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Ⅰ. 서론 |
Ⅳ. 요하 유역 성곽방어체계 |
Ⅱ. 고구려의 영역확장 과정 |
Ⅴ. 결론 |
Ⅲ. 압록강 유역 성곽방어체계 |
참고문헌 |
Ⅰ. 서론
‘高句麗’라는 국호는 본래 ‘句麗’(句驪, 駒驪)라는 말에서 유래하였다. '구려'는 고구려어에서 성이나 고을을 뜻하는 ‘溝漊’, 성을 의미하는 ‘忽’의 음을 한자로 표기한 것이다(이인영 2006: 171-173). 이후 여기에 ‘高’字를 붙여 생겨난 것이 고구려라는 국호인데 아마 ‘높은 나라’, ‘큰 나라’, ‘高大한 나라’, ‘高貴’한 나라‘ 정도의 뜻이 아니었을까 생각한다(박용운 2004: 46). 이를 통해 보면 고구려를 건국한 주민집단은 일찍부터 ‘성’을 축조하였을 가능성이 있다.
문헌에서 ‘구려’라는 명칭은 기원전 107년 전한이 현도군을 설치하는 과정에서 처음 등장한다. 이로 보아 고구려를 건국한 압록강 중류 일대의 주민집단은 늦어도 기원전 2세기 무렵에는 각지에 성을 축조하였을 가능성을 상정할 수 있다(남일룡 1995; 리순진 1995; 이송래 1993: 210).
고구려는 압록강 중류역에 있던 정치 세력들이 각자 내부의 독자성을 보유한 상태로 누층적으로 결집하여 형성된 나라이다. 추모왕이 남하하기 이전부터 那라고 불린 지역 집단이 상호 통합과 복속을 거쳐 상당한 정치체로 성장했고, 추모 집단은 이들을 결집시켜 고구려를 건국했던 것이다(여호규 2007: 21).
실제 환인 오녀산성에서는 燕 계통의 선철제 주조도끼가 출토되었는데 이는 자연적인 요새지인 경우, 이른 시기부터 방어시설로 이용되었음을 반영한다. 또한 압록강 중류일대와 이웃한 渾河 상류유역에서는 방어를 고려하여 산지에 자리 잡은 신석기시대 말기~청동기시대의 취락유적이 다수 존재하는데 취락유적의 입지조건이 고구려 초기 산성과 매우 유사하여 주목된다(余昊奎 1999a: 14). 이처럼 압록강 중류 일대에는 상당히 이른 시기부터 산지에 방어용 취락이 들어서고 더 나아가 ‘구루’라고 불렸던 성이 축조되었을 것이다.
백두산에서 발원한 압록강은 총 길이 790㎞, 유역 면적 31,739㎡로서 우리나라에서 가장 긴 강이지만, 하류 유역을 제외하면 넓은 평야가 거의 발달되어 있지 않다. 백두산에서 중강진에 이르는 상류 유역은 백두산의 화산 활동으로 형성된 현무암 지대로서 해발 고도가 대체로 1,000m 이상인 험준한 산악 지대이다. 중강진에서 시작되는 중류 유역도 여러 계통의 암석이 뒤섞여 복잡한 지층을 이루며, 특히 압록강 연안 남쪽에는 강남산맥, 북쪽에는 노령산맥과 용강산맥 등 여러 산줄기가 동북에서 서남으로 내달리며 험준한 산악 지형을 이루고 있다(여호규 2007: 22).
압록강 유역에 대한 영역확장이 마무리되자 고구려는 이후 요하유역에 대한 집중적인 영역확장정책을 실시한다. 이곳은 단순한 鐵産地로서의 의미뿐만 아니라(李龍範 1966) 고구려를 포함한 중국왕조 및 북방민족의 군사적 진출을 위한 시험장 내지는 최후 결전장이었다. 그러므로 고구려의 산성은 요동지방에 집중될 수밖에 없었다(신형식 2000a: 8).
요동과 요서를 나누는 요하는 예로부터 중국 6대 하천의 하나로 지목될 정도로 큰 하천이다. 요하는 크게 상류지역과 중하류지역으로 나뉘며 상류지역은 발원지에 따라 서요하와 동요하로 양분된다(劉威 1998). 서요하는 역사적으로 유목민족의 활동무대로서 고구려와 간접적으로 연관되어 있으며 동요하 일대는 대부분 광활한 동북대평원을 가로지르는 구간으로서 아직까지 고구려 성이 발견된 바가 없다.
요하 중하류지역 역시 서쪽과 동쪽의 자연지형이 확연히 구별된다. 서쪽 지역에는 동서 방향의 과이심사막이나 동북~서남 방향의 의무려산 등이 요하 서안까지 뻗어있기 때문에 지류가 크게 발달하지 않은 편이다. 이에 비해 동쪽 지역은 상류에서 하류로 내려가면서 대흑산맥, 길림합달령산맥, 용강산맥, 천산산맥 등에서 발원한 지류들이 많이 발달되어 있다. 이들 지류 연안에는 하천의 범람으로 인한 비옥한 충적평지가 넓게 형성되어 있을 뿐 아니라 연평균 강수량 600㎜ 이상, 연평균 기온 23~24℃로서 농사짓기에 충분하다(劉明光 1998). 특히 각 지류 연안에 펼쳐진 충적평지는 폭 1~2㎞, 길이 수십㎞로서 지형조건상 압록강 중류 연안과 유사하다.
이처럼 요하 중하류 가운데 동쪽지역이 서쪽지역보다 농경에 더 적합하며, 지류 연안에는 고구려 발상지인 압록강 중류연안과 유사한 河谷平地가 발달해 있다. 그리하여 고구려는 일찍부터 요하 동쪽의 지류 연안으로 진출하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요동평원의 중국세력이나 서요하 · 대릉하 방면의 유목민족과 끊임없이 충돌하였다.
본고에서는 고구려가 영역을 확장하는 과정을 간략하게 살펴본 다음, 압록강 · 요하 유역에 축조된 각 성들이 어떠한 군사적 의미를 지니고 있는지 확인해 보도록 하겠다. 특히 지형에 따라 성의 규모나 성격 등이 다르다는 점에 주목하여 고구려가 일관된 군사전략에 맞춰 각지에 축성 사업을 벌였음을 검토하겠다.
Ⅱ. 고구려의 영역확장 과정
1. 5나부 통합시기
나부 연맹체의 초기 맹주국인 환인 지역 비류수 유역에 있던 沸流國이었다. 당시 연맹체 내부에 대한 비류국의 통제력은 비교적 약했는데(盧泰敦 1975: 12-14), 추모 집단은 이 시기 연맹체를 구성하고 있던 소국 중 하나인 졸본부여에 터를 내렸던 것이다. 이후 유리왕대가 되면 고구려는 명실공히 압록강 중류역에서 가장 강대한 세력으로 성장하게 되는데 유리왕대 등장하는 수많은 田獵과 作宮 기사는 유리왕의 적극적인 세력권 확대 노력으로 볼 수 있다(金龍善 1980: 57-59; 金瑛河 1988: 9-34).
고구려의 중심 세력인 5나부의 지역 범위는 초기 적석총이 집중적으로 발견되는 환인과 집안, 통화, 봉성, 관전 등과 현재 집안의 압록강 반대편 지역인 만포시, 중강군, 자성군, 시중군, 위원군, 초산군, 송원군, 희천 등을 포함한 주변 일대인 것으로 보인다(池炳穆 1987). 이 5나부 지역을 벗어난 외곽 지역으로의 본격적이고 대규모적인 진출은 나부체제가 완성된 태조대왕대부터 이루어졌으며(李殿福 1986: 60), 5나부 이외 지역민에 대한 정복은 고구려에 부족한 물산을 획득하기 위해 행해졌다.
그 정복대상으로는 백두산 동남쪽의 행인국, 훈춘 일대의 북옥저, 개마고원 근처의 개마국과 구다국, 동옥저를 꼽을 수 있겠다. 이들 지역은 모두 양질의 철제(황기덕 1963)와 목재, 해산물과 농업생산물을 얻을 수 있는 지역인데다가 전략적으로 중요한 군사 요충지들이었다. 고구려는 이들 지역을 통합함으로써 대외팽창의 발판을 마련했다고 할 수 있겠다.
