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덕경 본문 제55장 해설-덕이 깊음은 어린아이와 같다.
含德之厚, 比於赤子, 蜂채훼蛇不석, 猛獸不據, 攫鳥不搏.
함덕지후, 비어적자, 봉채훼사불석, 맹수불거, 확조불박.
骨弱筋柔而握固. 未知牝牡之合而全作, 精之至也.
골약근유이악고. 미지빈모지합이전작, 정지지야.
終日號而不사, 和之至也. 知和曰常, 知常曰明.
종일호이불사, 화지지야. 지화왈상, 지상왈명.
益生曰祥, 心使氣曰强. 物壯則老. 謂之不道. 不道早已.
익생왈상, 심사기왈강. 물장즉노. 위지부도. 부도조이
*本文 第 五十五章= 덕먹음을 두터히 함을 적자에(*어린아기) 비김이라 버러지가 쏟지 않고 맹수가 막아 재키지 않으며 채는 새가 잡아재키지 않으며 뼈는 유약하고 힘줄은 부드러워도 딱딱한걸 움켜쥐고 암수의 합하는 것을 모르면서도 고추(*자지)일어남은 정순 함에 이른다 종일토록 울어도 목쉬지 않아 화순함이 지극한지라 화순 함을 아는 걸 갖다 늘상 함이라 하고 늘상 함을 갖다 밝음이라 하고 삶을 유익하게 하는 걸 갖다 상서로운 것이라 하고 마음이 기운을 부림을 갖다 강함이라 하고 사물이 성장해지면 늙음을 일러 길이 아니라 하고 길이 아니면 일찍이 그만둠이라 한다.
* 마치 가뭄에 단비를 맞은 초목처럼 덕을 먹음 어서 윤기 나고 후덕 스런 모습을 말해본다면 적자 아기에게 비유할 수 있는데 독충이 물지 않고 맹수가 덤벼들지 않고 맹금류가 확- 채려 들지 않는 데다가, 근골이 연약한데도 손아굼은 앙팍 진지라 그 붙들면 잘 노으려 들지 않고, 아직 남녀간 음양교접 제미 볼 성숙한 몸도 아닌데도 늘 상 본다면 고추는 벌떡 일어나 있다 이는 精靈(정령)이 지극한 것이다
하루종일 울어도 목쉬지 않는데 이는 화락함이 지극한 것이다, 화락 함을 아는 것을 갖다가선 떳떳함이라 하고, 떳떳함을 아는 것을 갖다가선 밝음이라 하고, 사람을 유익하게 하는 것을 갖다가선 상서로움이라 하고, 마음이 기운을 부리는 것을 갖다가선 강함이라 하고, 사물이 건장한 것이 있으면 늙어지게 마련인데 이렇다면 길이 아닌 것이라 할 것인데 길이 아니라면 일찍이 그만두는 것이지 거기에 연연할 필요가 없다할 것이다 * 결국 뭔가 强壯(강장)함에 이르러선 길이 아닌 것이 되는지라 고만둠에 이른다는 것을 역설하고 있는 것이리라.
