.
8. 연마작업이 완료되면 칠을 한다. 칠은 제1차 "락카" 칠을 한 다은
제2차 칠은 "에나멜" 칠을 하고 제3차로 "카슈"를 칠 한다.
가을이 되면 명아주는 늠름한 작은 나무가 되는데
이것을 뽑아내어 (자르면 안된다. 울퉁불퉁한 뿌리를 살려야 하므로)
명아주 줄기를 삶아 껍질과 옹이를 제거한다.
매끈하게 다듬은뒤 4-5차례 옻칠을 해 만든다.
8월쯤에 잘 자란 명아주를 채취해 물에 삶고 잘 말린 후 적당한 크기로 잘라
표면을 솔과 사포로 매끄럽게 다듬어야 한다.
반짝반짝 윤이 나도록 옻칠도 해주고 고리 장식까지 달아야 지팡이가 완성된다.
◆ 명아주 키우기
1. 명아주는 순수자연산 보다는 자연생 苗種을 이식을 해서 거름질도하고
보조작대기를 세워 잡아주고 지상 대가 꾸부러지지 아니하게 키우는 것이
품질이 좋은 지팡이 감이 된다.
2. 손잡비 부위는 묘종 이식때에 꾸부려서심고 뿌리가 튼튼하게 자라게
이식전에 밑거름을 충분하게 넣어주는 것이 좋다.
3. 명아주 키우기에 관한 관심을 가지신분은 4월초가 다 가기전에
씨앗을 뿌릴 준비를 해야한다.
4. 일단은 描布地를 만들고 描種用 파종을 해야한다.
묘종이 25cm 에서 30cm컷을때 이식을 한다는 것과 이식을 하지아니하고
성장시키는 것을 구분하여 씨앗을 뿌려야한다.
(이식 間隙은 70cm 정도가 적당 합니다)
5. 그대로 키울것은 가로 세로 間隙이 70cm정도 넓이로 띠우고 씨앗을 심어야 좋다.
◆ 청려장 이야기
청려장은 명아주로 만든다. 명아주로 만든 지팡이를 청려장이라 한다.
청려장을 짚고 다니면 신경통과 중풍에 효험이 있다고 하여
옛날부터 노인들의 아주 좋은 반려자였다. 청려장은 재질이 단단하고 가벼워서 근력이
약한 노인에게 안성맞춤이고 ,게다가 표면이 도사 지팡이처럼 울퉁불퉁하고 아름다워
노인들에게 효도 선물로 아주 적격이다.
명아주를 육모재배하여 명아주대로 만든 지팡이를 靑黎杖이라하는데
이는 중국 후한 때 유향이란 선비가 어두운 방에 노인이 나타나 청려장 지팡이로 땅을 치자
불빛이 환하게 일어났다하며,청려장은 가볍고 발광을 하므로 사귀를 물리친다고 하였으나
16세기 이시진의『본초강목』에“청려장을 짚고 다니면 중풍이 안걸린다”고 하였으며,
중풍이 걸 린 사람도 쉽게 낫고 신경통에도 좋다고 전하는데,
민간신앙 차원에서 중요시되는 지팡이로 재질이 단단하고 가벼우며 섬세한 가공과정을 거쳐
품위가 뛰어나 인기가 높으며 특히 회갑 노인행사 기념일 등의 선물용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옛날에는 누구나 가질 수 있는 것은 아니었다.
청려장(靑藜杖)명아주의 줄기를 말려서 만든 지팡이가 ‘청려장(靑藜杖)’인데 가볍고 단단하여
노인이 짚기에 안성맞춤이다.
지팡이는 본인이 만들어 짚지 않고 50세가 되면 자식들이 만들어 드렸다고 한다.
사람의 나이가 50살이 되면 자식이 아버지께 바치는 청려장을 가장이라 하였다.
사람의 나이가 60살이 되면 마을(고을)에서 주는 청려장을 향장이라 하였다.
사람의 나이가 70살이 되면 나라에서 주는 청려장을 국장이라 하였다.
사람의 나이가 80살이 되면 임금이 내리는 청려장을 조장이라 하였다.
이처럼 지팡이는 어른이 지니는 존경과 권위의 상징으로 지팡이 중에서 각종 고사(故事)에
많이 등장하는 지팡이가 ‘청려장’이다.
몇 년 전에 엘리자베스 영국여왕이 안동 하회마을을 방문하였을 때 드린 선물이 바로 청려장인데 ‘탐스럽고 가벼워서 좋다’는 찬사를 들었다.
정부에서는 지난 92년부터 매년 어버이날이나 노인의 날이 되면 100세가 되는 노인들에게 장수를 축하하는 의미에서 청려장을 선물로 드리고 있다.
본초강목(本草綱目)’에 의하면 청려장은 중풍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고 적혀 있다. 울퉁불퉁한 표면이 손바닥을 자극하면서 지압효과를 내기 때문이다
※국장이상을 짚은 노인이 마을에 나타나면 그 고을 원님이 나가서 맞이해야 했다.
萬病에 萬藥은 있다 그러나 萬病通治藥은 없다
만가지 병이있다면 만가지 약이있다 그러나 찾지 못할뿐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