2. 후한 왕조와의 대립시기
일반적으로 고구려의 요동진출은 4세기 모용선비와의 대립에서 그 기원을 찾곤 한다(孔錫龜 1998: 23; 李基東 2005: 292). 하지만 고구려는 유리왕 11년(B.세기 9)에 이미 선비 滿離集團을 예하집단으로 거느렸고(노태돈 1999: 60-61), 33년(14)에는 현도군의 고구려현을 습격하여 탈취하는 등 이 지역에 대한 진출 의도를 강하게 드러냈다.
현도군은 기원전 107년에 설치되었다가 고조선의 유민에 의해 기원전 75년 서쪽으로 쫓겨 가게 된다. 이후 혼하 상류에 제2현도군이 설치되는데 중심지역에 설치된 고구려현, 상은대, 서개마 3개 현 중 고구려현을 고구려가 탈취함으로써 고구려의 서북 변경은 1세기 초에 혼하 상류까지 이르게 된다(서병국 1997: 83).
뒤이어 모본왕 2년(49)에는 한나라의 우북평, 어양, 상곡, 태원 등지를 습격하였으며 태조대왕 3년(55)에는 요수 서쪽에 10개의 성을 쌓아 한의 침략에 대비하기도 하였다. 또한 2세기 전반에는 선비족과 연합하여 한군현을 여러 차례 공격하였는데 이를 통해 봤을 때 고구려는 요하 하류의 요동 평원으로 진출하기 이전에 이미 요하 중류를 통해 요하 상류 나아가 서요하 일대의 유목민족과 통교하면서 이 지역에 대한 지배권 확보를 위해 노력했음을 알 수 있다(余昊奎 1999a: 16).
이 시기 고구려는 새롭게 차지한 동옥저 지역 등을 개발하면서 농업, 철생산 등 경제의 안정적 기반을 구축한 이후에 요동지역으로 진출하려고 하였기 때문에(朴性鳳 1995: 15-17) 상대적으로 요하유역에 대한 군사작전을 지속적으로 수행할 수 없었다고 생각한다. 고로 모본왕의 후한 동북군현 습격도 기습에 의존한 약탈전 성격이 강했으며, 태조대왕대 쌓은 요서 10성 또한 장기간 주변 지역을 장악하기보다는 적을 공격하는데 있어 전초기지적인 성격으로 활용되었을 가능성이 높았을 것이다.
3. 공손정권 · 위 왕조와의 대립시기
190년, 동탁을 토벌하기 위해 전국에서 군웅들이 군사를 일으키는 등 혼란스러워지자 요동에서는 公孫度이라는 인물이 자립하기에 이른다. 그는 요동군을 셋으로 나눠 요동, 중요, 요서 3군으로 만들고 남쪽으로 바다 건너 동래의 여러 현을 점령하여 영주를 설치하는 등 영토를 크게 확장했다. 그 외에 현도군과 낙랑군까지 휘하에 두고 육지와 바다를 통해 중국 내지에서 피난민을 받아들이니 13만의 인구는 단기간에 40만까지 증가하였다.
197년 고국천왕이 죽고 둘째 동생 연우가 산상왕으로 즉위하자 첫째 동생 발기는 이것에 반발하여 소노가와 3만여 구를 이끌고 반란을 일으켜 공손도에게 군대를 빌려 고구려를 침공한다. 비록 발기의 군대가 고구려군에게 패했다고는 하지만 고구려측에서 봤을 때 공손정권은 상당히 위험한 적국임에 틀림없었다. 그렇게 요동에서 공손정권이 세를 확장하자 고구려는 요동진출의 장애가 되는 공손정권을 제거하기 위해서 오와의 관계를 끊고 위와의 국교관계를 강화한다(徐榮洙 1987).
이후 고구려는 238년 위가 공손정권을 공격하자 양평성 전투시 천여 명의 군사를 파견해 위를 도와준다. 이는 요동에서의 기득권을 차지하기 위함이었지만 공손정권이 차지하고 있던 영토와 인구를 위가 전부 차지하면서 양국의 관계는 불편하게 된다. 이듬해부터 위는 요동군의 관리와 백성들을 산동반도로 이주시키기 시작하는데 이는 아마도 고구려의 압력에 대한 불안감이 고조되었기 때문이 아닐까 싶다.
실제 242년 서안평을 공격한 고구려는 위와 정면으로 충돌하게 된다(吳舜濟 1998). 245년 위는 유주자사 관구검을 파견하여 고구려를 공격하게 하는데 2차례의 승리에 도취된 동천왕의 착오로 인해 고구려는 결국 결정적인 패배를 당하고 도성은 파괴된다. 이후 중천왕대에 왕의 아우들이 반역을 도모했다가 처형당하고 관나부인이 왕후를 참소하며 왕의 권위에 도전했다가 역시 목숨을 잃은 점 등을 보면 관구검에게 도성이 파괴된 이후, 내부적으로 혼란스러운 정국이 지속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 시기에 고구려는 요동 지역에 대한 끊임없는 진출을 모색했지만 결국 실패하고 말았는데 결정적인 원인으로는 동천왕과 고구려 군사정책 입안자들의 판단착오가 가장 컸다고 할 수 있다. 고구려로서는 주적이자 시급한 격퇴 대상인 공손정권을 공격하는 것이 당시 적절한 선택이었는지 모른다. 그러나 공손정권은 전력적으로 고구려가 맞대응할 수 있는 상태였고 지정학적으로 화북의 통일정권인 위 왕조와의 사이에서 완충 역할을 할 수 있었다. 반면 위 왕조의 입장에서는 공손정권을 멸망시킬 경우, 2차적 과제는 당연히 고구려 제압이었다(윤명철 2003: 96). 그런 상황에서 장차 국경을 마주하게 될 위 왕조에 대해 충분한 대안책을 고려하지 못한 것은 큰 실책이었으며 관구검 침입시, 2차례의 승리에 고무되어 경솔하게 소규모 부대만 이끌고 관구검과 정면대결을 펼쳐 격파당한 것 역시 큰 실책이었다.
그 결과, 고구려는 이전에 진출했던 혼하 상류유역에서 더 진출하지 못 한 채 다시금 기회를 엿볼 수밖에 없는 상황이 되었다.
4. 모용선비 및 북위 왕조와의 대립시기
3세기 말까지만 해도 고구려의 서북 변경은 위 왕조와 모용선비의 침입으로 불안했으나 4세기로 접어들면서 서북 변경의 정세는 고구려에 매우 유리하게 전개되기 시작했다. 4세기 초 중국에서는 ‘8왕의 난’이 일어나 서진이 망하고 이후 남북조시대라고 불리게 될 300년간의 혼란기가 찾아오게 된다. 그 사이 고구려는 311년 요동군 서안평을 점령하고 313~314년에는 낙랑군과 대방군까지 차지하였다. 또한 315년에는 요하와 혼하 사이에 있었던 것으로 추정되는 제3현도군까지 차지함으로써 고구려의 서변은 요하 유역까지 이르렀다(서병국 1997: 87-88).
이 무렵, 모용선비의 수장 모용외는 서진이 멸망하는 316년을 전후하여 유민 수만 명을 받아들여 대릉하 상류지역과 산해관 지역 일대에 4개 군을 신설함으로써 막강한 세력을 형성하였다(池培善 1986: 44; 千寬宇 1989: 105). 당시 중국 대륙에는 330년 수립된 후조가 황하 유역을 중심으로 세력을 확장하고 있었으며, 그 북쪽에 위치한 모용선비의 전연과 유구 북방에서 대치하는 형세였다. 미천왕은 이 같은 양대 세력의 대립 상황을 전략적으로 이용하여 후조가 전연을 견제하는 동안 요동지역으로 세력을 확산시키려 하였다.
그에 따라 신성을 새로운 군사거점으로 삼아 군사력 확충에 박차를 가했으며 고국원왕 역시 신성을 중요하게 여겼다. 하지만 338년 후조를 제압한 전연은 고구려를 공격하였고 341년에는 요동반도 서쪽 해안지역의 평곽에 군대를 주둔시켰다. 천산산맥 이서의 평곽을 전연이 장악함으로써 고구려의 요동 진출은 번번이 실패할 수밖에 없었으며, 결국 모용황은 대군을 거느리고 고구려를 침공하게 된다.
