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여쁘다-->예쁘다 이쁘다 아름답다 참하다 깜찍하다
베트남어에 d로 표현되는 말은 ㅈ나 ㅇ으로 표현한다.
đ도 d의 일종 ㄷ<-->ㅈ 호환
참고로 영어의 deep깊다 왼쪽은 표준어 오른쪽은 사투리
딮-->짚-->깊
딮이-->짚이-->깊이
기름-지름,기다리다-지다리다,기저귀-지저구,김치-짐치
길다-질다,깊다-짚다
d발음이 약화되면 r로 변화가능하다.
예)everybody-->에브리바리
그래서 ㅇ이 d와 연관시켜 생각하다보니 예쁘다-->옙+으다
그래서 đẹp [댑]
아름답다 예쁘다 가 생각나는 건 왜일까? 내가 보기엔 발음의 변형이고 원래 같은 말이었다고 생각한다.
뎨쁘다--> 례쁘다-->예쁘다
우리말은 북방쪽보다 남방쪽의 영향을 더 받은 것 같다.
남방쪽에서 올라온 사람들 즉 베트남쪽에서 올라오다가 발음이 변한듯하다.베트남어에 우리말의 어원을 찾아볼수 있는 여러 말을 고을 님을 통해 알았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한가요?
첫댓글 우리 고어에서 예쁘다 어여쁘다는 불쌍하다 가련하다라는 의미입니다. 그리도 디나 티 발음이 알로 변환되는 건 미국영어일 뿐이지요
이런 현상은 인도계열언어 나 베트남어에서도 나타나고 잇습니다.위에서 설명한대로 베트남어의 d발음은 남부에서 d-->r-->o 과정을 거칩니다.우리말고대어도 ㄹ이 ㅌ으로 쓰였고 변화를 거쳐 지금의 ㄹ 로 변하는거 예로 보였습니다.t,d-->r로 변하는건 현재 영어에서 일어나는 현상이고 고대에 민족이 이동하면서 그런 변화가 생기는 것이지 현재를 이야기한게 아닙니다.그런 과정을 거친다고 이야기했는데 님은 현재의 상황을 말한것입니다.
@나비우스 인도유럽 계열 언어 중 디나 티 발음이 알로 변환되는 건 미국 영어 뿐입니다. 독일어는 현재 그런 현상이 없고 토익이나 토플을 통해 들을 수 있는 영국 영어는 더더욱 없습니다
어여쁘다 소중히 하다 의 뜻도 있습니다.그런 뜻을 알고 있었지만 제 생각이 잇었기에 그렇게 표현했을뿐.
훈민정음이나 정철 가사를 보세요. 불쌍하다 의미일 뿐입니다
그런데 왜 어여쁘다가 불쌍한 뜻이 되는지 그 이유를 아시나요?
어여쁘다의 경우 어근이 어엿인데-어엿비- 어엿은 꽉찬이라는 의미가 있습니다. 어여쁘다는 꽉차지 않았다는 의미이지요. 그러니 가련한 것 불쌍한 것 등으로 의미 확장되었습니다
그렇군요.왜 어여쁘다가 불쌍하다인지 알게 되었습니다.감사합니다. 그런데 어엿하다 어엿하게 성장했다.알차게 성장했다.말이 되네요.비,쁘 가 부정의 뜻인가요? 예쁘다에도 쁘가 있고 -쁘가 많이 있는 것 같은데..아리송
베트남어 등 남방계와의 언어 비교는 하시는 건 좋은데, 어휘 수준의 비교를 하고자 하신다면 적어도 한국어 어휘와 베트남어 어휘를 여럿 제시하여 대응관계를 직접 보여 주셔야죠. 한국어 어휘(그것도 방언에서의 변화사례)만 제시하시고는 베트남어를 운운하시는 건 적절한 결론이 아닙니다.
즉, 제목대로 우리말과 베트남어의 연관성을 찾는다고 하셨고, 그 첫 대상으로 '예쁘다' 를 꼽으셨다면 이에 해당하는 베트남어 어휘의 음가를 제시하신 뒤 양자가 어떻게 연관되는지를 보여 주셔야 하는 것 아닐까요?
이와 별개로..... 나비우스님이 앞서 하셨던 동일 외래어 어원으로 짐작되는 각 나라 어휘의 관계를 조사하는 것도 다른 측면으로는 굉장히 중요한 의미가 있습니다. 단어 한두개 비교로 그 언어들이 동일 어족이라는 주장은 도저히 할 수 없지만, 이를 특정한 문화전파의 흔적으로 추정해 볼 여지도 있기 때문입니다. (외래어가 전파되는 과정에서 그 외래어의 대상물이 함께 전파되었을 것으로 추정하는 방식)
예를 들어 벼농사의 전파경로를 추정하는 방식을 이런 방식으로 연구하는 경우가 많지요. 재배벼의 원산지로 보통 인도 벵골 만 일대 ~ 남중국/북베트남 일대 정도를 꼽곤 하는데, 이 지역에서 한반도로 벼농사가 전파되는 과정을
인도~한반도 사이에서 벼(식물 전체 또는 탈곡 전의 이삭)/쌀(탈곡 후의 이삭)/메ㆍ뫼(익힌 밥)/밥 등에 대응될 법한 각 나라 어휘들의 음운적 유사성 속에서 벼농사 전파경로를 추정하는 방식입니다.
물론 이 어휘 몇 개를 가지고 인도에서 중국, 동남아 각국, 일본, 한국 등의 언어 자체의 계통이 같다는 황당한 주장은 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벼/쌀/밥 관련 어휘에 음운상의 유사성이 꽤 나타나고 있다면 그건 분명히 벼농사와 함께 전파되었을 가능성이 크므로 전파경로를 짐작하는 정도로는 사용할 수 있다는 거죠. 물론 이 언어적 방법만으로 충분한 건 아니니 다른 실증적 방법(고고학적 발굴 등)과 함게 사용되어야 하겠지요.
미주가효님 말씀 다 맞습니다.베트남어 본지 이제 1개월 앞으로 정리해야 할 문제도 있고해서 시간을 좀 잡고 언젠가 해결해야 할 문제네요.베트남어에 정통한 분이 말씀하시던데 베트남고유어에 우리말어휘와 유사한 것이 많으니 기회가 되면 연구해봐라고 말씀하시네요.그런데 충청도에서 발견된 소호리 세계최고볍씨는 어떻게 설명해야 할지 헤깔리네요.미주가효님은 이것을 어떻게 생각하시나요?현재로선 벼농사가 인도에서 시작되었다는 가설을 뒤짚는 사건인데요.
뒤짚는 사건은 아닙니다. 그냥 벼농사 시작 시점이 우리 생각보다 일찍 시작되었다 정도로 볼 수 있습니다. 벼농사가 인도 혹은 그 지역에서 시작되었단 가장 강력한 증거가 그 지역에서 야생벼가 있기 때문이지요. 우리에게는 야생 벼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