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정화조 시설 요즘은 신축에는 어느 곳이나 합병정화조를 써야 한다. 건축물 준공검사를 받으려면 2002년부터 전국적으로 오폐수 합병정화조를 설치해야 한다. 이런 부대비용은 수질대책 1권역에 속하는 지역에서는 400만에서 500만원 정도이고 일반지역에서는 130만원에서 170만원 정도 한다. 얼마 전, 우리 동네 어떤 집에서 신축을 하다 이름 없는 싸구려 정화조를 묻었다가 허가가 나지 않아 파내는 일이 벌어졌다. 인증 필증이 없고 유사품인데 싼 맛으로 시골 양반들이 묻었다가 준공이 안 떨어져 걱정하는 모습을 보았다. 합병정화조란 변기에서 나오는 오수와 폐수가 합해져서 폭기식의 정화작업을 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정화조 설치방법 정화조는 우선 집이 앉힐 자리와 하수물이 빠질 곳을 미리 알아두고 그 중간쯤에 묻는다. 건물에서 나와 하수처리가 되는 곳으로 내려 가다 건물에서 빠져 나와 있는 파이프 보다 높이가 낮게 위치를 정한다. 우선 바닥을 포크레인으로 파고 바닥에 시멘트 공구리를 비벼 사진과 같이 바닥에 버림 공구리를 친다. 그 다음에 정화조를 앉히고 물을 받는다. 흙을 메우기 전에 물부터 정화조에 받아놓고 집에서 나오는 배관과 정화조 앞에서 맨홀을 하나 묻어 거꾸로 냄새가 올라가지 않도록 방지한다. 그 전에 정화조 근처에는 전기 선을 뽑아놓아야 폭기를 돌릴 수가 있다. 정화조를 앉혀 놓은 다음에는 나중에 정화조 검사를 하기 위해서는 폭기가 잘 일어나는지 점검해야 한다.
건물의 이미지를 좌우하는 건 집의 모양과 외부 마감재료이다. 지붕이야 거의 슁글을 작업하지만 외부 사이딩 작업은 자기의 취향에 따라 이루어진다. 보통 사이딩은 흰색이나 원색을 느끼려고 하는 비닐과 시멘트 사이딩과 원목 느낌이 나게 하는 반통나무 사이딩과 베벨사이딩으로 나뉜다. 그렇지만 목조주택 하면 베벨 사이딩이야말로 목조주택의 느낌을 제일 받게 만든다. 베벨사이딩이 외벽 마감 재료 중 제일 비싸고 부담되는 목조주택 재료이지만 아무래도 목조주택 하면 시멘트 사이딩이나 비닐 사이딩 보다 나무 느낌이 나고 향기도 좋아 집 전체에서 느끼는 정서는 베벨사이딩이 최고라고 생각한다. 목조주택의 장점을 살리는 친환경적인 면에서도 그렇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건축업자들은 내부는 고급으로 하고 창호도 천 만원이 넘는 자재를 쓰면서도 제일 중요한(외관으로 볼때) 집의 전체 모양을 좌지우지 하는 사이딩을 몇 백 만원 절약하자고 시멘트나 비닐 사이딩을 붙이는 건 전체적인 건축비 배려로도 맞지 않는 일이다. 그리고 베벨사이딩이나 나무의 느낌은 세월이 흐르수록 잔잔하고 은은한 고풍적인 느낌을 준다. 그래서 나는 집을 지을 때 평당 200만원이든 300만원이든 무조건 사이딩은 베벨사이딩을 권하고 시작한다. 경량목구조에 베벨사이딩을 붙이고 살아야지 목조주택이라고 주장할 수 있는 것이지, 비닐사이딩이나 시멘트 사이딩을 붙이고 목조주택이라고 하는 건 말도 안된다고 생각한다.
한국형 목조주택이란?
|
인류가 그동안 만들어낸 모든 자재가 우리가 사는 주택을 짓는데 사용이 됩니다. 문명의 발전과 주택의 발전도 함께 갑니다. 우리에게 주택은 무엇입니까? 우리 삶에 중요한 내 집 인 만큼 집을 짓는 과정 하나하나 중요하지 않는 것이 없습니다. 콘크리트 타설 후 만 하루가 지나면 거푸집을 해체하시고 이틀쯤 더 양생을 시킨 후에 되메우기를 하셔야 콘크리트에 무리가 적습니다. 빨리빨리 서둘다가 되메우기 작업시 장비가 양생이 덜 된 옹벽을 건드리게 되면 문자 그대로 기초가 부실한 집을 짓게 되지요. 콘크리트가 양생이 되는 그 시간에 오배수 파이프 배관과, 밖으로부터 오는 냉기를 차단하기 위해서 옹벽 안쪽에 스티로폼 붙이는 작업을 하시면 됩니다. 콘크리트 양생 시간은 얼마나 되나? 콘크리트는 백년동안 굳어가고 백년동안 강도가 떨어져 간다는 말이 있습니다만, 통상 실온에서 3주는 굳어야 제 강도가 나옵니다.
