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덕경 본문 제58장 해설-其政悶悶 其民淳淳 其政察察 其民缺缺
其政悶悶, 其民淳淳, 其政察察, 其民缺缺,
기정민민, 기민순순, 기정찰찰, 기민결결,
禍兮福之所倚, 福兮禍之所伏, 孰知其極,
화혜복지소의, 복혜화지소복, 숙지기극,
其無正, 正復爲奇, 善復爲妖, 人之迷, 其日固久,
기무정, 정복위기, 선복위요, 인지미, 기일고구,
是以聖人方而不割, 廉而不 , 直而不肆, 光而不燿.
시이성인방이불할, 염이불귀, 직이불사, 광이불요.
* 本文 第 五十八章 = 그 정치가 약삭 빠르지 않음(*민첩하지않음) 그백성이 기름지고(*축축함 있어 메마르지않고) 그정치가 속속들이파헤쳐 알알이 메주알 고주알하면 그백성들이 흠결이오고 화란 것은 복으로 인함이여 복이란 것은 화가 없드린 바로 인함이다 누가 그극 한경계를 알아서 그 바르고 삿됨을 없앨 것인가? 바름이 거듭되면 기궤함이 되는것이고 착함이 거듭되면 재앙이 되는 것이니 사람을혼미케함인 야? (*소위 더 잘할려다 보면 앙화를 자초한다는 뜻임 순리대로 흐르게 나둬야 한다는것이다) 그 오랫날동안 지속된다 하리라 이래서 성인은 모나여도 날카로움없어 베어 상처를 입히지않고 청념하여도 그로 인하여 자타를 손상함을 입히지도 입지도 않고 곧아도 방자치않고 빛을 갖고 게셔도 너무 지나치게 빛나지 않는다.
* 그 정치하는 것이 바보 활동처럼 보이면 백성이 순박해지고,[ 그렇치 않다 지금세상은 인민이 악에 지독하게 오염되었는지라 그 간악하기가 이루 말할 수 없어서는 두둘겨 잡는 정치를 한다하여도 그 되려 살찔 것이라 마구 백성을 핍박 탄압하여서는 도탄에 몰아 넣을려 한다 해도 모두 들고일어나서는 살고자 경쟁할 것이라 그 나라는 더욱 부강해 지는 수 가 있다할 것이다 , 위와 같은 논거는 理想(이상)주의자 들이 망상에 빠져선 그 이상을 동경하는 말일뿐이다 ] 그 정치가 세밀한 것까지 파악하려 들려 한다면 그 백성에겐 털어 먼지 않나는 자 없다고 그 자연 결핍이 오게 마련이다 , 화근이여 복의 의지하는 바요 , 복이여 화근이 업드린 바이라 누가 그 극성 함을 알까 만은 그 바름을 없이하고 바르다하는 것이 거듭 기궤한 속임이 되고 선한 것이 요사스런 것으로 되돌아가고 사람의 혼미해짐이 그 날로 굳고 오래감으로서 그래 안다 할 것이라
이래서 성인은 모가 낫서도 베는 해를 짓지 않고, 청렴하여도 그 청렴한 기상을 돋 보이게 하여서는 다른 이들을 부담 가게금 찌르는 모습을 짓지 않고 [* 튀는 행동을 자제한 다는 것 이리라 ] , 정직하여도 방자하지 않고, 광채가 나더라도 ,눈부시지 않는다
蘇註소주
天地之大 世俗之見有所眩而不知也 蓋福倚於禍 禍伏於福 譬如老穉生死
천지지대 세속지견유소현이불지야 개복의어화 화복어복 비여노치생사
之相繼未始有止 而迷者不知也 夫惟聖人出於萬物之表 而攬其終始 得其
지상계미시유지 이미자불지야 부유성인출어만물지표 이람기종시 득기
大全 而遺其小察 視之悶悶 若無所明 而其民醇醇各全其性矣 若夫世人不
대전 이유기소찰 시지민민 약무소명 이기민읍읍각전기성의 약부세인부
知道之全體 以耳目之所知爲至 彼方且自以爲福 而不知禍之伏於後 方且
지도지전체 이이목지소지위지 피방차자이위복 이불지화지복어후 방차
自以爲善 而不知妖之起於中 區區以察爲明 至於察甚傷物 而不悟其非也
자이위선 이불지요지기어중 구구이찰위명 지어찰심상물 이불오기비야
可不哀哉 知小察之不能盡物 是以雖能方能廉能直能光 而不用其能 恐其
가불애재 지소찰지불능진물 시이수능방능염능직능광 이불용기능 공기
陷於一偏而不反也 此則世俗所謂悶悶也.
함어일편이불반야 차즉세속소위민민야.
