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0장 솔로몬의 여러 가지 잠언.
4절. 손을 게으르게 놀리는 자는 가난하게 되고 손이 부지런한 자는 부하게 되느니라
“손”은 히브리어로“카프”인데“가지”을 뜻하는“킵파”에서 유래한 것으로“구부러진 것, 속이, 빈 것, 공허한 것, 즉 약간 오목하되 거의 평평하게 펼친 손바닥”을 뜻한다(미7:3),
"게으르게”는 히브리어로“레미야”인데“던지다, 속이다, 기만하다”을 뜻하는“라마”에서 유래한 것으로“태만, 게으름”을 뜻한다.
“놀리는자”는 히브리어로“아사”인데 영어로는“walk”로서“노동하다, 준행하다, 행하다, 실행하다, 시행하다”의 반의로 아무것도 하지아니하고 움직이지 아니하는 것을 뜻한다.
“가난하게 되고 손이 부지런한 자는 부하게 되느니라”
“가난하게 되고”은 히브리어로“루쉬”인데“부족되다, 결핍되다, 궁핍하다, 가난하다”을 뜻한다, “손이 부지런한 자”는 히브리어로“하루츠”인데“베다, 자르다, 탈곡하다”을 뜻하는“하라츠”에서 유래한 것으로“부지러한, 근면한”것을 뜻한다.
“부하게 되느니라”는 히브리어로“아샤르”인데“뻗어나다, 번영하다, 부유하게 되다”을 뜻하는 말에서 유래한 것으로“부자, 거부”을 말한다
5절. 여름에 거두는 자는 지혜로운 아들이나 추수 때에 자는 자는 부끄러움을 끼치는 아들이니라
“여름”은 히브리어로“카이츠”인데“수확”을 뜻하는“쿠츠”에서 유래한 것으로“여름”을 뜻한다.
“거두는 자”은 히브리어로“아가르”인데“모으다, 수확하다,따다, 거두다”을 뜻한다.
“지혜 있는”는 히브리어로“사칼”인데“분별력이 있다, 신중하게 행동한다, 지혜롭게 행하는 자”을 뜻하는 것으로 말과 행동이 현명하여“능숙한, 숙련된, 재간 있는”사람을 뜻한다.
“아들”은 히브리어로“벤”인데“세우다”는 뜻의 동사“바나”에서 유래한 말로“집을 세우는 자, 가문을 일으키는 자”라는 뜻으로 자식의 의무와 특권이 강조된 말이다(창4:17).
즉 본문에서“여름”은 곡식의 수확기를 가리키는 것으로(6:8). 이는 제 철에 곧바로 수확하는 부지런한 자를 가리킨다.
“추수 때에 자는 자는 부끄러움을 끼치는 아들이니라”
“추수 때”은 히브리어로“카이츠”인데“수확”을 뜻하는“쿠츠”에서 유래한 것으로“여름”을 뜻한다,
개역개정 성경에는 추수라고 되어있는데 추수(秋收)는 가을에 거두워 들이는 곡식이라는 뜻인데 이것은 번역의 오류다
히브리인들은 곡식을 가을에 거두어 들이는 것이 아니라 가을에 씨를 뿌리고 늦은 봄에 거두어들인다,
다른 역본들은 수확이라고 번역했는데 이것이 바른 번역이다.
“자는 자”는 히브리어로“라담”인데“깊이 잠들다, 정신을 잃다. 기절하다”을 뜻한다.
“부끄러움을 끼치”는 히브리어로“부쉬”인데“부끄러워하다, 부끄럽다, 수치를 당하다, 수욕을 당하다, 치욕을 당하다”을 뜻한다.
이 말은 문자 그대로 곡식을 수확할 철에 마치 죽은 듯이 깊게 잠든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무력하게 지내는 아들은 부끄러움 끼치는 아들이라는 것이다(6:9, 10).
'추수' θερίζω [데리조]~~~~~~~~~~~~~~~~
< 마6:26, 눅12:24, ὁ θερίσας: 추수꾼, 약5:4.마25:24, 요4:37, 갈6:7, 고후9:6, 갈6:9.계14:15,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