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가. 생원․진사시의 회시 단계에서의 학례강(學禮講) 나. 문과 회시 단계에서의 전례강(典禮講) 다. 무과의 전시(殿試) 라. 사학(四學)에서 성균관의 하재로 올라가는 승보시(升補試) 마. 잡학의 취재(取才) |
① 가, 나, 다② 가, 다, 라
③ 가 다, 라, 마④ 나, 다, 라, 마
⑤ 가,다, 라, 마
[한국교육사] 「소학」을 시험과목으로 한 조선시대의 시험
<보기>의 ⑤ ‘가, 다,라, 마’
- 「소학」에 대한 학습 여부를 확인한 시험에 해당한다. 「소학」은 중국의 남송대에 주자의 주관 아래 그의 문인이었던 유청지(1134~1190)가 편집한 책으로 초학자를 대상으로 한 성리학의 입문서이다. 고려 말 성리학의 도입과 함께 전래되어 조선 초기에 이르러 성리학의 입문서로 확고한 위치를 갖게 되었다.
-문과 회시 단계에서의 전례강(典禮講)은 경국대전이나 가례를 부과하였다.
-무과의 복시(회시)에서는 통감, 병요, 장감박의, 소학 중 택 일 한다.
즉, 태종 7년(1407) 권근에 의해서 ‘권학사목(勸學事目)’이라는 교육관계 규정이 건의되었다. 이른바 ‘「소학」선강(先講)의 원칙’이 확립되면서 학교의 공식적인 교육과정에서나 개인적인 공부의 과정에서 성리학의 중요한 입문서로 자리 잡게 되었다. 뿐만 아니라「소학」에 대한 독서와 이해 여부는 각종의 시험에서 중요한 기준으로 작용하였다.
34 생활지도 - 인지․정서․행동치료(REBT)의 상담기법(인지적 기법)
>> 정답풀이 ② ‘감정적 언어사용’은 정서적 기법에 해당한다. 감정적 언어사용은 비합리적 신념을 변화시키도록 유도할 때 강한 언어가 훨씬 영향력이 있기 때문에 감정적인 언어를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인 것을 말한다. REBT의 상담기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유머는 인지적 기법과 정의적 기법에서 그 강조하는 점이 인지적이냐 정의적이냐에 따라서 모두 활용합니다. 따라서 획일적으로 분류하는 것은 무리입니다.
1. 인지적 기법 |
비합리적 신념 논박, 합리적 신념 및 사고의 교육 (큰 소리로 되뇌이게 하는 것 등도 포함), 녹음테이프 청취, REBT 관련 책읽기, 소크라테스식 대화교육, 논리와 어의에 관한 정확한 교육, 암시, 자기방어 최소화, 대안의 제시, 기분전환 시키기, 인지적 과제, 정확한 언어 사용, 유추의 기법, 지나치게 진지하고 심각한 측면을 반격하고 논박하는 유머의 사용(*RERT에서 매우 많이 사용함) |
2. 정서적 기법 |
새로운 정서나 느낌, 두려움 제거, 정서적 혼란 극복, 합리적 정서 상상(심상), 수치심 제거 연습(수치심공격하기), 역할 연기, 감정적 언어 사용, 무조건적 수용, 모델링,심리적 장애를 일으키는 상념이 부조리함을 보여 주기 위한( 비합리적 신념공격)유머 사용, 그릇된 생각 그치게 하기 위한 서약이나 맹세 |
3. 행동적 기법 |
여론조사, 범람법, 강화기법, 과제부과, 자극통제, 체계적 감감 |
*인지치료~~
인지치료는 소위 "협력적 경험주의"라는 특징이 있는데 이는 치료자가 치료 과정 중에 적극적이며 끊임없이 환자와 상호작용을 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지금 여기"에서의 문제에 초점을 두고 현재의 관찰내용을 명료화하기 위한 목적이 아니라면, 아동기 기억에는 주의를 기울이지 않으며 의식 수준만의 사고를 중심으로 진행하는 면에서 전통적인 정신분석적 치료 기법과는 다르다고 하겠다. 행동치료와는 사고, 감정, 소망, 백일몽, 태도와 같은 내면적이고 정신적인 경험에 강조점을 더 둔다는 것이 구분점이 된다고 할 수 있다.