醇(순) = 아들자형의 붙침이 아니고 날 '日'字(일자)형인데 옥편에 찾을 수 없었다
*소씨 주석하대.
하늘땅은 크다. 세속의 봄이 어두운 면 있어 제대로 볼줄 모르는게 있다 대저 복은 화에 의지를 하고 화는 복에엎드려 있는 것이 비유컨데 늙고 어림과 삶과 죽음 서로 연이어져 시작해서 그침두지 아니해서 혼미한자는 모르는 것 같음이다 무릇 오직 성인이 만물의 밖같에 나시어 그 시작과 마침을 보게 하니 그 큰 온전함을 얻게하고 그 작은 살핌을 버리게 하니 보는 게 답답한 듯 해서 밝은바가 없는 듯 하고 그 백성은 축축하게 해서 각각 그 성품을 온전하게 함이라 대저 세상사람은 길의 전체를 알지 못하고 눈과 귀로써 아는 바에 다달으려 함이라 저들이 바야흐로 또한 스스로 복을 위하여도 화가 뒤에 엎드린 줄 모르고 바야흐로 스스로 착함을 위한다해도 재앙이 그 가운데 일어나는 줄 모른다
살핌으로써 밝음을 위함인데 너무 심한 살핌은 사물을 손상함에 이르어서 그 그릇됨을 깨닷지 못하니 그렇게 슬프다 아니할 것인가? 작게 살피어서 모든 사물에 잘 살피지 못하는 듯함을 앎이라 할 것이니 이래서 비록 잘 모나고 잘 청렴하고 잘 곧고 잘 빛 나여도 그 잘하는 바를 쓰지 아니함이니 그 한편으로 빠져서 돌아오지 못할까 두려워함에 서라 이러하면 세상에 이른바 답답하다 함인 것이다(*소위 답답한 것 같음으로도 세상을 윤택하게 한다는 뜻이다)
呂註여주
以正治國 以無事取天下 則其政悶悶 悶悶者 言其不以察爲快也 故其民淳
이정치국 이무사취천하 즉기정민민 민민자 언기불이찰위쾌야 고기민순
淳 淳淳者 言其不요於薄也 以智治國 以有事爲天下 則其政察察 察察者
순 순순자 언기불요어박야 이지치국 이유사위천하 즉기정찰찰 찰찰자
反悶悶者也 故其民缺缺 缺缺者 言其不全於樸也 淳淳故安於德性 而不爲
반민민자야 고기민결결 결결자 언기불전어박야 순순고안어덕성 이불위
禍福 奇正善妖之所遷 是不요於薄也 缺缺故避禍而未必免求福而未必得
화복 기정선요지소천 시불요어박야 결결고피화이미필면구복이미필득
以爲正也 而有時乎爲奇 以爲善也 而有時乎爲妖 而禍福奇正善妖未知孰
이위정야 이유시호위기 이위선야 이유시호위요 이화복기정선요미지숙
在也 徒令智多而難治 是不全於樸也 何則 時有終始 世有變化 禍福淳淳
재야 도령지다이난치 시불전어박야 하즉 시유종시 세유변화 화복순순
至有所拂者有所宜 有所拂者世所謂禍 而有所宜則福所倚也 有所宜者世所
지유소불자유소의 유소불자세소위화 이유소의즉복소의야 유소의자세소
謂福 而有所拂則禍所伏也 則孰知其極而避就之耶 自殉殊面 有所正者有
위복 이유소불즉화소복야 즉숙지기극이피취지야 자순수면 유소정자유
所差 則所謂正者果未可知也 今爲正者後或爲奇 此爲奇者彼或爲正 善與
소차 즉소위정자과미가지야 금위정자후혹위기 차위기자피혹위정 선여
妖亦然 則天下之禍福正奇善妖果未可定也 民自有知以來 迷而執之 其日
요역연 즉천하지화복정기선요과미가정야 민자유지이래 미이집지 기일
久矣 奈何重之以察察之政 而使之不得反樸而全乎 是以聖人方而 不
구의 내하중지이찰찰지정 이사지부득반박이전호 시이성인방이 불
割 故不以一人斷制利天下 廉而不 故勝物而不傷 直而不肆 故能曲全而
할 고불이일인단제이천하 염이불귀 고승물이불상 직이불사 고능곡전이
枉直 光而不耀 故用其光復歸其明 此無他 取此悶悶而去彼察察故也.
왕직 광이불요 고용기광복귀기명 차무타 취차민민이거피찰찰고야.