소이 사이비, 길인 것 같아도 길이 아니란 것이리라, 말의 변성 뜻의 약간씩 변화를 시키어서는 그 왜곡됨에 이르는 것을 가르치려 듦이 아닌가 하는데 소이 常(상)하면 明(명)하다는 것이 조금 통하고, 그 다음 明(명)하면 그 사람 삶에 暗(암)보다 유익한 면이 있을 것이라 이래 益(익)이라 하고, 益(익)이라면 그 상서로운 것이 아니라 할 수 없다는 것이고 그 상서로운 것은 긍정하고 좋은 것에 근접한 것인지라 심기에 있어서 强弱(강약)을 갖고 논할 적에 그 强(강)한데 좋은데 속한다는 것이리라 그래 좋고 강한데 속한다보면 强壯(강장) 소위 건강하고 씩씩한 상태로 되어져 보인다는 것이라 소위 사물이 건강한 면을 보이게 되는데 그 건장하다 하면은 필경은 권태로와 질 것이고 풍상을 맞아서 굳굳한 것은 드믈 것이라 노쇠하게 마련이라는 것이리라
이래되면 그 변질되게 되어서는 그 말흐름 뜻흐름 문맥흐름 등이 훼절 왜곡이 심한 경지에까지 이르는 것이라 그렇다면 그것이 무슨 무위적인 자연현상이라 할 것인가? 자연현상은 영구함을 보존하는 것인데 그렇게 쇠진하고 장차 소멸되는 가닥을 잡는 단다면야 그것은 길이 아닌 것이라 마땅히 그만둠만 못하다고 역설하고 있는 것이리라 여기까지 문장에서는..... 발없는 말이 천리를 간다하고, 놀부 심보가 열 개로 늘어 났다 줄어 들어들었다 갖은 변형을 이루는 것이 삼라만상의 형태가 아닌가 하고, 소이 각종 유전 변이등 변이는 지금의 세상을 존재케 하였다해도 그 말이 된다 아니하지 못할 것이다
* 처음에 아기는 길의 터전을 보이지만 우리 삶이 지쳐 있을 즈음에 이르러서는 그 길이라 할 것이 없으리 만큼에 도달 한다는 것을 말하여주는 문장이라 지금 나는[여금오], 필자는 왜곡 사시되게 관찰하고 있다
蘇註소주
老子之言道德每以 兒 之者 皆言其體而已未及其用也 夫 兒泊然無欲
노자지언도덕매이영아황지자 개언기체이이미급기용야 부영아박연무욕
其體則至矣 然而物來而不知應故未可以言用也 道無形體 物莫得而見也
기체즉지의 연이물래이불지응고미가이언용야 도무형체 물막득이견야
可得而傷之乎 人之所以至於有形者 由其有心也 故有心而後有形 有形
황가득이상지호 인지소이지어유형자 유기유심야 고유심이후유형 유형
而後有敵 敵立而傷之者至矣 無心之人 物無與敵者 而曷由傷之 夫赤子所
이후유적 적입이상지자지의 무심지인 물무여적자 이갈유상지 부적자소
以至此者 唯無心也 無執而自握 無欲而自作 是以知其精有餘而非心也 心
이지차자 유무심야 무집이자악 무욕이자작 시이지기정유여이비심야 심
動則氣傷 氣傷則號而啞 終日號而不啞 是以知其心不動而氣和也 和者不
동즉기상 기상즉호이아 종일호이불아 시이지기심부동이기화야 화자불
以外傷內也 復命曰常遇物而知反其本者也 知和曰常得本以應萬物者也 其
이외상내야 복명왈상우물이지반기본자야 지화왈상득본이응만물자야 기
實一道也 故皆謂之常 生不可益而欲益之 則非其正矣 氣惡妄作 而又以心
실일도야 고개위지상 생불가익이욕익지 즉비기정의 기악망작 이우이심
使之則强梁甚矣 益生使氣 不能聽其自然 日入於剛强而老從之 則失其赤
사지즉강양심의 익생사기 불능청기자연 일입어강강이노종지 즉실기적
子之性矣.
자지성의.
* 소씨 주석하대.
노자는 도덕을 말함에서 매번 어린아이를 들춰서 말한다 장차 실천 하려는 것이 다 그 몸일 따름이라 그 씀에 영향이 밋치지 못한다 무릇 영아란 담백하여 욕망이 없다 그 몸일 것 같으면 지순함이라 하리라 그러히 사물이 오는데도 적응 할줄 모르는 지라 바르게(*그렇게) 말이나 사용칠 못한다 길은 형체 없는 것이라 사물이 얻어서 볼수없는데 하물며 그렇게 얻어서 손상시킨다할 것인가? 사람이 소이 형체둠에 이른 것은 그 마음 가지므로 말미암았는지라 그러므로 마음을 가진후에 형체가 있고 형체가 있은 후에 대상의 적이 있고 적을 세워서야만 손상시키는 것 에 이른다함이리라 무심한 사람이 사물과 더불어 대적 할 려 없는 것이어서 무얼 갖고 손상시킴을 말미암는다 할 것인가?