1955년 초에 엘리스(Albert Ellis)는 인본주의적 치료와 철학적 치료 그리고 행동주의적 치료를 혼합하여 합리적-정서적 치료(Rational-Emotive Therapy) 를 만들었다.
그래서 우리는 이를 'RET'부른다. 그의 고전적 저서로는 "심리치료에서의 이성과 감정"(1962)이 있는데 이것은 1956년부터 간행된 RET의 논문들을 포함하고 있다. 이것은 당시의 전통적 치료로부터 급격히 떨어져 나온 심리치료에서의 합리적, 인지적 운동의 선구적 작품이다. 엘리스는 RET의 아버지로 알려졌으며 인지적-행동적 치료의 할아버지로 알려졌다.
인지모형에 따르면 "인지-정서-행동"의 상호 작용이 항상 일어나며, 느낌을 결정하는 것은 상황 자체가 아니고 상황을 해석하는 방식에 달려있다고 한다.
어떠한 상황을 접했을 때, 그 상황을 순간적으로 평가하면서 자동적으로 튀어나오는 생각을 '자동적 사고(automatic thought)'라고 한다. 이는 외부의 자극에 대해 순간적으로 일어나며, 당사자에게는 의심할 바 없는 근거가 되고, 항상 의식의 초점에 있는 것은 아니나, 주의를 기울이면 쉽게 발견되는 특징이 있다. 특정 상황에 접했을때는 자동적 사고가 출현하고 이것으로 인하여 감정, 행동, 생리적 반응 등이 나타난다는 것이 인지모형의 핵심 개념이다. 이 자동적 사고는 그 사람이 근원적으로 믿고 있는 지속적인 인지 현상인 핵심믿음(core belief)이 태도, 규칙, 가정 들과 같은 중간믿음(intermediate belief)을 거쳐서 출현하는 것으로 이해되고 있다.
Albert Ellis는 우리의 정서는 주로 우리가 가지고 있는 신념과 어떤 사건과 상황을 우리가 어떻게 평가하고 해석하느냐에 달려 있다고 보았다.
즉 사람은 어떤 사실 자체에 의해서가 아니라 그것을 바라보는 시각에 의해서 장애를 입는다고 보았다(People are isturbed by things, but by their view of things). 정서적-행동적문제를 가진 사람은 비효과적이고 비합리적인 신념체계에서 나오는 비이성적 사고로 인해 역기능적인 행동을 나타내 보인다고 보았다. 따라서 치료방법은 client의 행동을 바꾸기 보다는 감정을 중재하는 사고를 바꾸는데 초점을 맞추었다.
....
코프카의 이론
(1)코프카는 지각된 경험은 뇌 속의 어느 신경 부위에 기억흔적을 남기는데 이러한 기억 흔적이 학습이라고 보았다.
예) 유아가 배고플 때마다 우는 행위는 선천적인데 울 때마다 어머니가 나타나면 어머니의 출현은 뇌 속에 기억흔적을 남기고, 어머니의 모습은 수유의 흔적을 남기며 수유의 흔적은 배고픔의 해결이라는 흔적을 남기게 된다
(2) 기억흔적은 단순한 재생 또는 재인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다음에 일어날 경험에 전체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3) 이들 기억은 서로 독립적이지 않고 상호 통합적이고 전체적이라는 입장이다.
(4) 코프카에 있어서 기억흔적은 개개 사상의 개별흔적이라기 보다는 재조직화된 흔적 체제이며, 이러한 체제는 끊임없이 새로운 경험과 경험 재생의 양상에 영향을 미치며 변용시킨다. 따라서 형태주의 심리학의 보편적인 전체성과 체제화의 법칙의 지배를 받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
◈형태 분석법
(1) 성질
이 기법 ( morphological analysis) 은 '행렬 기법'(morphological matrix method) 또는 '가능성 격자기법'
(grids of possibilities)등의 이름으로 불리기도 한다. '형태(morphological)란 말은 모습이나 구조를 연구
하는 '형태학'(morphology)에서 따온 것이다.