스티로폼은 거푸집 해체를 할 시 반생을 바깥쪽은 짧게 자르고 안쪽은 길게 잘라서 길게 자른 반생을 스티로폼에 관통시키고 반생을 꺾어주시면 쉽게 부착시키실 수 있습니다. 외부에 노출이 되는 부분의 반생은 콘크리트가 굳기 전에 안쪽에서 꺾어서 '빠루망치(노루발 못 뽑기 망치)'로 뽑으시면 쉽게 빠집니다. 반생을 외부에 노출을 시켜서 그냥둔 채로 콘크리트가 완전히 굳으면 처리가 곤란하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사진을 세심히 보시면 실이 보이실 것입니다. 하수도 배관을 하시기 전에는 공사용 실로 건물의 벽체가 설 자리를 만드시기 바랍니다. 특히 화장실이나 다용도실 같이 배관 파이프가 묻힐 곳은 정확하게 하셔야 합니다. 하수도 배관은 자신이 사용할 위생기의 재원을 미리 알아서 배관을 하시는 편이 좋습니다. 대부분 변기는 벽면에서 파이프의 중심이 30cm, 욕조는 욕조 폭이 72cm이므로 35.5cm를 띄워서 설치하시면 되지만 화장실 벽을 습식 타일로 붙이실 경우 라스미장과 타일 몰탈, 타일두께 등 5cm의 여유를 더 두셔야 하고 세면기의 경우는 벽 쪽으로 하수가 빠지는 형태도 있으니 오배수 배관을 하시기 전에 어떤 제품을 쓸 것인가 생각을 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변기 파이프의 위치가 정확하지 않으면 콘크리트를 깨 내고 다시 배관을 해야 할 일이 생깁니다. 타일 면에서 파이프의 중심이 정확하게 30cm가 되도록 배관을 하십시오. 옛말에 처가와 화장실은 멀면 멀수록 좋다고 했습니다. 재래식 화장실에서 올라오는 엄청난 냄새 때문이었지만 수세식 변기를 사용하고서부터 화장실은 작금 안방에까지 진출하게 되었습니다. 계속 강화(?)되는 정화조 법이 건축물 준공검사에 가장 까다로운 검사가 되었고 정화조 값도 엄청 올랐습니다만, 합병 정화조 전에는 정화조 출구에서 생활하수를 연결했지만 합병 정화조는 입구에서 연결을 해야 하니 잘못하면 정화조 냄새가 그대로 안방까지 올라올 수가 있습니다. 그 냄새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다음 사항을 지키셔야 합니다. ▲모든 하수파이프에는 반드시 P트랩을 설치할 것.(일직선으로 올라간 파이프 아래 구부러진 부분이 P트랩입니다. 구부러진 부분에 물이 고여서 냄새가 파이프를 타고 올라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각 파이프에 밴트 파이프를 뽑아 올릴 것. 우리는 하수도에 밴트 파이프에 대해서 생소하고 설비를 전문으로 하시는 분들도 중요성을 모르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정화조 냄새나 하수구 냄새의 성분을 파악해 본 적이 없어서 비중은 알 수 없으나 그 냄새는 위로 올라가는 성질이 있으므로 P트랩을 쓰는 물구멍은 모두 50mm 파이프를 따로 연결을 해서 각방의 벽을 타고 올라가서 천장 윗부분에서 서로 모아 지붕으로 빼 주시기 바랍니다. 그리하면 냄새 걱정 뚝입니다. 밴트 파이프라 해서 대단한 것이 아니라 그저 생활하수가 흐르는 파이프에 공기가 위로 올라갈 수 있도록 파이프 위쪽으로 파이프 한 개씩 더 뽑아주는 것에 불과하지만 효과는 만점입니다. 어느 식당 화장실에서는 악취를 제거한다고 배출기를 달고 24시간 돌리고 있던데 그것은 더욱 냄새를 뽑아 올리는 꼴입니다. 그런 건물은 생활하수 파이프가 변기 파이프와 만나기 전 지점에 P트랩을 설치해 주시던지 집수정을 만들어 파이프의 연결 상태를 한번 끊어 주던지 밴트 파이프를 높게 설치를 해주는 세 가지 방법밖에 없습니다. 상가에 냄새가 나면 장사는 사양길로 접어들고 주택은 온갖 질병과 우환이 생기게 됩니다. 변기 똥 파이프는 100mm, 생활 하수파이프 본관은 65mm 이상을 쓰시고 연결 부위는 50mm를 쓰시는 편이 파이프 막힘을 막아줍니다. 파이프의 경사(스로프)는 얼마로 줘야 할 것인가? 높은 곳에 주택을 신축한다면 고민거리가 없지만 저지대에 신축을 할 경우에는 고민이 됩니다. 그럴 경우 바닥 배관을 충분히 높이시고 외부로 3도(파이프 1m에 3cm 경사) 이상만 경사를 주시면 충분합니다. 물은 정지상태만 아니라면 똥덩어리라도 물의 수압에 의해서 밀려나가고 하수도 파이프가 건물 밖에서 동결선 이상에 묻혀서 동파를 염려하실지 모르겠으나 요즈음은 하수도 수온이 모기가 살 정도입니다. 북극 지방처럼 오줌을 누면 고드름이 될 정도의 추위가 아니라면 절대 얼지않으니 염려는 덮어 두시기 바랍니다.
