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 프로필 이미지
우리역사문화연구모임(역사문)
 
 
 
 
 

회원 알림

 

회원 알림

다음
 
  • 방문
  • 가입
    1. 토담
    2. 박예인
    3. 시에스타
    4. 소정
    5. 갈메기
    1. 삼산이수
    2. 剩愛
    3. 최해덕
    4. 단대
    5. 대종교천부경학회
 
 
카페 게시글
자유롭게 글쓰기 우리말 고유어와 베트남어 고유어와의 연관성을 찾다!!!
나비우스 추천 0 조회 351 16.03.10 05:38 댓글 13
게시글 본문내용
 
다음검색
댓글
  • 16.03.10 07:23

    첫댓글 우리 고어에서 예쁘다 어여쁘다는 불쌍하다 가련하다라는 의미입니다. 그리도 디나 티 발음이 알로 변환되는 건 미국영어일 뿐이지요

  • 작성자 16.03.10 14:38

    이런 현상은 인도계열언어 나 베트남어에서도 나타나고 잇습니다.위에서 설명한대로 베트남어의 d발음은 남부에서 d-->r-->o 과정을 거칩니다.우리말고대어도 ㄹ이 ㅌ으로 쓰였고 변화를 거쳐 지금의 ㄹ 로 변하는거 예로 보였습니다.t,d-->r로 변하는건 현재 영어에서 일어나는 현상이고 고대에 민족이 이동하면서 그런 변화가 생기는 것이지 현재를 이야기한게 아닙니다.그런 과정을 거친다고 이야기했는데 님은 현재의 상황을 말한것입니다.

  • 16.03.10 15:56

    @나비우스 인도유럽 계열 언어 중 디나 티 발음이 알로 변환되는 건 미국 영어 뿐입니다. 독일어는 현재 그런 현상이 없고 토익이나 토플을 통해 들을 수 있는 영국 영어는 더더욱 없습니다

  • 작성자 16.03.10 14:39

    어여쁘다 소중히 하다 의 뜻도 있습니다.그런 뜻을 알고 있었지만 제 생각이 잇었기에 그렇게 표현했을뿐.

  • 16.03.10 12:21

    훈민정음이나 정철 가사를 보세요. 불쌍하다 의미일 뿐입니다

  • 작성자 16.03.10 14:41

    그런데 왜 어여쁘다가 불쌍한 뜻이 되는지 그 이유를 아시나요?

  • 16.03.10 16:02

    어여쁘다의 경우 어근이 어엿인데-어엿비- 어엿은 꽉찬이라는 의미가 있습니다. 어여쁘다는 꽉차지 않았다는 의미이지요. 그러니 가련한 것 불쌍한 것 등으로 의미 확장되었습니다

  • 작성자 16.03.10 16:48

    그렇군요.왜 어여쁘다가 불쌍하다인지 알게 되었습니다.감사합니다. 그런데 어엿하다 어엿하게 성장했다.알차게 성장했다.말이 되네요.비,쁘 가 부정의 뜻인가요? 예쁘다에도 쁘가 있고 -쁘가 많이 있는 것 같은데..아리송

  • 16.03.12 21:33

    베트남어 등 남방계와의 언어 비교는 하시는 건 좋은데, 어휘 수준의 비교를 하고자 하신다면 적어도 한국어 어휘와 베트남어 어휘를 여럿 제시하여 대응관계를 직접 보여 주셔야죠. 한국어 어휘(그것도 방언에서의 변화사례)만 제시하시고는 베트남어를 운운하시는 건 적절한 결론이 아닙니다.

    즉, 제목대로 우리말과 베트남어의 연관성을 찾는다고 하셨고, 그 첫 대상으로 '예쁘다' 를 꼽으셨다면 이에 해당하는 베트남어 어휘의 음가를 제시하신 뒤 양자가 어떻게 연관되는지를 보여 주셔야 하는 것 아닐까요?

  • 16.03.12 21:54

    이와 별개로..... 나비우스님이 앞서 하셨던 동일 외래어 어원으로 짐작되는 각 나라 어휘의 관계를 조사하는 것도 다른 측면으로는 굉장히 중요한 의미가 있습니다. 단어 한두개 비교로 그 언어들이 동일 어족이라는 주장은 도저히 할 수 없지만, 이를 특정한 문화전파의 흔적으로 추정해 볼 여지도 있기 때문입니다. (외래어가 전파되는 과정에서 그 외래어의 대상물이 함께 전파되었을 것으로 추정하는 방식)

    예를 들어 벼농사의 전파경로를 추정하는 방식을 이런 방식으로 연구하는 경우가 많지요. 재배벼의 원산지로 보통 인도 벵골 만 일대 ~ 남중국/북베트남 일대 정도를 꼽곤 하는데, 이 지역에서 한반도로 벼농사가 전파되는 과정을

  • 16.03.12 22:00

    인도~한반도 사이에서 벼(식물 전체 또는 탈곡 전의 이삭)/쌀(탈곡 후의 이삭)/메ㆍ뫼(익힌 밥)/밥 등에 대응될 법한 각 나라 어휘들의 음운적 유사성 속에서 벼농사 전파경로를 추정하는 방식입니다.

    물론 이 어휘 몇 개를 가지고 인도에서 중국, 동남아 각국, 일본, 한국 등의 언어 자체의 계통이 같다는 황당한 주장은 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벼/쌀/밥 관련 어휘에 음운상의 유사성이 꽤 나타나고 있다면 그건 분명히 벼농사와 함께 전파되었을 가능성이 크므로 전파경로를 짐작하는 정도로는 사용할 수 있다는 거죠. 물론 이 언어적 방법만으로 충분한 건 아니니 다른 실증적 방법(고고학적 발굴 등)과 함게 사용되어야 하겠지요.

  • 작성자 16.03.13 04:10

    미주가효님 말씀 다 맞습니다.베트남어 본지 이제 1개월 앞으로 정리해야 할 문제도 있고해서 시간을 좀 잡고 언젠가 해결해야 할 문제네요.베트남어에 정통한 분이 말씀하시던데 베트남고유어에 우리말어휘와 유사한 것이 많으니 기회가 되면 연구해봐라고 말씀하시네요.그런데 충청도에서 발견된 소호리 세계최고볍씨는 어떻게 설명해야 할지 헤깔리네요.미주가효님은 이것을 어떻게 생각하시나요?현재로선 벼농사가 인도에서 시작되었다는 가설을 뒤짚는 사건인데요.

  • 16.03.13 08:20

    뒤짚는 사건은 아닙니다. 그냥 벼농사 시작 시점이 우리 생각보다 일찍 시작되었다 정도로 볼 수 있습니다. 벼농사가 인도 혹은 그 지역에서 시작되었단 가장 강력한 증거가 그 지역에서 야생벼가 있기 때문이지요. 우리에게는 야생 벼가 없습니다.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