요 = 물수변 梟字(효자)한자 =뜻은 ,물뿌릴 '요' 엷을 '요'字(자)이다
淳(순)= 이 글자 역시 물수변에 한 글자인데 아래 아들 子(자) 붙는게 아니고 날日字(일자)이다, 뜻은, 흘러움직일 '순' 순박할 '순' 맑을 '순' 字(자)이다
*여씨 주석하대,
바름으로써 나라를 다스리고 일없음으로써 천하를 취한다면 그 정치는 약삭빠르지 않다(*소위 인기위주로 정치를 하지않고 유구한 장래성을 내다보고 정책을 입안 정치를 한다는 것이다 그렇게 되면 백성이 윤택한 삶을 누리고 그러한 국가는 번영하게 되있다는 뜻이다) 답답하다는 것은 그 살피려듦이 장괘 하고 알알이 밝히려드는 결단력을 쓰지않음을 말함이다 그러므로 그 백성은 기름지고, 축축하다는 뜻은 기름지다는 뜻이니 그 야박하지 않다는 뜻이다 지혜로써 나라를 다스려 일 둠으로써 천하를 위하려 든다면 그 정치를 살피고 또 살피게 되니 살피고 또 살핀다는 것은 그늘지게 함(어두운 면이 있게함 =답답하게 함)에 반대인 것이라
그러므로 그 백성이 흠결이 있게 된다 이지러지고 또 이지러지는 것은 그 덩이 진 게 온전치 못함을 말함이다 기름진연고로 덕성이 편안해져서 복이 화를 바름이 기이함을 재앙이 착함것에를 옮기려들바를 위히려 들지 않은이 이 야박해지지 않는다는 것이다.
흠결 지고 흠결 지는 연고로 화를 피할려해도 필히 면치못하고 복을 구할려해도 필히 얻지 못하고 바름을 삼아 쓴다해도 때에있어 기궤함이되고 착함을 삼아 쓴다해도 때에 있어 재앙이 되어서 화와 복과 기궤함과 바름과 착함과 재앙이 어디있는줄 모른다 도대체 내리는 법령이 많은 지식이나 지혜를 갖고 하더라도 다스리기 어려워져서 이 덩이가 온전해지지 못함이다. 어떻게 하면 시기 적절하게 마침과 비로소함을 둠과 세상에 변화를 둘 것인가? 화에 복이 스며든다는 것은 거스리는 바 어긋나는 바를 둠이 다함 것은 옳은 구석(*마땅한 구석 여지 틈새) 이 있음이라 거슬려 씻어버린다는 것은 세상에 이른 허물이 되면서도 마땅한 여지 틈새가 있다면 복이 의지하게됨인 것이고 옳고 마땅한게 있는 것이라 하여 세상에 이른바 복이라 하는것에서도 거스리고 어긋나는 게 있으면은 재앙이 엎드린바가 됨인 것이라
그렇다면 누가 그 극한 경계를 알아서 피해 나갈 것인가? 스스로 순수한 면이 있어서 바른걸 가졌다 해도 어긋나는 게 있을 것이니 그렇다면(*스스로 순수한 면이 있어서 바름을 가진 것일지라도 어긋남이 있다면) 이른바 바르다는 것을 실로 알지 못한다 할것이라 이제 바르다하는 것이 후에 혹두 기궤함이 되고 기궤 하다 하는 것이 저 혹도 바름이 된다면 착함과 더불어 재앙 또한 그렇다면 천하의 화와 복과 바름과 기궤함과 좋음과 재앙을 실로 제대로 정하지 못할것이라 백성이 저절로 지혜를 둬 옴으로써 혼미함을 잡은지가 그날이 오랜지라 내 무엇을 소중히 여겨서 살피고 살핌으로써 정치를 하여써 하여금 덩이짐 온전함을 반대하여 얻지 못하게 할려 할 것인가?
이래서 성인은 모 나여도 찔러 베어지는 역할이 되지 않는지라 그런 까닭 게 한사람이 천하의 이로움과 제도를 결단함을 쓰지 않게 하고 청념하여도 베이는 역할을 않는지라 사물보다 낳으면서도 그 사물을 손상시키지 않는다 곧으면서도 방자치 않는지라 그러므로 잘 굽으면서도 온전하고 휘면서도 곧음이고 빛이 있으면서도 찌르듯 빛나지 않는 지라 그러므로 그 빛을 써서 그 밝음을 돌아오게 하니 이는 다름이 없음이라 이쪽의 답답함을 (*어두운면을 ) 취하고 저쪽의 살피고 살핌(*찰찰함)을 버리었기 때문이다 .