고국원왕 12년(342) 모용황이 정병 4만 명을 거느리고 고구려를 쳐들어 왔을 때, 고구려는 적군의 예상 침입로를 잘못 판단하여 참패를 당한 끝에 왕은 단기로 피신해야 했고 환도성은 함락되기까지 했다. 이때 왕모와 왕비를 비롯하여 5만여 명의 백성이 전연으로 끌려가고 고국원왕의 아버지인 미천왕의 무덤까지 파헤쳐졌다. 고구려는 작전의 융통성을 확보하지 못함으로써 연군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은 병력이 시간만 허비하는 遊兵化 현상을 초래했던 것이다(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2005: 100).
이후 370년 전연은 새로 등장한 전진에게 멸망당하고 2년 뒤 전진과 고구려는 사절과 승려를 교환하면서 우호적인 관계를 맺는다. 하지만 384년 전진이 무너진 뒤 모용선비 정권인 후연이 등장하고 화북의 혼란을 피해 유주 · 기주 지방의 유민이 다수 고구려로 유입되기 시작한다. 고국양왕은 일단 385년 6월 4만군을 파견해 요동군과 현도군을 함락하지만 11월 모용농이 이끄는 대군에게 다시 요동군과 현도군을 빼앗긴다. 당시 백제를 상대로 예성강 일대에서 전쟁을 치루고 있던 고구려였기에 2개의 전선을 유지하기는 무리였을 것이다(李基東 2005: 293).
하지만 광개토태왕릉비를 보면 광개토태왕이 395년 비려를 정벌하고 말머리를 돌려 양평도를 지나 북풍 등지를 시찰했다는 기록이 등장한다. 북풍은 요동군 8개 현 중 하나로 이는 395년 이전에 고구려가 요동군을 차지했다는 반증이 될 것이다. 실제 405년 후연왕 모용희가 고구려 요동성을 공격했다가 패퇴하는데 이를 통해 봤을 때 고구려가 요동군을 차지한 시기는 385~395년 사이로 보인다. 이처럼 405년 모용희의 요동성 공격을 격퇴하고, 406년에는 목저성 공격마저 격퇴함으로써 고구려는 요동지역을 완전하게 장악하게 되었다.
이후 후연의 모용희가 풍발 등에 의해 살해되고 모용운이 즉위하면서 고구려는 북연과 우호관계를 맺게 되었다. 당시 북연은 북위의 압박에 위축되어 있었고 북연왕 풍홍은 비밀리에 고구려에 망명의사를 타진하게 된다. 이에 북위로부터 북연과의 교섭 만류를 받았지만 고구려는 요서 깊숙이 군대를 보내 북연의 수도인 화룡성에 입성했다. 이때 수만의 백성과 각종 물자를 호위하는 고구려군의 행렬이 80여리에 달했는데 북위군은 그 위세에 눌려 정면대결을 하지 못 했다. 이런 군사적 우위를 바탕으로 고구려는 북위와 평화적 관계를 유지했으며, 몽골고원의 패권을 장악한 유연과 우호적인 관계를 맺고, 더 나아가 장수왕 67년(479)에는 유연과 지두우족을 분할 점령한 후 거란족에 대한 압박을 가중시키기도 했다(서영대 2007: 191).
이후 고구려는 요하 이서 지역까지 군사작전범위를 넓혀(김용만 2003: 350~354), 훗날 수 · 당이라고 하는 강력한 적의 침입에 맞설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하게 되었던 것이다.
5. 수 · 당 왕조와의 대립시기
5세기 대 동아시아의 국제질서는 중국의 북위와 남조, 북아시아 초원지대의 유연 및 서역의 토욕혼, 동방의 고구려를 중심축으로 이들 국가 사이의 역관계에 의해 세력 균형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이러한 국제 질서를 배경으로 고구려, 백제, 신라 및 말갈, 거란 등 여러 세력이 포진하고 있었던 동북아시아에는 북방과 중원 세력의 영향과 침투로부터 자유로운 상황에서 고구려 중심의 세력권이 형성되어 있었다.
그러나 6세기 말, 북주 정권을 탈취한 양견이 국호를 隋로 고치고 장안에 도읍하니 그가 바로 수 문제다. 그는 590년 노골적인 경고성 국서를 보내고 영양왕은 598년 1만의 말갈병을 이끌고 요서를 선제공격했다. 직후 수 문제는 30만 대군을 이끌고 고구려를 공격했으나 제대로 전투 한번 못 치르고 패퇴하고 말았다. 수 문제의 뒤를 이은 수 양제는 612~614년에 걸쳐 3차례나 고구려를 공격했지만 고구려 요동 방어망의 중심지인 요동성을 끝내 함락시키지 못한 채 패퇴할 수밖에 없었다. 4차례에 걸친 고-수 전쟁으로 인해 수 왕조는 결국 멸망에 이르고 말았던 것이다(임기환 2007: 288-298).
이후 등장한 당 왕조 역시 고구려와 국운을 걸고 대립했다. 644년 당 태종은 고구려 정벌 준비를 서두르고 645년 요하를 도하한다. 고구려는 현도성과 신성, 건안성을 지켜냈지만 개모성을 함락시킨 당군은 요동성을 함락시키며 전황을 타개한다. 하지만 안시성과 주필산 전투에서 크게 패함으로써 당군은 퇴각을 결심한다(김용만 2003: 148-158). 이후 647년 국경지대에서 소규모 전투가 산발적으로 벌어지지만 이 역시 큰 효과를 얻을 수 없었고, 당 태종은 649년 숨을 거두고 만다.
660년 당 고종은 다시금 고구려를 공격하지만 6명의 사령관 중 3명이 죽고 3개 행군이 전멸되거나 와해되는 참패를 당한다(김용만 2003: 265). 하지만 666년 연개소문의 아들들 사이에서 권력 다툼이 일어나고 연개소문의 장자 연남생이 당으로 투항하자 당 왕조는 667년 3차 침공을 감행한다. 그 결과, 신성 주변 16개성이 함락됨과 동시에 부여성 주변 40성이 항복하면서 요동과 서북의 요충지들을 차례로 잃어버린 고구려는 668년 9월 멸망하게 된다.
고구려의 멸망으로 인해 5세기 이래 유지되던 다원적 국제질서가 붕괴되고(노태돈 1988), 동아시아는 중국 중심의 일원적 국제 질서로 개편되기에 이르렀다.
Ⅲ. 압록강 유역 성곽방어체계
현재까지 압록강 중 · 상류 일대에서는 약 40여개의 고구려 성이 확인되었다. 몇몇 평지성을 제외하면 대부분 돌로 쌓은 산성으로 주로 하천이나 계곡 연안 교통로상의 전략적 요충지에 자리 잡고 있다. 특히 혼강의 각 지류에 조밀하게 분포하고 있는데, 이는 이러한 지류들이 요동방면에서 국내성으로 나아가는 교통로상의 전략적 요충지들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지역의 고구려성은 국내성을 중심으로 하는 군사방어체계와 밀접한 연관을 가지면서 축조되었다고 추정된다.
1. 평지성과 산성의 도성방어체계
國內城과 山城子山城이 위치한 통구분지는 압록강과 노령산맥으로 가로막힌 천혜의 요새지로서 400여 년간 고구려의 수도가 위치했던 지역이다. 통구분지 서쪽 평원상의 국내성은 평상시의 도성으로 추정된다. 2.7㎞에 이르는 성벽과 궁궐터로 추정되는 대규모 건물터 등이 이를 반영하는데 성벽 단면을 발굴한 결과, 국내성은 본래 토성이었다가 이를 기초로 석성을 축조한 사실이 밝혀졌다. 더욱이 토성에서는 청동기시대 석기만 출토되는 것으로 보아 국내성 천도 이전에 이미 축조되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이에 비해 산성사산성은 국내성 서북 2.5㎞의 산에 자리 잡고 있으며, 사방이 가파른 산비탈과 절벽으로 둘러싸인 방어용 산성이다. 다만, 산성자산성 내부에 길이 90여m에 이르는 궁궐터가 있는 것으로 보아 때로는 임시 도성으로 삼기도 하였다고 추정된다.