이 기법은 묻지 아니하고 간과해 버릴 수 있는 질문을 새삼스럽게 해 보도록 하는데, 해결 될것 같지
아니한 문제를 해결해 보려고 하는데, 그리고 여러 가지 대안적인 아이디어들을 생성해 내는 데 도움
이 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새로운 제품의 '이름'을 붙이는 것에서부터 광고 문안을 만드
는 과제에 이르기까지 여러 가지의 창의적 문제해결의 과제에 사용될 수 있다.
(2) 단계
어떤 복합적인 문제나 체젤르 요소나 형태에 따라 체계적으로 분류하는 기법은 모두 형태분석법이라
말할 수 있다. 이 기법은 탐색적인 성질의 아이디어들을 많이 생성해 내는 데 아주 이상적이다.
* 새로운 재료의 적용
* 새로운 시장 개척과 적용
* 제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새로운 개선책 개발
* 새로운 장소/기회의 모색
이 기법을 적용하는 단계는 다음과 같이 예시해 볼 수가 있다.
(a) 먼저 다루려는 문제/과제를 진술한 다음 이문제/과제를 기술해 주고 있는 가능한 주요 차원들을
나열한다. 에컨대 신제품에 대한 아이디어를 얻고자 한다면 제품의 '모양'과 사용하는 '재료'라는 두
개 차원을 생각해 볼 수 있다.
(b) 이제 확인해 낸 각 차원별로 그 속에 있을 수 있는 여러 가지의 속성들을 나열한다. 앞의 보기에서
고려해 보려는 신제품이 만약 '자동차'라면 '모양' 차원에는 방탄형, 상자형, 유선형,모서리마다 각을
살린 고전형 등등을 나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재료' 차원에서는 나무, 철, 파이버 글라스, 플라스틱,
알루미늄 등의 속성을 나열해 볼 수가 있을 것이다.
(c) 이렇게 하여 각 차원에 속하는 속성들을 나열한는 것이 끝나면 가능한 대로 많은 수의 속성
들의 조합을 음미해 보고 그런 다음 그럴 듯하고 유망해 보이는 아이디어를 뽑아낸다. 예컨대
알루미늄으로 만든 방탄형 자동차 같은 것이다.
(3) 한계
개인이 혼자서 속성형태를 분석하기란 시간이 많이 걸리고 때로는 주체하기 어렵고 복잡할 수도 있다.
특히 속성들을 조합시켜 볼 수 있는 숫자가 많을수록 더욱 그러하다.
그리고 형태 분석법은 해결책이 하나만 있거나, 탐색해 볼 수 있는 범위가 매우 좁거나, 또는 차원의
수가 하나 밖에 없는 문제(과제)장면에서는 적절한 도구가 아니다.
◈상징적 상호작용과 상황의 해석
상징적 상호작용은 1930년대 미국 시카고대학을 중심으로 시작하여 활발히 전개되어 왔으며, 교육연구
분야에서 상징적 상호작용의 관점을 취한 연구들은 주로 영국을 중심으로 활성화되었다. 상징적 상호작
용은 한 개인의 사고와 행위에는 타인에 대한 의식이 불가분하게 읽혀 있다는 데에서 출발한다.
사회학자 블루머(Herbart Blumer) 에 의해 체계화된 상징적 상호작용에서 바라보는 인간에 대한 기본 전
제는 인간은 어떤 사건이 갖고 있는 의미를 기초로 하여 그 사건에 대하여 행위한다는 것이다. 인간사의
의미는 남들과의 사회적 상호작용으로부터 도출되며, 그의 행위는 그 의미에 의해서 중재된다는 것이다.
이러한 의미는 사람들의 해석 과정을 통해 구성된다.
이를 좀 더 정리해 보면, 첫째, 자신의 행위를 구성하는 구성자로서의 개인, 둘째, 자아를 구성하는 다양
한 요인과 그 요인들이 상호작용하는 방식, 즉 자아를 구성하는 특징, 그에 수반되는 의미, 해석의 기제,
상황의 정의, 다시 말해 주관적인 의미의 세계와 그러한 의미가 발생하고 표현되는 상징이다. 셋째, 의미
가 끊임없이 구성되어 가는 협상의 과정, 넷째, 의미가 어떻게 발생하고 유래하는가 하는 사회적 맥락은
사회적 상호작용의 주요 분석의 대상이다. 타인의 역할을 획득함으로써 즉, 타인들이 어떻게 일정한 환경
속에서 행동하며 또한 행동하기를 바라는가, 그리고 사람들 자신이 그것에 따라 어떻게 행동하는가 하는
역동적인 개념을 획득함으로써 사람들은 자신의 행위를 타인의 행위에 비추어 본다.