朴註박주
醇醇純質之貌 缺缺요薄之貌 奇謂奇邪 妖謂妖惡割削 傷 肆恣耀衒也 其
순순순질지모 결결요박지모 기위기사 요위요악할삭귀상 사자요현야 기
政悶悶 是非不分 而其民反醇醇 以質其政察察 善惡必明而其民反缺缺以
정민민 시비불분 이기민반순순 이질기정찰찰 선악필명이기민반결결이
薄 是非不分 向所謂禍者而今以致福 善惡必明向所謂福者 而今以致禍 是
박 시비불분 향소위화자이금이치복 선악필명향소위복자 이금이치화 시
禍伏於福 福倚於禍 倚伏之理熟知其極乎 其果無所謂正者耶 正之過則復
화복어복 복의어화 의복지리숙지기극호 기과무소위정자야 정지과즉복
爲邪 善之過則復爲惡 人之迷於正邪善惡之分 其爲日固已久矣 又安知察
위사 선지과즉복위악 인지미어정사선악지분 기위일고이구의 우안지찰
察之不足以爲正爲善耶 聖人則不然方不至割廉不至 直不至肆光不至耀
찰지부족이위정위선야 성인즉불연방부지할염불지귀직불지사광불지요
如此然後方可謂得其中而能盡乎 正善之矣 若方而如削廉而傷物直而恣其
여차연후방가위득기중이능진호 정선지의 약방이여삭염이상물직이자기
情光而衒其明 則所謂正善之過而爲福而反致禍也
정광이현기명 즉소위정선지과이위복이반치화야
* 요 = 물수변에 幸(행)자 비슷한 글자 인데 아래 꼬리가 둘임.무슨글자인지 확실치않음 ,
*박씨 주석하대.
醇醇(순순)이란 순질(순수)한 모습이다{(* 역자부언= 박씨는 水字변에 뜻없는토두( )아래 입구(口)하고 날일(日)字 한 글자 두 개 있는것을 순수하다는 뜻으로 풀었다=역자는 강희자전에서 이글자를 찾지못하고 닭구유자변에 소리음자 한 글자 축축할(읍)으로 해석했다 물수변에 누릴향자한 글자가 순박하다는 뜻의 글자이다.)} 缺缺(결결)은 엷은모습이다 奇(기)는 기이하고 사벽스럼을 말함이다 妖(요)는 妖惡(요악=괴이하고 불길하고 나쁜걸 뜻한다 했다)을 말함이다 割(할)은 削(삭=깍는다 해치다 란 뜻이다)이고, (귀)는 傷(상=상처 이지러짐 즉 손상 이란뜻임)이고, 肆(사)는 恣(자= 방자 하다는 뜻 제멋대로이다는 뜻임)이고, 耀(요)는 衒(현=행하고 또판다는 의미의 팔릴 현字 이고 자랑한다는 의미임)이라 했다.
*그 정치가 답답하면 옳고 그름이 나누어지질 않아서 그 백성이 도리혀 순수한 모습을 띄게되어 질박해진다. 그정치 자세히 좋고나쁨을 필히 밝히려 들면 그 백성이 도리혀 흠결짓는 모습을 띄게 되어 야박하게 보인다. 시비를 나눔이 없음 향하길 이른바 재앙이이라 하는 것일지라도 이제 복을 이루게 될것이고 선악을 필히 밝히려 든다 한다면 향하길 이른바 복이라 하는 것이라 하여도 이제 재앙을 이룰것이니 이러함으로써 재앙이 복에 엎드렸다하고 복이 재앙에 의지하였다 함이니 (*역자부언=모두 역설적인 논리임) 의지하고 엎드린 이치 누가 그 극한 경계를 알으리요 그실로 바르다 할게 없다 할것이니 바름이 지나 친즉 거듭 사벽스럼이되고 착함이 지나친즉 거듭 악함이 됨이라 사람이 정사 선악을 나눌려함에서 혼미해져 그 날로 위하여 굳힘이 이미 오램이라 또 무엇을 자세 살펴 부족함을 알아서 바름을 삼고 착함을 삼는다 할 것 인가?
성인인즉 그렇치않아서 모난모습을 띄더라도 여타를 베임에 이르지 않고 (*즉 여타의 심신에 상처를 주지않고 본받게 해 덕을 주는 모습을 띈다는 것임) 청념하여도 또한 베임에 이르지 않고 곧으시면 서도 방자한 모습을 띄지 않고 빛이 있으시면 서도 그빛을 자랑하려 들지 않으신다 이같은 연후래야 바야흐로 바르게 그 가운데를 얻어서 잘 바름과 착함의 지극한 경계에 다다름을 다했다 함이리라 만일 모나서 베임 같고 청렴해서 사물을 손상시키고 곧아도 그 뜻이 방자하고 빛이 있으면서 그 밝음을 자랑하려든다면(*빛을 값나가는 물건처럼 팔을려 든다면) 이른바 바름과 착함이 지나친 것이라서 복이 된다 하여도 도리혀 재앙을 이루 게 된다 함인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