이처럼 국내성기에는 국내성과 산성자산성, 곧 평지성과 산성을 한 조로 하는 도성방어체계가 갖추어져 있었다. 이러한 현상은 고구려의 첫 번째 도읍이 있었던 환인분지에도 적용 가능하다. 환인분지에서 가장 험준한 五女山城은 대체로 첫 번째 수도였던 卒本城 또는 紇升骨城으로 비정된다. 해발 820m의 산 정상에 자리 잡고 있고, 사방이 수직절벽과 높은 산봉우리로 둘러싸여 있는 오녀산성은 군사방어상으로는 천혜의 요새지만, 일상적으로 거주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은 입지조건이다.
오녀산성의 평지성으로는 환인댐 수몰지구의 喇哈城이 유일하다. 나합성은 쐐기형 돌로 축조되었다는 점에서 고구려 성일 가능성이 높지만 졸본성으로 비정할만한 명확한 근거는 없다(田中俊明 1994). 이에 下古城을 졸본성으로 비정하기도 하지만(蘇長淸 1985) 이는 오녀산 동쪽이 아니라 서남쪽에 위치하고 있어 재고의 여지가 있다. 즉, 현재의 고고학 자료로는 평지성을 명확하게 비정할 수는 없지만, 오녀산성의 입지조건상 졸본지역에서 평지성 · 산성을 한 조로 하는 도성방어체계가 구축되었을 개연성은 매우 높다고 하겠다.
2. 도성 외곽의 호형방어선
노령산맥 일대의 관애 · 산성은 분포지역에 따라 5그룹으로 묶을 수 있다.
첫째, 대라권구하 유역의 이도구문관애와 석호관애가 있다. 양자 모두 토석혼축이며, 특히 석호관애의 경우 하류 쪽에 반원형 치와 참호가 있어 대라권구하를 거슬러 통구분지로 향하는 통로를 차단했던 것으로 파악된다. 둘째, 청하 유역의 관마장산성과 대천초소를 들 수 있다. 특히 관마장산성은 북벽 바깥에만 참호가 있어 청하를 거슬러 통구분지로 향하는 통로를 차단하던 방어시설로 파악되며 대천초소는 그 전방초소로 보인다. 셋째, 신개하 유역의 패왕조산성과 망파령관애가 있다. 신개하 하구의 패왕조산성은 혼강에서 신개하로의 진입로를 봉쇄할 수 있는 요새지이고, 상류의 망파령관애는 신개하를 거슬러 판차령으로 향하는 교통로상의 요충지이다. 넷째, 환인 지역의 성장립자산성, 와방구산성, 북구관애 등은 환인현성에서 혼강 하류방면으로 가다가 집안 경내로 진입하는 도로변에 위치하고 있다. 다섯째, 압록강변의 칠개정자관애와 만구노변장관애가 있다. 압록강을 항해하는 배들은 대부분 양수천자하나 외차구하 일대에 정박한 다음, 육로를 이용하여 집안시로 나아갔는데 이들 관애는 이러한 수륙로를 봉쇄하는 수상교통로상의 군사방어시설들이었다(吉林省文物志編委會 1984: 80-81).
노령산맥 일대의 관애와 산성은 혼강에서 통구분지로 나아가는 거의 모든 교통로를 봉쇄하고 있고, 압록강변의 관애 역시 압록강을 거슬러 통구분지로 향하는 수륙로를 차단하고 있다. 이들은 도성을 방어하기 위해 구축된 방어시설로서(채희국 1985; 박창수 1988) 도성 외곽에 활처럼 분포되어 있다는 점에서 도성 외곽의 호형방어선이라 명명할 수 있겠다.
3. 혼강 우안의 호형 · 축선방어체계
혼강 우안 일대의 성 가운데 평지성인 환인 하고성, 나합성, 동고성 · 서고성, 통화 적백송고성 등은 군사방어시설로 단정할 만한 명확한 근거가 없다. 특히 통화 적백송고성은 고구려 시기에도 사용되었는지 불분명하며, 동고성 · 서고성은 아직 흔적조차 확인되지 않았고, 나합성도 고구려 시기 석성이라는 점만 밝혀졌을 뿐이다. 이들을 제외하면 이 일대의 성은 군사방어시설의 성격을 강하게 지닌 것으로 추정된다.
환인지역의 성 가운데 현재의 교통로로 보아 마안산성은 소자하나 태자하 유역에서 환인분지로 들어오는 교통로, 고검지산성은 태자하에서 환인분지로 들어오는 진입로의 길목을 차단하던 군사방어시설로 추정된다.
혼강 지류인 부이강 일대에서는 8개의 산성이 확인되고 있다. 이 가운데 가장 상류의 고 각산산성은 부이강 상류에서 부이강 하류방면과 통화방면 교통로가 나뉘는 분기점에 위치하였다(王錦厚·李建才 1990). 이를 제외한 이 일대의 산성은 두 그룹으로 세분되는데 부이강 상류에서 하류 방면으로 내려가는 교통로와 관련된 흑구산성, 전수호산성, 사도구산성, 건설산성 등이 그 하나이고, 부이강 상류에서 통화현성으로 향하는 교통로와 관련된 부이강 지류 삼과유수하변의 의목수고성, 남태고성, 태평구문고성 등이 다른 하나이다.
그 밖에 둘레 2.7㎞의 대형 석성인 통화 자안산성을 꼽을 수 있다. 자안산성은 주변에 고구려 초기 적석총이 상당수 분포하고 있으며, 휘발하~용강산맥~통구분지, 부이강 상류~나고하~통구분지를 거치는 교통로 상에 위치한 전략적 요충지로서 단순한 군사시설이라기보다는 지방지배의 거점으로도 기능했던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이처럼 혼강 서북부의 여러 성들은 태자하나 소자하에서 환인분지 서부로 들어오는 교통로, 소자하 상류에서 부이강이나 나고하를 거쳐 혼강으로 향하던 교통로, 휘발하 유역에서 용강산맥을 넘어 혼강으로 향하던 교통로 등을 각각 차단하기 위해 축조되었다. 노령산맥 일대의 관애 · 산성이 도성 외곽의 군사방어시설이었다면, 이들은 압록강 중류일대 전체를 방어하기 위한 군사방어선이라 할 수 있다. 즉, 혼강 우안의 성들은 전체적으로 도성 외곽의 호형방어선과 국경지대의 축선방어체계의 과도기적 양상을 보여줄 뿐 아니라, 공간상으로는 국경지대의 축선방어체계를 도성 외곽의 호형방어선으로 전환시키면서 양자를 유기적으로 결합시키고 있다고 할 수 있다(余昊奎 1998: 47).
Ⅳ. 요하 유역 성곽방어체계
현재 요하 유역의 고구려 성은 중하류의 동쪽 지역에서 주로 발견되고 있으며, 대평원지대보다 지류 연안의 하곡평지에 주로 분포되어 있다. 그 가운데 혼하와 태자하 유역에 가장 조밀하게 분포되어 있으며, 다른 지류 연안에는 대평원에서 하곡평지로 진입하는 길목 곧 대평원과 산간지대의 접경지역에 자리 잡고 있다. 이러한 분포현황은 고구려사의 전개과정 특히 군사방어체계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余昊奎 1999a: 15-17).
1. 혼하 · 태자하 중상류의 산간지대
이 지역에서는 현재까지 평지성을 포함하여 20기가 넘는 고구려 성이 확인되었는데 소형성보를 제외하면 대체로 하천 연안로를 따라 축조되어 있다.