되메우기를 하고 난 후에 다시 한번 파이프의 위치를 확인하시고 수도관과 전기 파이프도 제 위치에 놓여 있는지 다시 한번 확인하십시오. 전문적으로 집을 짓는 사람들도 서둘다가 빼먹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바닥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나서 바로잡는 것은 무척 힘이 듭니다. 이 주택은 외벽 아랫쪽에 벽돌을 쌓을 예정이라 벽돌의 두께 9cm 뼈대와 벽돌의 간격 3cm 도합 12cm를 띄워서 15cm 높이의 거푸집을 만들고 비닐을 깔고 6#와이어 멧쉬를 깔고 콘크리트를 타설할 것입니다. 비닐을 까는 이유는 방수를 하기 위해서가 아니고 흙이 콘크리트의 수분을 빨아서 콘크리트 강도가 약해짐을 막기 위함입니다. 대부분 시공자들은 와이어 멧쉬를 안 쓰고 10# 철근을 쓰지만 요즈음 같이 철근값이 고가일 때는 낭비입니다. 철근값+철근가공비. 아파트 바닥 콘크리트 두께가 15cm 정도인데도 피아노 올려놓고 애들 쿵쿵 뛰어도 안 무너 집니다.^^* 일반 주택의 일층 바닥은 흙으로 되메우기를 하고 장비로 다지고 콘크리트를 타설하므로 아래가 비어 있는 아파트와 다르기 때문에 철근을 깔 필요가 없습니다. 기초가 튼튼해야 좋다고 하니까 40평 주택 한채 기초에 철근 13톤 콘크리트 200루베를 사용한 사람도 있습니다만… 돈보다도 자원 낭비이고 환경 파괴입니다. 정확하게 알고 정확하게 쓰는 것이 좋습니다. 이 주택의 바닥에 타설을 할 콘크리트 양은 모양이 복잡하므로 사각형 형태를 따로 따로 계산을하여 합산을 하시면 됩니다. 즉 '(3.6×9.75+5.1×9.1+3.9×4.2+1.8×1.8)×콘크리트 두께'를 하시면 산출이 되지요. 15cm를 했을 때 약 15.2루베가 나오는데 되메우기를 한 바닥의 높이가 일정치 않으므로 17루베 정도 신청하시면 됩니다. 콘크리트는 공장에서 출고가 된 시각에서 2시간 이내에 타설하셔야 제 강도가 나옵니다.콘크리트가 제 강도가 나올지 의심이 되실 때는 레미콘 회사에 강도 시험을 요구하시면 그 회사 시험실에서 기사가 도구를 가져와 샘플을 떠 가서 매주 3주간 강도시험을 해서 시험표를 보내줍니다. 물론 무료로. 참고하시길. 바닥 콘크리트를 타설시 바닥면(특히 벽체가 설 자리)은 정확한 수평을 잡으셔야 합니다. 바닥 수평이 맞지 않으면 다음 작업이 힘들어집니다. 방바닥은 난방 배관을 하고 미장을 다시 하므로 수평이 맞지 않아도 큰 문제는 없지만 외벽이 서는 부분은 수평이 맞게 미장을 해 주시면 다음 공사가 훨씬 용이해 집니다. *주택 아랫부분을 고정해 주는 L형의 앙카를 미리 박고 콘크리트를 치는 것이 원칙이지만 나중에 앙카를 박아도 큰 무리는 없고 일이 손쉬울 수도 있습니다.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