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3.18
*) 전이(轉移) ; 과거에 느꼈던 특정한 감정이(또는 무의식적인 정서) 현재의 다른 대상에게서 느낀다
.(예전에 머리가 까만색 여자애를 짝사랑 했는데 현재에 왠지 머리 검은 여자에게 마음이 쏠린다.)
**) 사후 경험(사후 작용)
(*자라 보고 놀란 가슴 솥뚜껑 보고 놀란다.)
예전에 자라를 보고 놀란 일이 있었다(사건), 현재에 솥뚜껑을 보고
(2차 경험, 사후 경험) 자기도 모르게 깜짝 놀랐다.(이것은 사건이라
하지 않고 경험이라고 한다.) 과거-현재라는 시간을 뛰어넘더라.
1차 경험 때는 무엇인지도 몰랐는데, 2차 경험으로 환기되면서
‘아, 이런 뜻이었구나’ 하고 깨닫는 수가 많다. 2차 경험이
1차경험(사건)에 의미를 부여하더라. 이것을 사후 경험이라고 하였다.
의미 부여는 인간 심리 기전에 여러 가지로 작용하더라.
(보기 동일시 기전 등)
(*프로이트는 유아 성욕등으로 설명하였지만, 요즘은 부정당하는
추세라서 ---, 내 멋대로 예를 만들라카이 잘 안되네요.)
성숙한 방어기제
1) 승화: 치환의 한 형태이다
충동이나 불안을 사회가 수용하는 바람직한 방식으로 전환하는 것 (예: 그림이나 음악, 문학작품을
통해 충족시키는 예술가, 지금의 불행한 처지를 타개하는 방법으로 열심히 공부하여 출세하겠다는 등)
2) 이타주의 — 본능적 욕구 충족 대신에 타인을 돕는 일을 한다.
가족을 위해 희생하는 어머니, 예전에는 큰 누나도
(*아무리 좋은 일도 지나치면 병이다. 자기는 밥도 못 먹으면서
줄곧 기부, 봉사활동으로 밤낮을 지새는 사람은
자기 가족을 돌보는 것이 먼저입니다.)
3) 금욕주의 — 본능적 욕구를 따르는 대신-욕구를 억누른다.
놀고 싶은 욕구를 누르고, 열심히 공부하거나, 운동 연습을
한다. 온갖 고통을 참고 열시미 공부해서 판검사가 되어
나를 깔보고, 개무시하는 **들 함 보자.등등
(인격형성이나, 교육학적 의미에서는 바람직하지 않지마는)
4) 유모어(농담) - 심리적 긴장을 해소한다.(버럭 화를 내는 대신에) 농담
이론에 의하면, 농담이 형성되려면 상대가 반드시 웃어야 한다.
5) 억제 —견디기 힘든 기억이나 생각은 의식의 차원에서 하지 않으려 한다.
아픈 기억을 꺼내려 하면, 그 이야기는 하지 맙시다 등으로
*억압이 무의식 차원에서, 억제는 의식 차원에서 일어난다.
---> 인격적으로 건강한 삶을 살려면 성숙한 방어기제를 사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