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폐탕(淸肺湯)I
- 우수경험방집 (2004년)
- 7장 호흡기계질환 - 감모(感冒)
구성약재(총 18건)
조제용법
2첩으로(재탕포함) 1일 3회 식사 후 1시간에 복용.
주치병증
감기(感氣)
과도한 노동이나 운동 등으로 체내의 원기와 진액(津液)이 소모되어 주로 외부 풍한(風寒)의 사기(邪氣)가 들어와 생긴 병. 흔히 감모(感冒), 상풍(傷風)으로 문헌에 언급되어 있고, 치료는 충분한 휴식으로 원기를 회복시켜야 하며 가벼운 발한제(發汗劑)를 쓸 수 있다.
해수(咳嗽)
기침. 풍한서습(風寒暑濕)이 피모(皮毛)로 들어오면 피모는 폐와 합하므로 폐에 먼저 들어가고 차례로 오장에 전함. 칠정, 기포(七精飢飽)로 내상(內傷)하면 아래에서 음(陰)이 손상되므로 오장의 화(火)가 올라와 폐를 다그쳐서 기침이 남. 외감으로 생기면 발병이 비교적 빠르고 경과 과정이 짧으며 두통, 신통(身痛), 오한, 발열 ...
금기사항
복용 중 피해야할 음식 : 계(鷄), 저(猪), 주(酒), 면(麵), 녹두(綠豆)
카페 게시글
통합 게시판
청폐탕(淸肺湯)I 우수경험방집 (2004년) 7장 호흡기계질환 - 감모(感冒) 구성약재(총 18건) 갈근(葛根)A: 3.75 g. 감
다음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