무릇 적자가 소이 이러함에 이르는 것이라서 오직 무심함이라 집념이 없이 저절로 쥐는 것이고 욕망이 없어도 저절로 일어난다 이래서 그 정순함 남음 있어야 도 마음을 움직여서 그러함이 아닌 줄 안다 마음이 움직인즉 기운을 손상시키고 기운이 손상되면 울어서 아--한다 이래서 그 마음이 움직이지 아니하면 기운이 화순 한 줄 안다 화순 한 것이란 밖으로서 안을 손상시키지 못하는 것이라 명이되 돌아옴을 갖다 늘상 함이 사물을 만나서 그 근본으로 되돌아오게 함을 알게하는 것이라 화순 함을 앎을 갖다 늘 상 함이라 하고 근본을 얻음으로써 만물을 대응하는 것은 그 알참은 하나의 길인지라
그러므로 다 일러 늘 상 함이라 한다 삶을 그렇게 유익하게 할 수 없는 것인데도 유익코자한다면 그 바름이 아니리라 기분 나쁨이 망녕됨을 짓고 또 마음을 부려간다면 강하게 나댐이 심한 것이리라 삶을 유익하게 하고 기운을 부리면은 그 자연에 소릴 잘 듣지 못한다 날마다 강하고 굳셈에 몰입해서 늙기를 쫓으면 (*무르 익기를 바라면) 그 어린 아기의 본성을 잃어 버리게 되리라
呂註 여주
人之初生其德性至厚也 比其長也 耳目交於外 心識受於內 而益生日益多
인지초생기덕성지후야 비기장야 이목교어외 심식수어내 이익생일익다
則其厚者薄矣 爲道者 損其所益生 性修反德 德至同於初 故曰含德之厚比
즉기후자박의 위도자 손기소익생 성수반덕 덕지동어초 고왈함덕지후비
於赤子 夫赤子之爲物特以其受 氣之和積而未散 而猶毒蟲不 猛獸不據
어적자 부적자지위물특이기수충기지화적이미산 이유독충불석 맹수불거
攫鳥不 夫充純氣之守通乎物之所造 而其和大同於物者 夫孰能害之
확조불박 황부충순기지수통호물지소조 이기화대동어물자 부숙능해지
魏文侯之問卜商是也 蓋唯精爲能致和 何以言之 今夫赤子 不知所取而握
위문후지문복상시야 개유정위능치화 하이언지 금부적자 불지소취이악
固 不知所與而최作 則精也 使赤子也介然有取與之知 則不一而 矣 其能
고 불지소여이최작 즉정야 사적자야개연유취여지지 즉불일이추의 기능
如是乎 故曰骨弱筋柔而握固 未知牝牡之合而최作 精之至 無所憂 故雖
여시호 고왈골약근유이악고 미지빈무지합이최작 정지지 무소우온 고수
終日號而 不 則和也 使赤子也 有所憂 則氣戾而不和其能若是乎 故
종일호이익불애 즉화야 사적자야 유소우온 즉기려이불화기능약시호 고
曰 終日號而 不 和之至 夫形全精復 與天爲一 精而又精 反以相天 精
왈 종일호이익불애 화지지 부형전정복 여천위일 정이우정 반이상천 정
而至於相天 則其充 氣之和 以至大同於物 不足異也 故致道之極 則至於
이지어상천 즉기충충기지화 이지대동어물 부족리야 고치도지극 즉지어
復命 復命曰常 含德之厚 則至於知和 知和亦曰常 則道德雖有間 及其會
복명 복명왈상 함덕지후 즉지어지화 지화역왈상 즉도덕수유간 급기회
於常 則同也 知常則常因其自然而不益生動不知所爲 行不知所之 身若槁
어상 즉동야 지상즉상인기자연이불익생동불지소위 행불지소지 신약고
木之枝 而心若死灰 奚以心使氣爲哉 故益生則曰祥 禍福無有 則無人災
목지지 이심약사회 해이심사기위재 고익생즉왈상 화복무유 즉무인재
祥者禍福兆於此 而人災隨之矣 心使氣則曰强 强梁者死之徒 夫致虛而守
상자화복조어차 이인재수지의 심사기즉왈강 강양자사지도 부치허이수
柔者道也 道乃久 沒身不殆 致實而强 則物而已 物壯則老 其道也哉 故曰
유자도야 도내구 몰신불태 치실이강 즉물이이 물장즉노 기도야재 고왈
物壯則老 是謂不道 不道早已.