요동평원과 압록강 중류일대를 왕래하던 주요 교통로였던 혼하~태자하 연안로를 살펴보면, 하류방면에서 요동평원과의 접경지역인 무순에 고이산성, 소자하 · 혼하 합류지점으로 소자하로 진입하는 길목에는 철배산성, 소자하 · 혼하 합류지점~목기진 사이의 전략적 요충지인 득승보댐 일대에는 오룡산성, 소자하 하류 방면의 양안이 협소해지는 목기진 일대에는 하서촌고성, 환인 동북로와 서북로가 갈라지는 영릉진 일대에는 영릉진고성과 이도하자구노성 등이 각각 자리 잡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태자하 중상류에서도 나타난다. 즉, 태자하 양안의 연안로를 따라 하류방면에서부터 유관산성→하보산성→태자성→채송산성 등의 순으로 위치해 있다(田中俊明 1997: 35-37).
이 지역의 고구려 성이 하천 연안로를 따라 분포한 것은 지역특징과 밀접히 연관되어 있다. 혼하~소자하 연안로는 고구려 초 이래 압록강 중류 일대와 요동지역을 잇던 가장 중요한 교통로였는데, 고구려는 현도군 등 중국 세력과 각축을 벌이면서 이 일대로 진출하였다. 1세기 말~2세기 초경에는 혼하 방면의 제2현도군을 몰아냈으며, 3세기 후반부터는 혼하 일대 진출을 적극적으로 실시하여 요동평원과의 접경지대인 무순 일대를 장악하였다. 그렇지만 4세기에도 여전히 전연과 요동지역을 놓고 치열한 각축전을 벌였으며, 342년에는 혼하~소자하로를 통해 진공한 전연군에게 수도를 함락당하기도 했다(余昊奎 1995; 田中俊明, 金希燦(역) 1999).
이에 고구려는 신성을 비롯하여 남소성, 목저성 등을 축조하고 지배력을 공고히 하기 시작했다. 이러한 성은 기본적으로 전연 등의 침공을 방어하고 요동으로 진출하기 위한 전초기지, 곧 군사거점의 성격이 강하였다. 그리하여 이 일대의 성은 혼하~소자하 연안로의 전략적 요충지에 축조되었고, 군사방어 기능이 우선시됨에 따라 철배산성과 같은 산정식산성, 포곡식산성이라도 오룡산성처럼 산간형 또는 고이산성처럼 산간형 · 돌출형의 과도기 형태인 산줄기형이 축조되었다.
이러한 산성들은 시간이 흐르면서 군사방어 기능에만 치중했던 압록강 중류일대의 산성식산성들과 달리 점차 포곡식으로 전환되었다. 태자성 내성과 외성이 성돌 · 옹성구조 등에서 뚜렷이 구별되며 상이한 시기에 축조되었다는 견해(無順市博物館 1992: 322-323)는 이러한 점에서 유의할 필요가 있다. 태자성 내성은 산정식이며, 외성은 포곡식이다. 따라서 내성과 외성이 다른 시기에 축조되었다면 이는 성의 기능 변화와 관련될 가능성이 높다. 즉, 산 정상부에 군사방어시설로 내성을 축조하였다가 지방통치조직이 정비되면서 계곡과 완만한 경사지를 포괄하여 지역지배를 위한 거점성으로서 외성을 축조하였다고 추정된다(林起煥 1998: 94-95).
이 지역의 성들은 石城이 비교적 많은 편인데, 석성은 대체로 낭떠러지나 절벽을 끼고 있어 지세가 험준하며 이를 천연성벽으로 이용하기도 한다. 즉, 지형이 험준하면서 석재를 구할 수 있는 지역이면 어느 곳이든 석성을 구축했음을 알 수 있다. 석성이 토성이나 토석혼축성보다 일찍 출현하였고, 특히 토축성벽은 4세기 이후(辛占山 1994: 34-37) 또는 요동평원 진출 이후(李殿福 1994: 220-222)에 비로소 축조하였다고 보기 때문에 시기적으로 이 지역의 성들이 이른 시기에 축조되었음을 다시 한 번 확인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혼하 · 태자하 중상류 일대의 산성은 기본적으로 국내성을 중심으로 하는 압록강 중류일대를 방어하기 위한 목적에서 축조되었다. 이들은 혼강 우안의 흑구산성, 마안산성 등과 상호 연계되어 4세기 전반 국경지대에서 수도에 이르는 입체적 군사방어체계를 구성하였다(余昊奎 1998). 그리고 645년 국내성과 신성의 군사 4만을 동원하여 요동성 구원에 나선 것이나 666년 남생이 당에 투항할 때 당군이 남소성을 비롯하여 목저성, 창암성 등을 차례로 격파한 다음 국내성에 웅거하고 있던 남생과 회합한 것을 보면 혼하~소자하 연안로의 군사방어체계는 고구려 멸망시까지 유지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혼하 · 태자하 중상류 일대에는 소형성보가 많이 분포되어 있다. 이러한 소형성보는 소자하 연안의 경우 영릉진고성 · 이도하자구노성, 혼하 연안의 경우에는 노동공원고성 · 고이산성을 중심으로 분포되어 있다. 이를 통해 봤을 때 혼하~소자하 일대에서 가장 중요한 요충지인 영릉진과 무순 일대에 지역거점성을 중심으로 하는 위성방어체계가 구축되었음을 의미한다. 667년 당의 이적이 신성을 함락시킨 다음 주변의 16성을 한꺼번에 격파하였다는 것은 이러한 위성방어체계를 반영하는 기록이라 하겠다(권오중 2005: 38).
2. 요하 하류~천산산맥과 요동평원
이 지역에는 10기 가량의 성이 분포하고 있다. 고구려가 요동평원을 완전히 장악한 것은 대체로 4세기 말~5세기 초이기 때문에 이 지역의 성들은 고구려가 요동지역을 완전히 장악한 5세기 대에 구축되었을 가능성이 가장 높다(盧泰敦 1996). 문헌자료상 이 지역의 성은 주로 7세기 전반 고-수, 고-당 전쟁에 등장하지만 백암성은 547년 신성을 수축할 때 함께 개축하였으며 551년에는 돌궐의 공격을 받기도 했다. 이는 백암성이 6세기 중반 이전에 축조되었음을 보여주며 안시성으로 비정되는 영성자산성에서는 5세기 중후반으로 편년되는 적갈색 연운문와당편이 출토되기도 하였다(林植樹 1994: 55).
둘레 2.5㎞인 영성자산성은 5㎞에 이르는 고려성산성(건안성으로 추정)에 비해 규모상 작을 뿐 아니라 지방제도상으로도 한 단계 아래였다. 그러므로 고려성산성을 비롯한 이 지역의 주요 산성은 늦어도 영성자산성이 축조되는 시기에는 축조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고구려의 요동진출 시기, 영성자산성의 축성시기 등을 고려한다면 이 지역의 대체로 5세기 중반을 전후하여 동시에 축조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이는 이 지역의 성이 일정한 계획 아래 구축되었음을 의미한다.
이들 성은 요하 도하로 및 요동평원에서 천산산맥을 넘어 압록강 일대로 향하는 교통로와 밀접한 연관관계가 있다. 요하 도하로는 세 갈래가 있는데(王綿厚·李建才 1990: 140-152) 북로를 통해 요하를 도하한 다음 번양을 거쳐 천산산맥으로 나아가는 길목에는 심양 탑산산성과 본계 변우산성이 자리 잡고 있다. 그리고 중로를 도하한 다음 천산산맥으로 진입할 경우에는 북쪽의 요양이나 남쪽의 해성을 통과하는 두 루트가 있는데, 북쪽에는 요동성, 백암성, 고수산성이 남쪽에는 영성자산성이 있다. 그리고 남로를 도하하여 천산산맥으로 나아가는 루트에는 영성자산성을 비롯하여 마권자산성, 고려성산성 등이 위치하였다.
또한 이들 성은 요동평원에서 천산산맥을 넘어 압록강 일대로 향하는 교통로와도 밀접한 연관관계가 있다. 먼저 본계~봉성로의 북쪽 진입로인 심양~본계로에는 탑산산성과 변우산성, 요양~본계로에는 요동성, 백암성, 고수산성이 각각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해성~수암로의 길목에는 영성자산성, 개주~장하로의 길목에는 고려성산성이 각각 위치하였으며 대청하에서 수암으로 나아가는 산간로 입구에는 마권자산성이 위치하고 있다.
