兵使公 휘 류한명(柳漢明, 하정파보 1권문헌록 246쪽, 자손록103쪽) : 정읍시 덕천면 달천리 용두마을 나내 출신.
대승공 22세 류한명은 (이하 하정파보1권 문현록247쪽) 1649(인조27기축)년 고부달천(현 정읍시 덕천면 달천리) 출생, 1678(숙종4무오)년에 부사과(종6품)※1, 선전관, 1680(숙종6경신)년 군기시 주부(종6품) 사헌부감찰(정6품) 훈련원판관(종5품), 1681(숙종7신유)년 강진현감(종6품), 1638(숙종9계해)년 부사과(종6품)※2, 1684(숙종10갑자)년 군기시첨정(종4품), 1685년(숙종11을축) 훈련원부정(종3품), 1686(숙종12병인)년 나주진(羅州鎭, 강화도의 해안을 따라 ‘진’, ‘보’, ‘돈대’와 같은 군사 시설) 나주영장(營將, 海軍節度使, 종3품, 군수, 현감, 만호 통솔권), 1695(숙종21을해)년 충무위사용부호군 전라우도(해남)수군절도사(정3품), 1696(숙종22병자) 전라도 우수영 제주목사(정3품) 조선의 관문인 함경도 회령도호부에 회령도호부사(慶源道右翼兵馬兼, 정3품, 경원도호부는 慶興府까지 관할) 경기도 장단영(長湍營)에 장단도호부사(장단병마절제사, 종2품)에 이어 1699(숙종25기묘)년 경상좌도(울산)병마절도사(종2품), 1705(숙종31을유)년 강계방어영(江界防禦營) 강계방어사(종2품, 이하 영조41년1765년발행 을유보2권豈쪽참조), 1707(숙종33정해)년 가선대부(統相,종2품)를 역임하심으로 아버지 무(楙)는 증 병조참판(종2품) 조부 의남(義男)은 증 좌승지(정3품) 증조 약(瀹)은 증사복시 정(정3품)이 되십니다.
증조 약의 부인은 숙부인 평산신씨이며 동서가 인조외숙인 구사평인데 약의 아들 인남 의남 신남은 외종사촌이 신립장군 아들 신경진(영의정)과 이종사촌인 구굉(구사평아들,병조판서)의 도움을 받은 기록으로 폐모 사건으로 인남은 나주로 의남은 고부로 피신하도록 도와주었습니다.
음직(蔭職)은 관직이 5품 이상인 경우에는 아들 손자까지 3품 이상인 경우에는 아들 손자와 수양자(收養子양자) 여서(女壻사위) 생(甥누이아들) 질(姪조카) 제(弟동생)까지 음직을 주었습니다. 1인 1자가 원칙이었으나 실제로는 2명 이상이 음서(음직) 혜택을 누릴 수 있었습니다.
휘 한명 병사공은 종2품이기에 아들 수관(1666-?)은 1705년(숙종31을유) 생원시에 급제하고 음직으로 현릉참봉(문종릉.종9품)을 제수 받았고 승진하여 의금부도사(종6품)에 이르고 차남 수일(1673-?,통덕량정5품)의 아들(한명손자) 광현(1689-1760은 1720년(숙종46경자)에 진사시에 급제하고 1754년(영조30갑술)에 음직으로 경기전참봉(慶基殿 전주에 태조이성계 영정을 모신곳)에 특제特除, 特旨(3품이상 관료 후손에게 임명한 교지)교지를 받았으나 부임하지 않습니다.
※주 해설 : ※1의 부사과는 부사용(종9품)인 듯한 이유가 ※2와 겹치고 처음 음직을 줄 때 부사과(6품인 현감급)을 주지 않음.
※ 생원시와 진사시 급제하면 성균관 입학자격을 줍니다. 성균관 수학후 대과인 문과에 응시하거나 음직으로 관직에 있다가 생진시(사마시) 급제와 관련 없이 문과에 응시하기도 합니다.
※ 조선후기 군사제도가 평상시 군편제가 임란 호란 전쟁과 반란으로 인해 수시로 관제가 변하여 족보에 간단하게 기록된 나주영장과 회령부사, 장단부사 ,강계방어사 관직명을 당시 관청과 관직명으로 찾는데 조선 군편제를 다 읽는 등등 많은 노력하였음, 나주영장, 회령도호부, 장단영, 강계방어영 등 관청은 조선초와 조선 말에 없는 관청이라 찾는데 어려움이 있었음.
첫댓글 다내라는 뜻은 큰 냇물이라합니다. 선전관 집안(영암군 신북면 모산리)에서는 제가 어려서부터 다내일가친족으로 다내아저씨, 다내할아버지라고 호칭했습니다.
의남 선조의 2남 반선조와 무선조 2남 한징할아버지가 모산리 모강공 장남집으로 양자왔기에 남재공 후손 뿐 아니고 모산 전체가 다내일가라 했으며 의남 선조 3남 빈(용인현감) 선조가 모산에 와서 사교당에게 글을 배우고 사교당 행장을 지었습니다.