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소포타미아의 초기 문명
1. 초기 역사의 전개
메소포타미아의 역사적 특징은 개방적 지형이라는 점입니다. 유프라테스강과 티그리스강을 끼고 있는 이 지역은 평야지대로 민족의 이주가 많았고, 정복 전쟁이 잦았던 지역입니다. 지금의 이라크를 중심으로 하는 지역이 이 지역이지요. 따라서 이들의 문화는 지배자 교체가 상당히 잦았으며, 다양한 문화를 수용하여 문화가 발달하였습니다. 보통 우리가 지구라트라고 부르는 성탑도 이 지역의 유산이지요. 이 지역도 이집트와 마찬가지로 왕권이 강하여 왕이 신관을 통솔하거나 신관을 겸직해 버리는 제정일치 사회였습니다.
초기의 이 지역에서는 유프라테스-티그리스강(이하 2강)의 상류와 하류를 사이에 두고 도시 국가가 발전했습니다. 하류에는 수메르 인들이 자리잡고 있었고, 상류에는 북쪽 지방에 아카드 인이 내려와 있었지요. 수메르인은 기원전 3500년경, 아카드인은 기원전 2500년경에 자리잡았습니다. 이 2강 사이에서는 외국산 물자에 의존하는 도시국가들이 수없이 많았는데, 초기의 도시국가들은 대립과 분쟁이 아주 심했습니다.
2. 수메르 왕조 - 바빌로니아 왕국
이러한 분열된 민족을 통일한 최초의 국가는 기원전 2000년경의 수메르 왕조입니다. 수메르인들은 메소포타미아 지방의 남부를 통일하면서 강성했지만, 곧 아무르 인들의 침입으로 멸망합니다.
아무르 인들은 수메르인의 왕조를 멸망시킨 후 가장 강력한 국가인 <바빌로니아 왕국>을 건설합니다. 이 왕국은 함무라비 왕 때 전성기를 맞이한 통일왕국으로서 행정관과 사법관을 임명하고 법전을 편찬하는 등 체계적인 국가 조직을 갖춘 고대 전제국가입니다. 바빌로니아 왕국 하면 함무라비 법전이 너무나 유명하죠?(사료방에 함무라비 법전 전문 282조가 있습니다. 태그나 키로그, 사이트 내 검색을 통해 찾아보실 수 있습니다)
함무라비 법전은 총 282조로 민법, 형법, 소송법 등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이 법전은 눈에는 눈, 이에는 이라는 보복주의를 채택하고 있는데, 이것은 고대 법의 공통된 성향입니다. 또 신분 차별이 엄격해서 신분에 따라 형벌이 다르게 적용됩니다. 또 한 고의적인 것과 우발적인 것을 구별하지 않고 처벌하였으나 법에 의하지 않는 복수는 엄격히 금지하였습니다.
3. 철기 국가의 등장 – 히타이트
한편, 이렇게 강국이었던 바빌로니아도 기원전 16세기 무렵 카시이트족이 침입하면서 점차 약해집니다. 이 당시부터 철기가 도입되면서 오리엔트의 대부분의 강국들이 모두 침체기에 들어가기 시작하는데요. 바빌로니아, 이집트의 신왕국 등은 부흥의 노력을 하지만 시대변화를 극복하지 못하고 주도권을 새로운 철기국가에 넘겨주게 됩니다.
새로운 철기 국가는 히타이트, 미탄니 같은 국가였습니다. 특히 히타이트는 기원전 2000년경 후반부터 등장하여 철기를 이용한 정복전쟁을 시작합니다. 이들은 소아시아, 시리아, 이집트, 메소포타미아 북부까지 내려왔으며 기존 절대적 동양전제군주제와는 다른 형식의 통치를 시작합니다.
기존 오리엔트의 통치방식은 신의 사자나 신의 아들(이집트의 파라오), 또는 신의 대리인(함무라비왕)을 칭하는 절대적 군주제도였습니다. 학자들은 이러한 통치방식을 중국의 진시황까지 포함하여 동양적 전제군주제라고 까지 합니다. 즉, 왕권을 절대시하는 왕정이지요. 그러나 히타이트는 다릅니다. 그들은 수많은 귀족들로 구성되어 있는 공화제의 성격이 강한 왕정 국가이며, 왕이란 귀족 중 최강자일뿐 왕이 신의 아들이나 대리인이라는 생각은 없습니다. 그리고 이 히타이트는 또 다른 강국인 미탄니와의 중계무역으로 경제권도 점차 장악해 갑니다.
히타이트의 침략으로 바빌로니아는 멸망 상태에 이르게 됩니다. 그리고 아시리아가 오리엔트를 최초로 통일하는 순간 바빌로니아는 지구상에서 사라집니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히타이트라는 철제 국가가 등장한 것이 곧 철기 시대의 이행이라고는 볼 수 없다는 점도 알아야 합니다. 왜냐면 히타이트는 철제 무기를 오리엔트에 보급한 것이 아니라 다른 민족이 철제 무기를 사용하는 것을 경계하면서, 자국에서만 철제 무기를 사용했기 때문입니다. 오리엔트에 철기가 보급된 것은 히타이트가 멸망한 후입니다. 히타이트가 망하면서 제철기술이 오리엔트 전역에 보급되는 것이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