첫째, 일반화된 타자(the generalized other)이다.
개인은 자기가 몸다고 있는 사회 집단 구성원들의 태도를 받아들여, 그 집단활동에 참여하는 만큼만 자아를
형성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사회 집단이나 사회의 유지는 그 구성원들이 그 집단의 조직 활동에 관련된 다른
모든 구성원들의 역할을 받아들일 수 있는 정도 만큼만, 그리고 구성원들이 자신의 행동을 다른 구성원들의
역할에 관련시켜서 구성할 수 있는 정도만큼만 가능하다.
따라서 개인은 오직 '일반화된 타자' 속에서 형성된 기대를 내면화함으로써 사회적 인간이라는 의미에서의
전체가 될 수 있을 뿐이다. 즉 일반화된 타자를 통해서 개인의 사고 과정에 영향을 미침으로써, 결국에는
공동체의 활동이 개인에게 영향을 미치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인간으 자신의 행동을 스스로 구성하게 된다. 인간은 자기 자신을 대상으로 간주할 수 있기 때문에,
자신에게 지시할 수도 있고, 또 이러한 지시들을 해석할 수도 있는 것이다.
둘째, 해석된 상황의 전형화로서의 지식이다.
상황인지론에서 말하는 것처럼, 우리가 사용하는 지식은 기본적으로 우리에게 닥친 상황에 대한 지식이다.
일상생활의 사회적 현실은 전형화의 연속으로 이해된다. 우리가 매번 새로운 상황에 부딪칠 때마다 우리는
그 상황을 새롭게 인식하지 않는다. 그보다는 우리는 우리에게 익숙한 방식, 즉 전형화된 방식으로 상황을
받아들인다. 이 전형화는 역사적으로 수천 년이 된 것일 수도 있고, 몇달 된 것일 수도 있다. 사회적 구조는
이러한 전형화와 그것에 의해 정립된, 반복되는 접촉 양식의 총합이다. 따라서 사회적 구조는 일상생활 현
실의 본질적인 요소가 된다.
셋째, 교호적 이해(mutual understanding)란 일종에 내가 상대방이 무엇에 관해서 알고 있다는 것을 안다고
경험하는 것이다. 예컨대 누군가와의 대화 상황은 우리가 교호적 이해를 경험하는 전형적인 장면이다. 우리
는 누군가와 대화할 때, 상대방이 알고 있다고 생각하거나 이해할 수 있는 방식으로 말을 주고받는다. 내가
이야기하고 있는 것은 상대방이 이미 알고 있거나 받아들일 수 있다는 것을 안다는 점을 전제로 하며, 이것
이 곧 교호성에 대한 경험이다. 대화는 이러한 전제하에 어려움 없이 전개된다.
...2010 교원임요시험 대비 출제예측문제 테마 .....
-신자유주의, 신기능주의, 신본질주의, 신국정관리모형, 신좌파주의, 신인문주의,
-일제하의 교육, 통감부는 을사보호조약 이후 전개된 신교육 구국운동으로 고조된 교육열을 억누르기 위한 정책,
-해방후의 교육-미군정기간에 고등교육 분야에 있어서도 획기적인 발전,
-게발주의 교육:프뢰벨의 통일의 원리는 범신론적 세계관에 기초,
-신루소주의자들의 교육관: 몬테소리는 교사가 관찰자, 방임자, 관리자 역할,
-현대의 사상들: 생’의 실체를 놓고, 생’의 철학의 시조 쇼펜하우어는 ‘생에의 맹목적 의지’, 니체는 ‘권력에의 의지’, 정신과학적 해석학자 딜타이는 ‘정신적 ·역사적 생’, 베르그송은 ‘생명의 비약’ 으로 파악하였다.
