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 시대는 조선시대에 비해 적서의 차별이 없었던 걸로 아는데요
문과 응시도 그렇고
재산 상속에서는 친자식과 차별을 받았다는 사료가 있는데
그런가요?
재산상속에서는?
첫댓글 어디 사료에서 그런말을 해요?
밑에 어떤 분이문풀 듣다가 알았는데요...^^고려와 조선전기까지 서얼들의 가정內(상속) 차별은 있었습니다.다만, 고려시대에는 사회적 차별은 없었습니다.하지만 조선전기에는 서얼의 사회적 차별까지 있게됐습니다. 정리하면...고려시대 서얼 = 사회적 차별 x / 가정내 상속 차별 o조선전기 서얼 = 사회적 차별 o / 가정내 상속 차별 o 라고 하네요 .
적자도 서자도 친자식이죠..ㅋ
삭제된 댓글 입니다.
와우 명확한 답변이네요.갑사합니다 ^ ^
첫댓글 어디 사료에서 그런말을 해요?
밑에 어떤 분이
문풀 듣다가 알았는데요...^^
고려와 조선전기까지 서얼들의 가정內(상속) 차별은 있었습니다.
다만, 고려시대에는 사회적 차별은 없었습니다.
하지만 조선전기에는 서얼의 사회적 차별까지 있게됐습니다.
정리하면...
고려시대 서얼 = 사회적 차별 x / 가정내 상속 차별 o
조선전기 서얼 = 사회적 차별 o / 가정내 상속 차별 o
라고 하네요 .
적자도 서자도 친자식이죠..ㅋ
삭제된 댓글 입니다.
와우
명확한 답변이네요.
갑사합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