이처럼 이 지역의 성은 요하를 건너 요동평원을 거쳐 천산산맥을 횡단하여 압록강 일대로 나아가는 각 교통로의 전략적 요충지에 위치하였다. 고구려는 5세기 이후 요하와 요동평원에서 중후기 수도인 평양성으로 향하는 교통로에 튼튼한 요새를 구축하였던 것이다. 요하하류~천산산맥 구간의 고구려 성은 기본적으로 중후기 수도인 평양성을 방어하기 위해 축조된 것이다. 이러한 점에서 이들 성을 고구려 서북방어체계의 전연방어성으로 파악한 북한학계의 견해는 경청할 만하다(사회과학원 력사연구소 1979: 122-130).
천산산맥 횡단로에는 진입로 입구뿐 아니라 초하연안(본계~봉성로), 대양하연안(해성~수암로), 벽류하연안(개주~장하로) 등 동남방면에도 성곽이 조밀하게 분포되어 있다. 이는 전연방어성과 종심방어성이 유기적으로 연관되어 국경지대에서 수도에 이르는 지역에 입체적 군사방어체계를 구축하였음을 의미한다. 즉, 요하하류~천산산맥의 성은 국경지대에서 중후기 수도인 평양성에 이르는 입체적 군사방어체계의 일부로 구축되었으며, 그 가운데 전연방어성의 기능을 지녔던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요하하류~천산산맥의 성은 전연방어성 상호간에, 또 후방의 종심방어성과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입체적 군사방어체계를 구성하였을 것으로 추정한다.
실제 645년 당 태종이 백암성을 함락하고 안시성을 공격하기에 앞서 이적에게 군사 방어력이 견고한 안시성보다 미약한 건안성을 먼저 공격할 의사를 비추자 이적은 안시성을 건너뛰어 곧바로 남쪽의 건안성을 공격했다가 북쪽의 요동성과의 보급로가 끊기게 될 것을 우려해 반대했다. 또한 당에 투항한 고연수 · 고혜진이 오골성을 거쳐 곧바로 평양성으로 진격하자고 건의하자 장손무기는 오골성으로 곧바로 향하면 건안성, 신성의 고구려군이 배후를 공격할 것을 우려하여 역시 반대하였다.
645년 고구려를 침공하였던 당군이 각 성을 차례로 함락시키지 않고 당 태종의 말처럼 어느 성을 건너뛰어 다른 성을 공격하거나 고연수 · 고혜진의 건의처럼 진입로 입구에 위치한 성을 함락시키지 않고 곧바로 압록강 일대로 진격할 경우에는 보급로를 차단당하거나 배후에서 기습공격당할 위험을 감수해야 했다. 그리하여 당군은 세 갈래의 요하 도하로를 통해 요동평원으로 진공한 다음, 이적이나 장손무기의 말처럼 개모성 → 마미성 → 요동성 → 백암성 → 안시성 등 위쪽 루트에 위치한 성부터 차례로 함락시킨 다음 압록강 일대로 진격하는 전술을 구사하였다(余昊奎 1999b).
한편, 이 지역의 성들은 대부분 충적평지 방향으로 뻗어 나온 산줄기의 끝자락에 위치한 돌출형 포곡식산성이다. 산성 내부에는 평탄한 대지가 비교적 넓은 편이며 성벽 안쪽의 산비탈에는 계단식 대지를 많이 조성하였다. 영성자산성의 경우 둘레 2.5㎞로서 비교적 대형 산성에 속하는데 산성 내부에는 골짜기를 따라 평탄한 대지가 넓게 자리 잡고 있으며, 산등성이 안쪽의 완만한 경사면에는 계단상 대지를 조성하여 주거용 공간을 최대한 확보하려고 노력하였다. 개주 고려성산성도 총둘레 5㎞를 넘는 초대형 산성이면서 내부에는 아주 넓은 평지가 펼쳐져 있다.
따라서 이 지역의 산성은 군사방어뿐 아니라 지방 지배를 위한 거점성으로서 지류 연안의 충적평지 일대를 관활하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더욱이 건안성의 전신인 평곽에는 한대에 ‘鹽官’과 ‘鐵官’이 설치되었다고 하는데, 고려성산성 앞쪽에 요동만이 있다는 점을 상기하면 고구려 때에도 주변 일대의 소금과 철을 총괄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3. 요하 중상류~길림합달령산맥
이 지역에서도 10여기의 성이 확인된다. 성은 대부분 포곡식 산성으로 하천연안의 충적평지로 뻗은 산줄기의 끝자락에 위치한 돌출형의 비중이 높다. 이 지역의 성은 대략 세 지역으로 나누어진다. 먼저 동북대평원에서 범하, 구하 등 지류연안으로 진입하는 길목에 위치한 석대자산성, 최진보산성, 청룡산고성, 마가채산성, 용담사산성 등이다. 다음으로 길림합달령산맥 방면으로 40~50㎞ 정도 들어온 지점의 개원 고성자산성과 서풍 성자산산성 등이 있고 마지막으로 동요하의 발원지인 요원지구의 용수산성, 공농산성, 성자산산성 등을 들 수 있다.
그런데 특이하게 이들 각 성의 입지조건이나 축성방식이 지역마다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어 주목된다. 먼저 서풍 성자산산성의 경우 토축 혹은 토석혼축이 아닌 석성이며 자연절벽을 천연성벽으로 삼기도 했다. 입지상으로도 돌출형이 아닌 산간형인데 이는 압록강 중류일대의 초기 산성에서 많이 확인된다. 특히 서문의 어긋문식 옹성은 국내성이나 오녀산성에서 확인되는 초기 옹성으로 분류되며, 남벽의 방형구멍도 초기 산성에서 주로 확인된다.
더욱이 이 지역의 산성이 충적평지에서 곧바로 산성으로 진입할 수 있는 반면, 성산자산성은 골짜기를 따라 깊숙이 들어온 다음 진입해야 한다. 또한 다른 산성은 둘레가 1~2㎞의 중형 산성임에도 불구하고 내부에 평탄한 대지가 비교적 넓고 산비탈에 계단상 대지를 많이 조성한 반면, 성자산산성은 둘레 4㎞의 초대형산성임에도 평지가 협소하고 산비탈도 가파르다. 이에 산성 서쪽의 골짜기에 둘레 5㎞에 달하는 외위성을 축조하였는데 토성으로서 본성보다 늦은 시기에 축조되었다.
이러한 사실들은 성자산산성이 상대적으로 이른 시기에 군사 방어적 목적에서 축조되었다가 지방 지배를 위한 거점성의 기능을 강화하였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현상은 철령 최진보산성에서도 유사하게 확인되는데 이를 통해 봤을 때 최진보산성 역시 상대적으로 이른 시기에 축조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하겠다.
특히 성자산산성과 최진보산성은 지리위치상으로도 유사한 측면이 발견된다. 성자산산성은 연반하 상류를 따라 길림합달령을 횡단한 다음 휘발하를 통해, 최진보산성도 범하 상류를 따라 길림합달령을 횡단한 다음 혼하-소자하를 거쳐 각각 압록강 중류일대로 진입할 수 있다. 성자산산성과 최진보산성은 압록강 중류일대에서 요동평원을 거치지 않고 곧바로 요하 중상류일대로 진출할 수 있는 전략적 요충지에 위치한 것이다. 즉, 요하 중상류일대의 산성이 대체로 지류 연안으로 진입하는 길목을 방어하기 위해 구축된 반면, 이들은 압록강 중류일대에서 휘발하나 혼하를 거쳐 요하 상류로 나아가는 교두보를 확보하기 위해 축조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성자산산성과 최진보산성은 고구려가 요하 중상류 일대로 진출한 초기에 축조된 것으로 짐작된다. 다만 1세기 중반에 선비족의 일부를 복속시켰고, 2세기 전반에는 선비족과 연합하여 한군현을 공격한 것으로 보아 선비족의 본거지인 서요하 일대로 나아가는 중간지대인 이 지역과 일찍부터 관련을 맺었다고 파악된다. 특히 333~336년경 전연의 내분을 틈타 길림방면의 부여지역을 점령하였고, 346년에는 옛 부여지역으로 침공한 전연군을 물리친 것을 보면 4세기 중반에는 북류 송화강 일대와 함께 요하 중상류 일대를 장악하였다고 추정된다. 따라서 성자산상성과 최진보산성은 고구려가 요하 중상류일대로 진출하던 초기에 군사방어성으로 축조하였다고 추정할 수 있다.