-피터스, 허스트,화이트, 오크쇼트, 라일, 노나카, 헛친스 등: 예를들어, 합리성에 바탕을 둔 개인의 자율성을 강조하는 반면, 다른 한편으로는 그러한 자율성이 사회적, 정치적 맥락에 비추어 이해되어야 한다고 본 자는?
-교육행정 과정요소의 탐색 <논리적 요소>
계획: 교육목적을 성취하는 방법과 수단을 효율적으로 준비하는 과정
조직: 인적·물적 자원을 배정, 각종 프로그램을 짜는 것
실천: 과업을 집행하는 단계
평가: 행정 과정의 합리성과 효율성을 진단하는 과정
-카우프만의 체제접근은 문제해결을 위해 여러 대안으로부터 최적의 해결방안을 얻어내고 이를 실천하고 평가하는 일련의 과정으로 문제확인, 대안선정, 해결전략선택, 선택된 전략의 시행, 성취효과의 결정, 전략의 수정 및 재실행 등의 6단계를 포함한다.
-
개방체제와 폐쇄체제의 특징 비교
-현행 교육공무원의 승진 임용
-주요 교육법구 내용: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에 명시된 내용
-지도성 이론: Fiedler모형의 기본적인 가설
-민츠버그(Mintzberg)의 5가지 ‘조직구조 기본 유형’
-교육법규 및 실무 내용정리: 지방교육재정교부금
-주요 수업이론: 오수벨의 인지구조는 브루너의 지식의 구조와는 <상이한> 개념 인가?
-구성주의 수업설계와 새로운 토의의 패러다임!!!
① 악마의 주장법(devil's advocate method)
② U형 토론 포럼(U-debate forum)
③ 어항식 토의(fish bowl)
④ 의회식 토론(parliamentary debate)
⑤ 국가 토론 토너먼트(National Debate Tournament : NDT)
-국가 토론 토너먼트(NDT):
'교차 조사 토론(Cross-Examination Debate Association : CEDA)'방식이라고도 칭하며 '정책 결정 토론 모형(policy making debate)'이라고도 한다.
-“문제해결을 위하여 개념들과 규칙들을 활용하기”는 인지전략에 해당되고, “문제에 대한 새로운 해결방안을 모색하기”는 지적 기능에 해당된다.(가네)
-“학교학습의 한 모형”이라는 논문에서 수업의 질을 규정하는 4가지 잠정적 기준을 제시
-콜브의 연구 성과는 <성취동기>
-할로우, 로렌츠, 애쉬, 브루코버, 스킬벡 등
-메릴(M. D. Merrill)의 내용요소제시이론
-문항양호도 검증: 예를들어, 문항타당도를 검증하는 방법에는 크게 4가지(정확성을 측정하는 방법, 상하능력 변별하는 방법, 각 문항과 준거 점수와의 상관을 내어 보는 방법, 변량분석에 의한 방법) 가 있는데, 그 중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은 “문항변별력에 의한 방법”이다.
-주요 성적 제도: 기본적인 의사소통의 한 벙법이라 할 수 있는 성적 제도는 평가의 목적과 활용 측면에 따라 다양해질 필요가 있는데, 성적제도는 크게 계약성적제, 등급배정제, 분포배정제, 능력중심성적제, 통과-실패 성적제 등이 있는데, 학습자가 스스로 학습행동에 자발적으로 몰입하는 정도를 주로 평가하는 것은 서면에 의한 계약성적제도이다.
-구성주의와 관련된 평가 방법: 예를들어, 탈규준, 탈목표지향 평가, ...수행평가는 고등정신능력을 강조하며 교육본질에 대한 직접적 평가를 강조한다.
-Bailey는 ‘관찰 상황의 구조화 정도’와 ‘관찰수행의 구조화 정도’에 따라 관찰연구의 유형을 네 가지로 분류
-브론펜브레너(Bronfenbrenner)의 ‘표적 교우도’
-가설검증: 일원변량분석
-태도 분석법: 의미분석법(의미분석 척도의 제작 절차)
-인지발달이론: 피아제는 인간의 인지발달은 감각운동기, 전조작기, 구체적 조작기, 형식적 조작기라는 질적으로 다른 4가지 단계를 거쳐서 발달한다
-인지규녕, 인지부조화 이론: 예를들어 P-O-X이론
-각종 효과: 예를들어 대비효과와 유사효과, 규칙적 항상 오류
-신피아제 이론: 구성적 조작론, 실행제어 구조론
-인지적 성장을 위한 학급전략(Educating the young think ; Classroom strategies for cognitive growth)"
-내담자를 도와 어떤 사람이 되고자 원하는지를 선택할 수 있는 자율적인 ‘게임놀이’나 ‘대본’에서 자유로운 사람이 되게 하는 것이다.