물장즉노 시위부도 부도조이.
* 최 = 血 + 俊 [인변 없음] 어린애 자지라는 뜻,
* 여씨 주석하대.
사람이 처음 낳을 적엔 그 덕성이 지극히 두텁다. 그 성장함에 미쳐서 귀와 눈이 박깥을 사귀고 마음이 안에서 받아 인식해서 삶을 유익하게하길 나로 더욱 심하게 한다 그렇게되면 곧 그 본성의 두터움이 얇아진다. 길을 위 하는 자 삶의 유익하게 하는 바를 덜고 성품을 딱아 덕에 돌아옴 덕이 처음과 같음에 이른다 그러므로 말하길 덕을 먹음길 두터히 하길 적자에 비기는지라 대저 적의 됨됨이가 특별히 맞질른 기운의 화순 함을 받아서 흩어지지 아니하여서 독벌레가 쏟지 않고 맹수가 막아 웅거하지 않고 독수리 같은 채는 새가 챌려 않는데 하물며 대저 순수한 기운을 채워 지켜 사물의 만들어지는바에 유통하여서 그 화순함을 크게 사물에 같게 할 것이라면 대저 뉘 그렇게 해침을 잘한다할 것인가?
(*무릇 뉘 능히 해롭게 한다할 것인가?) 왜나라 문후가 商에게 점을 물음이 바로 이렇다할 것이다 대저 오직 정기가 잘 되야 화순 함에 이른다함은 어찌된 말인가? 이제 어린아기 취할 것은 모르고 딱딱한걸 쥐고(*아기 손아귀 힘이 굳다는 뜻도 된다) 더불어 할바를 모르고 고추 일어남은 곧 정순 함 인 야니 잠간새에 그 취할 바를 알면 순일 하게 커지지 못하리라 그 능력이란 게 이 같은 지라 그러므로 말하길 뼈는 약하고 힘줄은 부드러워도 쥐는 힘은 세고 암수의 합하는 것은 모르지만 고추 일어남은 정순 함에 이르는지라 근심하고 성낼게 없다 그런 까닭에 비록 종일토록 칭얼거려도 목구멍이 쉬지 않는 다면 화순 함이라 할 것이다 적자로 하여금 성내고 근심할게 있다하면 기운이 설기 되어서 화순치 못할 것이니 그 능력이란 게 이 같음일 것인지라
그러므로 말하길 종일토록 울어도 목쉬지 않음은 화순 함이 지극함이라 할 것이다 대저 형체가 온전하고 정기가 되돌아오면 하늘로더불어 하나가 되는지라 정순하고 또 정순함으로 돌아옴으로써 하늘 모양을 짓는다 할 것이니 정순 하여서 하늘 모양에 이르면 그 맞질른 기운 화순함이 가득함은 크게 사물을 같게함에 이름에 넉넉히 다르지 않는지라 그러므로 길을 이룸이 지극하면 부여된 명에 되돌아온다 이르고 부여된 본성 명에 되돌아옴을 갖다 항구함이라하고 덕을 먹길 두터히 하면 화순함 앎에 이르고 화순함을 앎을 갖다 역시 늘상 함이라 한다면 길과 덕이 설령 사이가 있어도 그 늘상함의 모임에 밋쳐선 같다할 것이다
늘상 함을 알면 늘상 그 자연으로 인하고 삶을 유익 하려 않고 움직임에 위할 바를 모르고 행함에 갈바를 모른다 몸은 고목의 가지와 같고 마음은 죽은 탄재와 같을 진데 어찌 마음으로써 기운을 부린다 할것인가? 그러므로 삶을 유익하게 하는걸 갖다 상서로움이라 하고 화복의 존재가 없으면 사람의 재앙도 없고 상서란 것은 화복의 여기 증험 가운데서도 사람이 재앙을 따르는 것이라 마음이 기운을 부리면 강함이라 말하고 강하게나대는 것은 죽은 자의 무리이다 대저 빔을 이루고 부드러움을 지키는 것이 길인 것이니 길의 이치를 오래도록 접하고 있으면 몸이 죽음에 이르도록 위태하지 않는다 할 것이다