이처럼 산간형 · 산줄기형 포곡식산성인 성자산산성과 최진보산성이 이른 시기에 축조되었다면 지류 연안의 진입로에 위치한 돌출형 포곡식산성은 이 일대에 대한 지배권을 어느 정도 확보한 다음에 축조된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축성법, 입지조건, 공간구성, 분포양상 등이 요하하류 천산산맥과 요동평원 일대의 산성과 유사하다는 점에서 비슷한 시기에 유사한 목적에 의해 축조되었을 가능성도 높다. 즉, 지류 연안으로 진입하는 길목을 봉쇄하는 군사 방어적 성격과 아울러 지류연안 일대를 지배 · 관할하는 거점성의 기능을 지녔던 것이다. 더욱이 요하 하류보다 중상류의 지류 연안에 충적평지가 더 많이 발달되어 있다는 점에서 지방 지배를 위한 성격이 더 크다고 할 수 있다.
Ⅳ. 결론
위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압록강 · 요하 유역의 방어체계는 지역별로 다양한 양상을 보인다. 먼저 압록강 유역의 경우 오녀산성과 국내성을 중심으로 한 평지성과 산성의 도성방어체계를 확인할 수가 있다. 그리고 도성 외곽 노령산맥 일대를 중심으로 한 관애 · 산성으로 구성된 호형방어선, 혼강 우안의 호형 · 축선방어체계가 구축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혼강 우안의 호형 · 축선방어체계가 국경지대의 축선방어체계와 도성 외곽의 호형방어선을 유기적으로 결합시키는 데서 알 수 있듯이 고구려 영역 전체에 걸친 입체적 군사방어체계가 확립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음 요하 유역의 방어체계를 보면 혼하 · 태자하 일대의 방어체계는 전기 수도인 국내성을 중심으로, 요하하류~천산산맥의 방어체계는 중후기 수도인 평양성을 중심으로 구축되었으며, 요하 중상류~길림합달령산맥의 방어체계는 양자가 복합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더욱이 요하 중상류에서 압록강 중류 일대로 향하는 길목에 위치한 성자산산성이나 최진보산성은 혼하 중상류의 성과 하나의 방어체계를 구축하고 있으며, 중상류의 각 지류연안으로 진입하는 길목에 위치한 산성은 요하~천산산맥의 성들과 함께 대흑산맥에서 천산산맥 서남단에 이르는 산성방어선을 이루고 있다. 요하 유역의 고구려 성은 동북대평원에서 대흑산맥~천산산맥의 지류연안을 통해 고구려 중심부로 나아가는 모든 진입로를 차단하면서 입체적인 군사방어체계를 구축하고 있는 것이다.
고구려가 입체적 군사방어체계를 운용하던 양상은 7세기 전반 고-수, 고-당 전쟁을 통해 살펴볼 수 있다. 특히 645년 당군이 세 갈래의 도하로를 통해 요하를 건넌 다음 천산산맥 횡단로의 입구를 위에서부터 차례로 공략하던 전황은 요하~천산산맥 일대의 교통로 상에 구축된 고구려의 입체적 군사방어체계가 어떻게 작동하고 있었는지를 잘 보여준다. 또한 648년 당군이 해로를 통해 압록강 하구를 침공하자 오골성, 안시성의 군사를 동원하여 구원한 사실은 전연방어성과 종심방어성과의 유기적 연관관계를 잘 보여준다.
특히 650년 이후 당군은 신성을 집중적으로 공격하였으며, 666~668년 당군의 최종 군사작전시에는 신성이 함락되자 각 방면의 성들이 순식간에 함락되는 사태가 발생했다. 이는 신성이 요동지역 군사방어체계에서 차지하는 위상이 어떠한지를 잘 알려주는 일이라 하겠다. 요하 하류와 요하 중상류, 그리고 동북대평원과 동부 산간지대 등의 접경지역에 위치한 신성은 요하 유역의 군사방어체계를 유기적으로 연관시키는 핵심 연결고리였던 것이다. 그리고 신성은 시기적으로도 요동평원과의 접경지역에 축조된 최초의 산성으로서 초기 방어체계를 중후기 방어체계로 전환시켜주는 매개고리이기도 하다.
또한 고구려 후기 성곽 방어체계를 논할 때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것이 바로 천리장성의 존재일 것이다. 631년부터 16년간 당 왕조와의 전쟁에 대비해 쌓았다고 알려져 있는 천리장성은 그간 만리장성과 같은 방벽의 개념으로 이해되어 왔다(여호규 2000: 184-191, 신형식 2000b: 71).
하지만 천리장성은 정작 고-당 전쟁시 그 존재가 확인되지 않는다. 이에 대해 천리장성이 방벽의 개념이 아닌 보축 작업한 여러 성들이 유기적인 입체적 군사방어체계를 형성한 것으로 보는 견해가 있어 주목된다(김용만 2003: 57-68). 실제로 고구려 내부에서는 고-수 전쟁 이후 천산산맥을 횡단하는 교통로를 강화할 필요성을 느꼈으며, 당 왕조가 고구려의 전승기념물인 경관을 헐어버리자 곧바로 위협을 느끼고 천리장성을 축조하기 시작한다.
이후 이러한 고구려의 성곽 방어체계는 당군의 세 차례 공격을 효과적으로 막아냈다. 3차 고-당 전쟁 때 동원된 당군의 규모는 무려 100만에 육박했으며 부여성 및 주변의 40여성이 함락되고, 신성 및 주변의 16개성이 함락됐음에도 고구려군 15만은 여전히 요동성, 안시성, 건안성에서 당군의 공격을 막아내고 있었다. 만약 천리장성이 만리장성과 같은 방벽으로 이뤄졌다면 이런 식의 저항은 불가능했을 것이다. 고구려 멸망 후에도 당 왕조에 항복하지 않은 성들이 존재한 것 역시 천리장성이 여러 성들이 유기적으로 연결된 입체적 군사방어체계였기에 가능했던 것이다.
고구려가 요하유역으로 끊임없이 진출하면서 점령지역에 축조하기 시작한 성들은 고구려가 요동지역을 안정적으로 차지한 이후에는 일관된 입체적 군사방어체계에 맞게끔 보축되기도 하고 증축되기도 하는 등 지속적인 변화가 있었다. 고-수 전쟁 이후 16년이라는 오랜 기간에 걸쳐 천리장성이 완성되면서 고구려의 성곽 방어체계는 완비되었다고 할 수 있겠다. 하지만 여러 차례 승전으로 인한 고구려 군사정책 입안자들의 경직된 전략 판단은 당군의 새로운 전략에 발 빠르게 대응하지 못 하는 결과를 가져왔고, 결국 총체적인 국력 저하로 고구려는 멸망했다고 할 수 있다(김용만 2003: 318-322).
참고문헌
과학백과사전 종합출판사, 1979,『조선전사』3.
孔錫龜, 1998,『高句麗 領域擴張史 硏究』, 書景文化社.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2005,『한국고대 군사전략』.
권오중, 2005, 「遼東郡 中部都尉와 高句麗의 新城」『연구총서』5, 고구려연구재단.
金瑛河, 1985, 「高句麗의 巡守制」『歷史學報』106, 歷史學會.
______, 1988.『三國時代 王의 統治形態 硏究』,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김용만, 1998,『고구려의 발견』, 바다출판사.
______, 2003,『새로 쓰는 연개소문傳』, 바다출판사.
金龍善, 1980, 「高句麗琉璃王考」『歷史學報』87, 歷史學會.
金賢淑, 1996,『高句麗 地方統治體制 硏究』, 경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______, 2005,『고구려의 영역지배방식 연구』, 도서출판 모시는사람들.
남일룡, 1995, 「평양지방의 고대토성」『조선고고연구』1995-2, 사회과학출판사.
盧泰敦, 1975, 「三國時代의 「部」에 關한 硏究」『韓國史論』2, 서울大學校 國史學科.
