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불완전 연소면 점화가 제대로 이루어 지지 않는다고 보셔야 됩니다.대략 9만 키로 가까이 타셨다면 스로틀 바디 청소를 받아 보시구요...점화 플러그 역시 교환 하셨다 하시는데두 불완전 연소가 일어난다면 점화 코일쪽에 이상이 있다던지 할것 같네요...아무것도 작동 시키지 않은 공회전 상태에서도 차가 떨림이 없다면 일시적인 부조 현상으로 보이기도 하구요...불완 연소가 일어나기 때문에 꼭~!!! 4번 플러그 밑 케이블밑 점화코일 꼭~!! 4번 점검을해보시기 바랍니다.전기 신호가 4번 녀석만 안보내 지면 4번 실린더 안에는 점화가 이루어 지지않아 에어컨작동이 끝난 시점에서 ECU셋팅 값의RPM으로 작동 할려는데 4번녀석이 제대로 작동을안하게 되고 4번을 제외한 나머지 녀석들은 평상시 대로 작동을 하게 되지만 RPM이 급격하게 떨어져 엔진이 푸덕 거릴때 ECU가 RPM이 낮네... 하면서 RPM을 보정을 해버리게되어 그때 수초 사이에 차가 심하게 떨리게 되죠...평상시 운전할때 공회전 RPM을 잘 보시면 초기 시동시 RPM이 쭉 올라 갔다가 내려올때딱 멈춰서 서는게 아니라 내려갔다가 차가 살짝 떨다가 다시 RPM이 올라가게 되면 RPM보정이 이루어 진다고 보시면 됩니다.꼭 점화 코일 4번을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다른 분들이 얘기하신 부분들도 다 이유이겠지만.. 보통.. 오토 차량의 진동문제는 드라이브 상태에서 진동이 심하기 때문에 고민들 하시지 않나 생각합니다.
님께서도 알피엠을 올리시려는 이유는 아마 오토 차량이 정지시 미션이 드라이브나 리버스 위치로 가있을때 차량 진동이 심해서 그러신건 아니신지요?
만약 그런 이유이시라면, 여러가지 엔진에 가해지는 부하때문에 알피엠 하강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스텝모터 방식, isc 밸브 방식...)들이 흡기계통쪽에 장착되어있는데요.. 그 장치들이 엔진 수명이나.. 주행가혹도 정도에 따라 오염되어 고착되던지.. 노후로 고장이 나던지 해서 작동을 못하는 경우가 생깁니다... 작동을 못하게 되면.. 에어컨을 켜시거나.. 전조등을 켜시거나.. 그밖에 전기를 많이 사용하시게 되거나.. 미션장치의 변속레버를 조정하셨을때. 심한 진동이 올수있고.. 그때는 알피엠이 무부하 공회전시보다 많이 떨어지는걸 계기판에서 확인 하실수 있습니다....
확인 방법은 무부하 공회전시.. 알피엠이.. 만약 750 정도인데.. 변속레버를 N에서 D로 옮기셨을때 알피엠이 순간 하강했다가.. 다시 원래상태 근처로 복귀한다면.. 다른 부분의 고장이구요, 복귀 못하고 750 아래쪽에서 하강하여 진동이 심하시다면.. 위에 얘기한 고장이 클 가능성이 크니.. 세척작업으로 깨끗하게 하시거나, 오염이 아닌 고장이라면 교체하셔서 사용하시는게 좋습니다...
추가적으로 보통 기본 RPM의 스로틀 밸브쪽에서의 조절은 거의 하지 않습니다... 스로틀바디 자체가 출고시에 정확한 값으로 제작되어 고정된 상태로 조정하지 못하게 하고 있구요..... 배전기 방식의 차량일 가능성이 큰데.. 점화시기 조정을 통하여.. 엔진 효율을 좋게 조정할 수는 있습니다... 정확한 님의 차량 증상을 올리신다면 더욱 정확하게 도움을 드릴수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
첫댓글 [록타이트] 록타이트 스로틀바디 트로틀바디 카브레터 캬브레터 세정제 클리너 세척제 청소제 거품식 가솔린 디젤 청소
4,500원
점화코일 1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