알참을 이뤄 강하게 나대면 곧 사물일 따름이라 사물이 장성해지면 늙어짐의 이치를 그 길이라 할 것인가? 그러므로 말하길 사물이 성장해지면 늙음을 바로 일러 길이 아니라 하고 길이 아닌 것 인야 일찍이 그에 모든 종사를 그만둔다 함인 것이다 (*그러니까 사물의 사생의 이치를 논해 거기에 얽매이거나 그 원리에 순응하여 쫓아 그것을 생의 종사란 것의 전부로 여긴다면 그런 것은 리상을 추구하는 길이 아니란 것이다. )
朴註박주
含藏蓄而不外露 蟲行毒 최赤子陰 喉 聲破祥不祥也 含德之厚則比於
함장축이불외노석충행독 최적자음익후애성파상불상야 함덕지후즉비어
赤子之 無知無欲處物無心而至和 溢 故赤子之在襁褓 毒蟲猛獸攫鳥之暴
적자지 무지무욕처물무심이지화앙일 고적자지재강보 독충맹수확조지폭
而不能傷 骨甚弱筋甚柔而能握固 情欲未 而최亦作 終日啼號而 不
이불능상 골심약근심유이능악고 정욕미진이최역작 종일제호이익불애
夫至和者純氣之所 蘊而盛德之所舊 故內能恬淡而不以欲 生外能 柔順而
부지화자순기지소 온이성덕지소구 고내능염담이불이욕장생외능 유순이
不以强犯害 知此則可以常久 能知常久之道 則可以爲明矣 厚其生者多欲
불이강범해 지차즉가이상구 능지상구지도 즉가이위명의 후기생자다욕
而 生是謂不祥溱氣者多暴而犯害 是謂好强 凡物壯則必老 道之所貴乎
이장생시위불상지동기자다폭이범해 시위호강 범물장즉필노 도지소귀호
能如 兒者以强不足爲故也 不道早已解見上
능여영아자이강불족위고야 불도조이해견상
* 박씨 주석하대,
갈무려 쌓음을 먹음어서 밖으로 노출치 않고 쏘는 벌레가 독함을 행하고 고추 내놓는 어린 아기 고추가 늘어지고 목구멍에서 목쉰 소리를 내면 상서로움이 깨진 것이라 상서롭지 못한 것이다 덕의 먹음길 두터히 한다면 어린 아기의 앎이 없고 욕망이 없음에 비긴다 사물을 대처함에서 마음이 없어서 화순 함에 다다름이 그릇이 가득함 같은지라 어린 아기 포대기에 있어도 독충과 맹수와 사나운 맹금류 등이 사나움으로써 잘 손상치 못하고 뼈가 심히 약하고 힘줄이 심이 부드러워도 잘 굳게 쥐고 정욕을 일으키는 조짐이 없어도 고추 역시 일어나 있고 종일토록 울어도 목이 쉬지 않는다
무릇 화순 함에 이르름은 순수한 기운이 쌓인 바라서 더부룩하게 덕이 모인바 인지라 그러므로 안으로 잘恬淡(*염담=고요하고 편안히 하길 잘해서) 해서 욕망으로 삶을 해코자(*죽이지* 손상치) 않고 밖으로 유순함을 잘하여서 강함으로써 해로움을 범하지 않는다 이러함을 알면 바르게 늘 상 함이 오래다 할 것이니 늘상한 길을 알면 바르게 밝다 할수 있으리라 그삶을 두텁게 하고자 하는 자 는 욕망이 많은 것이라서 오히려 삶을 해하는 게 되니 이를 일러 상서롭지 못하다함인 것이다
뜻을 움직이는 것은 기운인 것이니 드러냄을 많이 해서 해로움을 범한다 이를 일러 강함을 좋아한다 함인 것이다 대저 사물이 성장하면 필히 늙게 마련인데 길의 귀한 값어치는 어린애같이 잘 할 수 있는데 있는지라 강함으로써 넉넉함 삼지 않는 연고이기 때문이다 길이 아님 일찍이 그만 둔다의 풀이는 윗 해석을 보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