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입구개폐기를 선정하는 기준이 어떤건가요?
ASS (1000kVA이하) , LS (66kV 이상) 인 건 알고있는데
Int SW 도 300kVA이하에서 사용한다그러고
COS도 300kVA이하에서 PF대신 사용한다고하고
또 300kVA 같이용량이 주어졌을때는 어떤 용량을 기준으로 하는건가요?
나머지 뭐
LBS 부하개폐기 ( 개폐빈도가 낮은 곳 )
DS 단로기
PF 전력퓨즈
AISS 기중절연형 자동고장구분개폐기
ALTS 자동부하전환개폐기 ( 이중전원 확보 후 신뢰도 높게 공급하는 개폐기)
리클로저 ( 아크를 소멸시키는 것)
섹셔널라이저 ( 무전압 시 회로 분리)
각각의 기능은 그냥 외워서 알고있는데 계통도에서 인입구개폐기 선정할 때 어떤 것을 사용해야하는지 정확한 기준을 모르겠네요
첫댓글 우리는 설계자가 아니라 설계도를 분석하는 것이 중요한데요
일반적으로 표준결선도를 기준으로 많이 그립니다만
설계자가 특정 공사에서 최적화되게 설계를 하겠지요 그것을 일일히 다 저희가 알 수는 없습니다.
다만 일반적으로 단로기를 대신해서 퓨즈를, 퓨즈를 대신해서 COS를 ,부하개폐기를 대신해서 자동고장구분개폐기나 기중부하개폐기를 사용합니다.
그리고 리클로저나 섹셔널라이져는 수변전 설비가 아니라 배전선에 설치하는 친구들입니다. 이들 또한 개폐기이지만 수변전선도에서는 한 번도 본적 없으실 겁니다.
아ㅏ정말 감사합니다!
그럼 ass가 300kva~1000kva사이일때 쓰는걸로 알고있는데 부하개폐기랑 기중부하개폐기도 300kva~1000kva에서 사용되는건가요?
@나건호 그것은 아니구요 , 부하개폐기나 기중부하개폐기도 기기마다 적정 용량이 있겠지요
그들 중 적절하게 대체할 수 있는 것을 선택하시면 되는 것입니다.
@다산에듀랑 넵 감사합니다
실제로 수용가마다 인입구 개폐기는 다 다릅니다. 종류도 더 많구요.무엇이 맞고 틀리다가 아니라 규모나 경제적인 면에서 선택되었을듯 합니다. 수험자 입장에서는 여러 개폐기 종류를 알고 그에 따른 기능정도를 이해하면 충분할듯 합니다.
※ 헷갈리시는 문제와 함께 질문해주셔야 정확한 답변이 됩니다.
문제에서 주어진 인입구 개폐기들은 도면별 상이할 수 있습니다.
다만, 직접 도면을 작성하거나 도면의 빈칸을 채우는 문제들은 대부분 규정에 근거하여 출제하므로 KEC 특고압 수변전 설비 표준결선도에서 규정하고 있는 내용을 기준으로 암기하시면 됩니다. (기출문제집 제일 뒤 부록 2. 참고)
※ 말씀하시는 PF 대신 COS 관련 내용은 특고압 "간이" 수전설비 결선도에 해당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