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트 야채코너에서 고객들이 장을 보고 있다 전통시장 보호를 이유로 10년 전부터 실시한 대형마트 의무휴업(유통산업발전법) 규제는 사실상 효과를 거두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규제를 활용해 엉뚱한 제삼자들이 이익을 누리는 동안 전통시장에는 수혜가 돌아가지 않았다.
전통시장은 규제 10년동안 20% 안팎의 성장세를 보인 가운데, 법의 틈새를 비집고 들어온 식자재마트는 1년 만에 100% 매출 성장세를 보이는 곳도 있었다. 지역별로는 대형마트가 문을 닫자 골목상권 전체가 함께 고사하고 있다는 인식이 여러 곳에서 커지고 있다. 이에 따라 대구시 등 광역지방단체를 중심으로 주말 휴업 폐지가 전격 논의되고 있다.
28일 통계청·소상공인진흥공단 자료에 따라 대형마트 의무휴업 등 규제가 실시된 2013~2022년 대형마트와 전통시장·온라인의 매출액(온라인은 거래액)을 각각 추적 조사했다. 그 결과, 2013년 33.9조원의 매출을 달성한 대형마트는 지난해 34.8조 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지난 10년 동안 매출액 성장이 1조 원을 밑돌며 실제 매출이 거의 늘지 않았던 것이다.
이 기간동안 국내 전체 전통시장 수는 2013년 1502개에서 지난해 1300개까지 200여 곳 넘게 줄었다. 영업 점포수도 2013년 21만 개에서 2021년엔 18만 개까지 쪼그라들었다. 특히 2017년 32만 명 수준이었던 전통시장 종사자 수는 코로나19를 거치며 29만여 명까지 줄어 5년여 만에 3만 명이 감소했다.
특히 올해만 4조원에 육박하는 온누리상품권 등 정부가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해 투입하는 직·간접적인 예산으로 근근이 버티고 있어, 사실상 전통시장은 고사 상태에 빠져있다는 분석에 힘이 실린다.
류승재 대구상인연합회 사무총장은 “대형마트가 매달 둘째, 넷째 일요일 휴무일 때는 전통시장으로 소비자 유입이 안되고 오히려 장보고마트나 편의점으로 사람이 몰리는 현상이 나타났다”며 “지난해 말 대구시에서 유통업 상생발전협의회를 거쳐 대형마트 휴무일을 평일로 바꾼 이후엔 오히려 전통시장 상황이 더 나아지고 있다”라고 말했다.
서울 중구 한 식자재 마트가 영업을 하고 있다. 이 식자재 마트 주변 150m 거리에 전통시장이 있다. [김호영 기자]서성윤 대구중서부슈퍼마켓협동조합 이사장도 “최근 몇 년 사이에 대구에서 대형마트가 4개나 문을 닫았다”며 “10년 넘게 대형마트를 규제해 왔는데도 우리에게 돌아온 게 없었다”라고 토로했다.
규제로 묶여 대형마트와 전통시장이 둘 다 멈칫거리는 사이, 반사이익을 누린 곳은 식자재마트와 이커머스였다. 식자재마트는 7년만에 매출 규모만 4배 이상 키운 곳도 나왔고, 이커머스도 38.5조(2013년)에 그치던 거래액이 지난해 209.9조 원까지 커지며 5배 넘게 폭발적으로 상승했다.
식자재마트는 전체 면적을 3000㎡ 넘지 않은 공간으로 꾸미며 대형마트 기준을 비켜나갔다. 2012년 당시 정부는 대형마트와 대기업 계열 수퍼마켓(SSM)을 월 2회 의무 휴업하도록 하면서 기준을 매장 면적 3000㎡를 넘는 곳으로 잡았다.
식자재마트는 각종 식재료를 대량으로 소싱해 저렴하게 판매하며 인기를 끌었고 24시간 연중무휴로 골목상권 곳곳에서 자리를 틀었다. 장보고식자재마트, 트라이얼코리아, 세계로 마트, 우리 마트 등이다.
대구·경북지역에 거점을 둔 장보고식자재마트는 2021년 3976억원이던 매출이 지난해 4438억 원으로 늘었다. 영업이익도 40억 원에서 46억 원으로 15%가량 상승했다. 장보고마트는 코로나19로 대면 쇼핑이 침체하자 자체 온라인몰인 ‘장 보자 닷컴’까지 운영하며 파이를 키웠다.
이밖에 세계로마트는 2012년 매출 525억 원 수준이었지만, 2018년에는 1000억 원의 매출을 넘어섰다. 우리 마트도 2012년 매출이 223억 원이었는데, 7년 만인 2019년 매출 1000억 원을 만들어내며 4배 이상 규모를 키웠다.
한편, 월 2회 대형마트 의무휴업에 따라 대형마트에 입점한 자영업자는 역차별의 대상이 되고 있다. 대형마트에 위치한 안경점, 미용실 등 자영업자가 운영하는 테넌트(임대매장)는 통상 10~30개 수준으로 테넌트의 주말 매출이 평일 매출보다 약 2배가량 높다. 특히, 이마트와 홈플러스 등은 최근 매장 리뉴얼을 통해 판매 공간보다 체험형 공간을 키우는 것을 기조로 임대매장 수를 꾸준히 늘려가고 있다.
최근 재단장을 마치고 문을 연 이마트 일산 킨텍스점(더 타운몰 킨텍스점)에는 임대매장이 98곳이 들어섰는데, 리뉴얼 이전 대비 4배까지 늘어난 수치다. 업계 관계자는 “자영업자 입장에서 의무휴업으로 한 달에 주말 이틀 쉬는 것은 평일 기준으로 4일 동안 매장을 쉬는 것과 같은 매출 타격이 있다”라고 밝혔다.
이 같은 분위기서 최근 대구시 등 지자체를 중심으로 대형마트의 의무 휴업일을 평일 전환이 본격 실시되면 마트의 매출은 1.5~1.7배까지 늘어날 것으로 관측된다. 대구시의 대표 대형마트 A사는 평일 기준 매출이 3억 원 수준인데, 주말에는 일 평균 7억 원의 매출을 낸다.
조춘한 경기과학기술대 교수의 ‘상생협력을 통한 중소유통 활성화 방안’ 자료에서도, 대형마트가 수요일로 의무휴업일을 바꾸는 것만으로 주변 점포 매출이 11%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대형마트가 영업을 하는 것만으로 주변 3km 이내의 점포 매출액이 평균 20% 늘어난다는 결과도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