-심리학에서 동조성(동조성同調性:conformity)과 유사한 이론들:
-보울즈와 긴티스의 대응이론
-로렌츠(Lorentz) 곡선을 이용하여 교육기회점유수준을 설명
-학교교육의 비판론
-1973년에 「학습사회를 지향하여(Toward a Learning Society)」
-「초․중등교육법」에 명시된 ‘대안학교’
-정책결정 및 의사결정
-실험실학습과 교실학습: 부겔스키의 견해에 의하면 “무의미철자 암기학습은 실험실학습에 해당되고, 실험실학습 보다 학교학습은 목적성이 높고 효용성이 높다.”
-문항반응이론: 예를들어, 문항정보함수란 문항이 “전체능력 범위에 흩어져 잇는 피험자의 능력을 얼마나 정확하게 추정하고 있는가를 말하여 주는 것으로, 문항난이도가 피험자 능력수준과 같으면 피험자의 능력을 가장 오차 없이 정확하게 추정할 수 있다.
-주요 교육과정 비교: 영교육과정, 잠재적 교육과정, 반편견 교육과정, 발현적 교육과정, 통합교육과정, 교사배제(방교사)교육과정, ......포워드 교육과정과 백워드 교육과정은 모두 교육목표를 가장 먼저 배치하고 설계하는가?
-제7차교육과정 개정(기본방향-자율성과 창의성)에 배경이 된 교육사상들
-미숙 성숙이론을 주장한 아지리스는 인간에 대한 관점을 맥그리거의 성선설과 성악설에 기초한 X,Y 유형에다가 종업원에 대한 부정적 태도를 갖느냐, 긍정적인 태도를 갖느냐에 따라 A,B를 추가
-청년기의 특징: 홀링워드는 “심리적 이유”
-모건의 사회이론 분류: 급진적 인본주의와 급진적 구조주의
**무언가에 진정으로 몰입하게 되면 무서운 일이 일어납니다.
-교원임용명문 희소 탁영진교수팀(도서출판 희소, 동영상 명품 쌤플러스)은 귀하를 합격 성공으로 이끌어 드립니다.
*교원임용명문 희소 적중 톱 스타 전공강사진
-
최초의 마감 강사 타의 추종을 불하하는 명품 강사(희소 전공국어 톱스타 윤희재, 도서출판 희소 베스트 셀러 저자직
강!!!!),
-보건 김동현(서울대 정통파 학,석,박-국내 톱스타강사. 타인 비교 거부), 적중의 톱스타강사 영어 이광희, 최정현+ 이
은경(희소팀),수학 박헤향팀, 역사 이순권(출제위원급 서울대 정통파), 사회 김진환팀, 김성무, 중국어 장영희, 일본어
유지원,가정 문영은(서울대 정통파 적중 톱),도덕윤리 이인정(서울대 학,석,박 정통파, 톱스타 강사), 과교론 김창만,
물리 이돈우, 화학 안병천팀, 생물 안진수, 지학 안성민,음악 이미정(적중 톱스타강사 재도약 준비 끝!!), 체육 김형규(
적중 톱스타강사) , 미술 위상팀,정컴 유상미,디자인공예 김&정팀, 보건 김동현,상담 이진영,기술 공교론 성민경, 전기
전자 양진석,유아 김영미,초등 구자경(희소 톱스타, 도서출판 희소 톱베스트셀러 저자!!적중의 신테렐라!!), 특수 한신
영(이대 정통파 특수 적중 톱스타 강사), 논술 윤승현(서울대 정통파 타의 추종 불허), 권구현 등
적중 스타 교수팀 열강 중!!!!
-탁영진교육학은 현재 7,8월 방학 특강 (단원별 문제풀이반 1개반, 기본내용정리반 1개반)사전 예약 접수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