______, 1988, 「5세기 금석문에 보이는 고구려인의 천하관」,『韓國史論』19,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______, 1996, 「5~7세기 고구려 지방제도」『한국고대사논총』8, 가락국사적개발연구원.
______, 1999,『고구려사 연구』, 사계절.
류제헌, 1999,『중국 역사 지리』, 문학과지성사.
리순진, 1995, 「평양 일대에서 새로 발굴된 황대성에 대하여」『조선고고연구』1995-1, 사회과학출판사.
朴性鳳, 1995, 「高句麗 發展의 方向性 문제(南進發展論의 民族史的 再吟味)」『高句麗 南進經營史 硏究』, 백산자료원.
박용운, 2004, 「국호 高句麗 · 高麗에 대한 일고찰」『북방사논총』창간호, 고구려연구재단.
사회과학원 력사연구소, 1979,『조선전사』3, 과학백과사전출판사.
박창수, 1988, 「고구려 서북방 성방어체계의 위력」『조선고고연구』1988-3, 사회과학출판사.
서병국, 1997,『고구려제국사』, 혜안.
서영교, 2007,『고구려, 전쟁의 나라』, 글항아리.
서영대, 2007, 「장수왕과 평양 천도」『고구려의 정치와 사회』, 동북아역사재단.
손영종, 1997,『고구려사』2, 과학백과사전종합출판사.
______, 2000,『고구려사의 제문제』, 신서원.
徐榮洙, 1987, 「三國時代 韓中外交의 展開와 性格」『古代韓中關係史의 硏究』, 三知院.
申瀅植, 1995, 「遼東地方의 高句麗 遺蹟」『梨花史學硏究』22, 梨花女子大學敎 史學硏究所.
______, 2000a, 「고구려산성의 분포와 특징」『고구려산성과 해양방어체제 연구』, 백산자료원.
余昊奎, 1995, 「3세기 후반~4세기 전반 고구려의 교통로와 지방통치조직」『한국사연구』91, 한국사연구회.
______, 1998,『高句麗 城Ⅰ-鴨綠江 中上流篇-』, 國防軍史硏究所.
______, 1999a,『高句麗 城Ⅱ-遼河 流域篇-』, 國防軍史硏究所.
______, 1999b, 「高句麗 後期의 軍事防禦體系와 軍事戰略」『韓國軍事史硏究』3, 國防軍事硏究所.
______, 2000, 「고구려 천리장성의 경로와 축성배경」『국사관논총』91, 국사편찬위원회.
______, 2007, 「고구려의 기원과 문화 기반」『고구려의 정치와 사회』, 동북아역사재단.
吳舜濟, 1998, 「2세기末~3세기 中葉 高句麗의 遼東 進出에 對한 硏究」『선사와 고대』11, 한국고대학회.
윤명철, 2003,『고구려 해양사 연구』, 사계절.
______, 2006,『광개토태왕과 한고려의 꿈』, 삼성경제연구소.
李基東, 2005, 「高句麗의 勢力圈 遼東에 對한 地政學的 考察」『高句麗硏究』21, 高句麗硏究會.
이강래, 1994, 「대 이민족 투쟁과 애국심의 문제」『북한의 고대사 연구와 성과』, 대륙연구소출판부.
李丙燾, 1977,『國譯三國史記』, 乙酉文化社.
이송래, 1993, 「考古學的으로 본 高句麗建國 以前의 桓仁-集安地區의 文化社會性格(試論)」『馬韓·百濟文化』13, 원광대학교 마한백제문화연구소.
李龍範, 1966, 「高句麗의 成長과 鐵」『白山學報』1, 白山學會.
이인영, 2006, 「고구려지명의 지명어미에 대하여」『일본연구』27, 한국외국어대학교 일본연구소.
林起煥, 1998, 「高句麗 前期 山城 硏究」『國史館論叢』82, 國史編纂委員會.
______, 2007, 「고구려의 멸망과 계승」『고구려의 정치와 사회』, 동북아역사재단.
임용한, 2001,『전쟁과 역사-삼국편-』, 혜안.
조희승, 2004, 「고구려력사연구와 관련하여 제기되는 몇가지 문제에 대하여」『북한의 최근 고구려사 연구』1, 고구려연구재단.
池培善, 1986,『慕容燕의 中國化 政策과 對外關係』, 연세대학교 사학과 박사학위논문.
池炳穆, 1987, 「高句麗 成立過程考」『白山學報』34, 白山學會.
채희국, 1985, 「고구려의 성곽」『고구려력사연구』, 김일성종합대학출판사.
千寬宇, 1989, 「慕容廆의 遼東郡 · 玄兎郡 장악」『古朝鮮史 · 三韓史硏究』, 일조각.
황기덕, 1963, 「두만강 유역의 철기시대에 대하여」『고고민속』1963-4, 사회과학출판사.
吉林省文物志編委會, 1984,『渾江市文物志』.
馬大正 외, 서길수, 2007,『중국이 쓴 고구려 역사』, 여유당.
無順市博物館, 1992, 「遼寧新賓縣高句麗太子城」『考古』1992-4.
蘇長淸, 1985, 「高句麗早期平原城」『遼寧省本溪丹東地區考古學術討論論文集』.
辛占山, 1994, 「遼寧境內高句麗城址的考察」『遼海文物學刊』1994-2.
王綿厚 · 李建才, 1990,『東北古代交通』, 藩陽出版社.
魏存成, 1985, 「高句麗初中期的都城」『北方文物』1985-2.
劉明光(주편), 1998,『中國自然地理圖集』, 第2版, 中國地圖出版社.
劉威(책임편집), 1998,『遼寧省實用地圖集』, 哈爾濱地圖出版社.
李殿福, 1986, 「兩漢時代的高句麗及其物質文化」『遼海文物學刊』創刊號, 遼寧省考古博物館學會 · 省博物館 · 省考古硏究所.
______, 1994,『東北考古硏究』(二), 中州古籍出版社.
李殿福 · 孫玉良, 강인구 · 김영수(공역), 2005,『중국 학자가 쓴 고구려사』, 학연문화사.
林植樹, 1994, 「中國東北部の高句麗山城」『靑丘學術論集』5, 韓國文化財硏究振興財團.
田中俊明, 金希燦(역), 1999, 「성곽시설로 본 고구려의 방어체계」『高句麗硏究』8, 高句麗硏究會.
田中俊明, 1994, 「高句麗の興起と玄免郡」『朝鮮文化硏究』1, 東京大學敎.
________, 1997, 「高句麗前期 · 中期の遼東進出路」『朝鮮社會の史的展開と東アジア』, 山用出版社.
Basil Henry Liddell Hart, 주은식(역), 2004,『전략론』, 책세상.
첫댓글 이전에 작성했던 것은 요하 유역의 성곽방어체계에만 국한된 것인데, 이번에 답사자료집을 만들면서 압록강 유역의 성곽방어체계에 대한 내용도 집어넣었습니다. 하지만 분량이 무한정 늘어날 수 없기 때문에 전체적인 내용은 이전보다 간략하게 줄였습니다. 또한 도판은 이전 것과 거의 비슷해서 따로 기재를 안 했습니다. 이 성곽방어체계는 자연지형과 고고자료 및 당시 역사적 정황을 통괄해서 서술해야만 하는 부분인데 이번에 한번 어설프게 시도 해 봤다는데 의미를 두고 있습니다. 차후 공부를 더 해서 자세하게 정리를 하고 싶은 부분이기도 하고요. 그럼 모자란 글...읽어보시길 바랍니다.
끝임없이 노력하는 모습이 좋습니다. 북한 지역까지 계속해서 확대하면 좋은 논문이 나올 듯 합니다. 서일범 선생의 박사학위 논문을 적극 이용하면 좋겠군요.
아. 감사합니다. 아직 논문으로 확대할만한 연결고리는 못 찾았지만 앞으로 꼭 다루고 싶은 주제입니다. 서일범 선생님 논문은 저번에도 얘기를 듣고 참고하려고 했는데, 이런저런 사정으로(핑계지만...-.-;) 읽지 못 했습니다. 조언 감사히 받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